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문화의 충돌과 융합

외래근대주택 100년의 이야기
$16.10
SKU
979115700607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0/12
Pages/Weight/Size 150*215*20mm
ISBN 9791157006076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근현대 서울 사람들의 삶이 배어 있는
외래근대주택을 새롭게 조명하다
우리의 주거문화를 더 선명하게 이해하기 위한 발걸음

개항에서 해방까지 서울에 유입된 외래양식의 근대주택에는 서양식 건축물뿐 아니라 일본이나 중국에서 도래한 것도 있다. 특히 일본인이 서울에 정착하면서 조선인과의 마찰과 겨울철 한랭한 기후를 고려하여 지은 서양식 주택과 일본인의 생활양식을 반영하여 당시 일본에서 유행한 건축양식으로 지은 일식주택도 있다. 이러한 근대주택들은 해방 후 적산가옥(敵産家屋)이라는 이름으로 터부시되었지만 그곳에 사는 서울 사람들의 생활방식에 맞게 변화되며 우리의 거주공간으로 존재하고 있다.

책은 이러한 근대주택 가운데 지금도 서울 사람들이 사는 곳을 대상으로, 오늘날 서울의 주거문화를 형성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근대주택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시대 변화에 따른 외래주택의 건축적 특성과 당대의 사회문화적 영향, 재래주거문화와의 충돌과 융합의 과정, 현재 남은 외래주택의 관리와 활용 현황을 도시주거사나 주거론, 도시재생 등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살폈다.

1부는 서울의 외래근대주택을 다루었는데, 1장은 서울의 외래근대주택이 개항과 함께 새로운 건축양식으로서 한반도에 소개되어 이후 서울 사람들의 몸에 밴 생활의 관성과 충돌·융합하면서 서울의 다양한 주거문화 가운데 하나로 흡수되는 과정을 소개하였다. 2장은 일본의 주택개량운동을 통하여 제시되었던 서양식 문화주택의 개념이 한반도에 유입되면서 이루어진 새로운 건축적 시도와 한계를 소개하였다. 3장은 개항 이후 일식주택이 한반도에 유입되는 과정과 서울에 이식된 일식주택의 특징을 소개하였다. 또한 해방 이후 나타난 일식주택의 지속과 변화, 갈등과 동화의 과정을 통하여 한국 주거문화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석학과의 인터뷰’에는 전(前) 한양대학교 박용환 교수와의 인터뷰를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이번 인터뷰에서는 주거생활과 주거공간의 대응 관계를 기반으로 주택의 발전 과정을 해석하는 주거론적인 입장에서 외래근대주택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외래근대주택이 지역재생의 소재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역사 왜곡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안도 함께 의견을 나누었다.

2부는 동아시아 국가에서 나타났던 외래의 주거문화와 전통적인 주거문화 간의 충돌과 융합 과정을 일본(4장)과 타이완(5장)의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4장은 개항 이후 서구 문화와 일본의 전통적인 생활양식과의 충돌, 이로 인한 혼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생활 전반에 나타났던 개선의 움직임을 일본 중류층을 대상으로 한 주택의 근대화라는 주제로 설명하였다. 5장은 톈진조약에 따라 통상항구가 타이완에 개설되면서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서양식 주택과 청일전쟁의 승리로 타이완을 점령한 일본에 의하여 이식된 일식주택이 타이완의 전통주택과 융합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서울, 도쿄, 타이베이를 시기별로 비교한 ‘외래근대주택 연표’를 부록으로 실었다.
“이제 서울의 외래근대주택은 더 이상 외국의 이방인을 위한 낯선 공간이 아니다. 이방인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었던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우리 고유의 생활양식과 대응하면서 서울 사람들의 삶의 기억이 담긴 친숙한 공간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외래근대주택을 과거의 어두웠던 기억을 상징하는, 그래서 사라져야 할 공간이 아닌 서울 시민의 삶을 담고 있는 서울의 주거공간 가운데 하나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1장에서).”
Contents
서문

1부 서울의 외래근대주택
1장 서울시 외래근대주택의 유입과 발전
2장 서양식 문화주택의 개발과 의미
3장 일식주택의 이식과 변화

부록_석학과의 인터뷰
주거문화의 갈등과 동화의 과정에서 바라본 외래근대주택의 의미
- 전 한양대학교 박용환 교수

2부 동아시아 주택의 근대화
4장 일본: 재래주택의 근대화와 외래근대주택의 보존 현황
5장 타이완: 재래주택과 외래주택의 교류와 융합

부록_외래근대주택 연표 - 서울, 도쿄, 타이베이
Author
서울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