프로이트의 몸

정신분석과 예술
$18.98
SKU
979115783208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1/29
Pages/Weight/Size 142*210*20mm
ISBN 9791157832088
Categories 인문 > 심리
Description
프로이트 이론을 낱낱이 해부하고, 기존 담론을 전복하는 단 하나의 책!
이제 우리는 퀴어한 프로이트의 ‘몸’을 읽어야 한다


프로이트는 여전히 우리에게 과제다. 그는 이성적인 존재로 여겨져 온 인간을 욕망의 주체, 결핍의 존재로 봄으로써 인간을 이해하는 패러다임을 바꾸었으며, 이를 이론으로 체계화하기 위해 평생 노력하였다. 프로이트는 문학이론이나 젠더 담론 등을 공부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이 되었지만, 변이를 거듭하는 그 방대한 사유의 복잡한 궤적과 양면성, 불일치의 지점들은 독자를 당혹케 하곤 한다. 『프로이트의 몸』은 체계적 이론화가 불가능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이론의 당혹을 프로이트의 몸, 즉 프로이트의 텍스트에 새겨진 어떤 욕망의 흔적으로 보면서, 프로이트 텍스트 자체에 대한 독특한 정신분석적 독해를 시도한다. 저자인 리오 버사니에 따르면 프로이트의 이론은 내적 충돌과 와해의 바로 그 순간에 욕망과 섹슈얼리티를 해명하려는 작업의 불가능성이 말하는 무언가를 밝히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몸』에서 버사니는,“인간 주체를 구성하는 노력 자체를 심오하게 교란하는” 그 무엇으로“성적인 것”을 규명했다는 사실이야말로 정신분석의 성취라고 말한다. 마조히즘과 공격성 등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버사니의 프로이트 읽기에서, 섹슈얼리티는 자아의 절대성을 파괴하는 힘으로 정의된다. 정상/비정상의 범주를 해체하고 교란하는 프로이트 이론의 급진성을 혁명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버사니는 후기 프로이트가 에로스의 초월성을 강조함으로써 그 이론의 급진적 잠재력을 통어한다는 비판도 아끼지 않는다. 또한 베케트, 파솔리니, 말라르메 등 여러 텍스트를 경유하는 버사니의 프로이트 독서는 정신분석의 사유가 어떻게 퀴어한 미학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프로이트의 몸』은 지금껏 프로이트를 몰랐던 독자에게나 어느 정도 프로이트를 안다고 생각한 독자에게나 신선한 지적 충격을 줄 것이다.
Contents
역자 서문
서문

제1장 이론과 폭력
제2장 섹슈얼리티와 미학
제3장 반복의 쾌
제4장 프로이트의 신세계
결론

미주
찾아보기
Author
리오 버사니,윤조원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프랑스어문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저작으로 『폭력의 형식(The Forms of Violence)』, 『스테판 말라르메의 죽음(The Death of Stephane Mallarme)』, 『보들레르와 프로이트(Baudelaire and Freud)』, 『아스티아낙스의 미래(A Future for Astyanax)』 등이 있다. 『프로이트의 몸』 이후로도, 『구제의 문화(The Culture of Redemption)』, 『호모(Homos)』, 『친밀함(Intimacies)』 등을 포함하는 활발한 저작활동으로 문학연구와 퀴어이론에 기여하였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프랑스어문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저작으로 『폭력의 형식(The Forms of Violence)』, 『스테판 말라르메의 죽음(The Death of Stephane Mallarme)』, 『보들레르와 프로이트(Baudelaire and Freud)』, 『아스티아낙스의 미래(A Future for Astyanax)』 등이 있다. 『프로이트의 몸』 이후로도, 『구제의 문화(The Culture of Redemption)』, 『호모(Homos)』, 『친밀함(Intimacies)』 등을 포함하는 활발한 저작활동으로 문학연구와 퀴어이론에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