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푸틴 정부의 국내외 정책을 못마땅해 하면서 비판적 평가를 하는 분들이 있다. 초집권적 권위주의, 언론통제, 인권탄압, 정경유착 등 부정부패, 국가자본주의 등 국내 정치·경제는 물론 크림반도 합병과 돈바스(Donbass) 분리주의 세력 지원, 시리아 사태 개입, 소위 불량국가들과의 협력 관계 강화, 미국 등 타국의 국내 정치 개입, 미국·NATO와의 갈등심화 등이 그 비판적 평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
이처럼 러시아는 왜 제3의 길, 주류 질서에 편승·편입하기보다는 대립과 경쟁, 그리고 독자의 길을 추구하는가? 외교·안보 정책에서 소위 ‘러시아의 길’이란 무엇인가? 이 책은 그에 대한 낮은 수준의 해답이라도 찾아보려는 목표로 저술되었다.
이 책은 대학생, 대학원생, 그리고 러시아 외교정책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을 위한 교과서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으며, 총 1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 러시아 외교정책의 발전 과정 및 결정 환경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소련의 외교정책사를 개관했다. 제2장은 러시아 외교정책의 주요 결정 요인과 행위자, 제3장은 러시아의 외교·안보 전략과 실제, 제4장은 러시아와 CIS 통합운동을 각각 다루었다. 또한 제5장은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책과 다자협력, 제6장은 유라시아 중부 지역 내 ‘신 거대게임’과 러시아, 제7장은 러·중 관계의 발전과 미국 요인, 제8장은 미·러 관계의 변화와 갈등 요인, 제9장은 미·러 군비통제 갈등과 INF조약을 각각 분석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10장과 제11장에서 한국과 북한의 대소·대러 외교관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소개했다.
꾸준히 러시아?중앙아시아 등 옛 소련 지역에 관한 연구와 교육 등을 진행하면서 이들 지역의 정치?외교?안보 정책과 한국?북한과의 관계에 대한 수백편의 연구물을 생산해온 저자의 오랜 고찰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이 책을 통해 보다 많은 독자들이 아직은 낯선 이웃나라 ‘러시아’의 외교정책에 대해 개관하고 이해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소련의 외교정책 개관
1. 외교정책의 목표
2. 레닌 시기부터 고르바초프 시기까지의 외교정책
제2장 러시아 외교정책의 결정 요인과 행위자
1. 서론
2.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요인
3.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행위자
제3장 러시아의 외교·안보 전략
1. 서론
2.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요인
3.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행위자
제4장 러시아와 CIS 통합운동의 전개
1. 서론
2. CIS의 출범 및 발전 과정 개관
3. 러시아의 CIS 통합정책
4. CIS 통합운동의 유형과 전개
5. 최근 CIS 통합운동의 특성
제5장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책과 다자협력
1. 서론
2.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책 목표
3.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책 변화와 배경
4.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내 다자협력정책의 실제
5. 결론
제6장 유라시아 중부 지역 내 ‘신 거대게임’과 러시아
1. 서론
2. ‘거대게임’의 재현 배경과 주요 특징
3. 유라시아 중부 지역의 전략 환경
4. 러시아 외 주요국들의 정책
5. 러시아의 정책적 대응
6. 결론
제7장 러·중 관계의 발전과 미국 요인
1. 서론
2. 러·중·미 3각 관계의 형성과 미국의 전략
3. 냉전기 소·중 관계의 발전과 미국 요소
4. 탈냉전기 러·중 관계의 발전과 미국 요인
5. 결론
제8장 미·러 관계의 변화와 갈등 요인
1. 서론
2. 옐친 정부 시기 미·러 관계의 발전 개관
3. 제1기 푸틴 정부의 외교정책 목표와 실제
4. 푸틴 집권 후 미·러 관계의 변화와 갈등 심화 추이
5. 미·러 간 갈등 지속 및 심화 배경
제9장 미·러 군비통제 갈등과 INF조약
1. 서론
2. 미·러 간 군비통제조약 체결 현황
3. 냉전기 미·소 간 군비통제조약 위반 논쟁
4. INF조약을 둘러싼 미·러 군비통제 갈등의 전개
5. INF조약을 둘러싼 군비통제 갈등의 배경
6. 미·러 간 군비통제 갈등의 파급 영향
제10장 한·러 외교관계 30년의 추이
1. 서론
2. 미·러 간 군비통제조약 체결 현황
3. 냉전기 미·소 간 군비통제조약 위반 논쟁
4. INF조약을 둘러싼 미·러 군비통제 갈등의 전개
5. INF조약을 둘러싼 군비통제 갈등의 배경
6. 미·러 간 군비통제 갈등의 파급 영향
제11장 러·북 외교관계 70년의 전개
1. 서론
2. 냉전기 소·북 외교관계의 변화와 요인
3. 탈냉전기 러·북 외교관계의 변화와 요인
4. 러시아의 대북 핵·미사일 정책
Author
고재남
1954년 5월 15일 전남 화순에서 태어나 능주북초등학교, 광주동중학교, 광주고등학교를 차례로 이수하고 한양대 정치외교학과에서 1980년, 1982년 학사·석사 학위를 각각 취득하였다. 이후 미국 미주리대학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1990년 5월 “How Does Reform Communism Become a Regime Commitment?: A Comparison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귀국해 1991년부터 국립외교원(외교안보연구원 후신)에서 러시아·중앙아시아 등 옛 소련 지역에 관한 연구와 교육을 정년퇴직한 2019년 6월까지 담당했다.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등에서 후진 양성에 힘을 보탰으며, 러시아·중앙아시아·우크라이나 등 옛 소련 지역의 정치·외교·안보 정책과 이들 지역 국가와 한국, 북한과의 관계에 관한 수백 편의 연구물을 생산했다. 또한 정부 부처 및 유관 기관의 각종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국내외 정책 형성과 발전에 기여했다.
1954년 5월 15일 전남 화순에서 태어나 능주북초등학교, 광주동중학교, 광주고등학교를 차례로 이수하고 한양대 정치외교학과에서 1980년, 1982년 학사·석사 학위를 각각 취득하였다. 이후 미국 미주리대학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1990년 5월 “How Does Reform Communism Become a Regime Commitment?: A Comparison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귀국해 1991년부터 국립외교원(외교안보연구원 후신)에서 러시아·중앙아시아 등 옛 소련 지역에 관한 연구와 교육을 정년퇴직한 2019년 6월까지 담당했다.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등에서 후진 양성에 힘을 보탰으며, 러시아·중앙아시아·우크라이나 등 옛 소련 지역의 정치·외교·안보 정책과 이들 지역 국가와 한국, 북한과의 관계에 관한 수백 편의 연구물을 생산했다. 또한 정부 부처 및 유관 기관의 각종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국내외 정책 형성과 발전에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