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사찰약수

$19.44
SKU
979115580118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3/18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91155801185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차지종가(茶之宗家) 통도사 사찰약수의 위상과 가치를 재정립하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시간 여행!

“명산(名山)엔 명찰(名刹)이 있고, 명수(名水)가 있다네.”



영축총림 불지종가(佛之宗家) 통도사에는 40여 개의 청정한 사찰약수(寺刹藥水)가 흐른다
경상남도 양산시, 영축산(靈鷲山)에 위치한 통도사(通度寺)는 창건 당시 영축산 전체가 습지였기에 넓은 영역에 걸쳐서 물이 났다. 통도사 방장 성파 큰스님은 예전에는 ‘국계이음(?溪而飮)’이라 ‘두 손바닥으로 계곡물을 움켜쥐고 마신다’는 것이 운수납자(雲水衲子)들의 일상사였다고 말한다. “명산(名山)엔 명찰(名刹)이 있고, 명수(名水)가 있다”라는 말은 영축산에 큰절 통도사와 17개의 암자가 있고, 40여 곳의 약수가 흐른다는 사실에서 확인된다.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15년 대국통 자장 스님에 의해 창건된 통도사는 우리나라 삼보사찰 중 으뜸인 불보사찰이다. 팔만대장경판을 모신 법보사찰 해인사, 고려 시대 보조 국사 이래 16국사를 배출한 승보사찰 송광사와 함께, 신라 시대에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금란가사 등을 봉안한 통도사를 불보사찰이라 한다. 그래서 통도사를 ‘불지종가(佛之宗家, 불자들의 마음의 고향)요, 국지대찰(國之大刹, 나라의 으뜸 가람)’이라고 부른다.
Contents
추천의 글
책머리에
들어가며

제1장. 불지종가 통도사의 역사와 문화
불지종가 통도사의 역사와 의미
통도사의 상징적 의미 | 통도사의 역사 | 창건 설화와 금강계단 | 통도사의 문화재
통도사의 주요 스님
자장 율사 | 환성 지안 스님 | 성해 스님 | 구하 스님 | 경봉 스님 | 벽안 스님 | 월하 스님
통도사의 수행 환경
영축총림 통도사 | 산내 암자
통도사의 문화와 생태환경
통도 8경 | 통도사의 산주 정신 | 외국인이 본 통도사

제2장. 차지종가 통도사의 차와 문화
통도사 차의 역사성과 상징성
통도사의 차 생활과 차 정신
통도사 헌다례의 의미와 가치
통도사 헌다례를 위한 제언

제3장. 한국의 사찰약수
약수에 대한 기본 지식
왜 사찰약수인가? | 좋은 물이란? | 좋은 물의 조건
한국의 사찰약수
한국의 4대 사찰약수 | 한국의 10(12)대 사찰약수

제4장. 통도사의 사찰약수
통도사 사찰약수의 특성
통도사 큰절 약수 ‘구룡수’
통도사 ‘용유천’
통도사 암자의 약수
백운암 ‘좌우룡수’ | 비로암 ‘산정약수’ | 극락암 ‘산정약수’ | 반야암 ‘반야수’ | 서축암 약수 | 금수암 ‘금수’ | 자장암 ‘자장수’ | 안양암 ‘영천약수’ | 수도암 ‘샘물약수’ | 취운암 ‘취운금천’ | 사명암 약수 | 백련암 ‘백련옥수’ | 옥련암 ‘장군수’ | 서운암 ‘참샘약수’와 장경각 ‘늪재 석간수’ | 보타암 약수 | 축서암 약수 | 관음암 약수
영축산 통도명수
통도사의 ‘맛있는 물 6선’ | 통도사의 ‘건강한 물 6선’ | 통도사의 ‘맛있고 건강한 물 6선’ | 통도 10(12)대 명수

맺음말
참고 자료
Author
이병인,이영경
부산대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교수. 부산대 산업대학원 국제차산업문화전공 주임교수. 서울시립대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수질관리와 환경영향평가를 가르키며, 한재 이목(寒齋 李穆: 1471-1498)선생의 16세손으로서 한국의 차문화에 대해 연구하며, 국제차산업문화전공을 개설하여 한국차문화의 학문적 체계화에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전통사찰>(공저, 2011), <수질 및 수자원관리>(공저, 2000), <환경영향평가>(공저, 2000), <한재 이목의 다부>(2012), <한국의 차도구>(공저, 2009), <한국의 다서화>(공저, 2009), <통도사 사찰약수>(공저, 2019) 등이 있고, 현재 ‘차인(茶人)’지에 목우차문화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제6대 밀양캠퍼스(생명자원과학대학) 학장 및 제1회 경상남도 전통사찰보존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 초빙교수(2005) 등을 지냈다.
부산대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교수. 부산대 산업대학원 국제차산업문화전공 주임교수. 서울시립대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수질관리와 환경영향평가를 가르키며, 한재 이목(寒齋 李穆: 1471-1498)선생의 16세손으로서 한국의 차문화에 대해 연구하며, 국제차산업문화전공을 개설하여 한국차문화의 학문적 체계화에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전통사찰>(공저, 2011), <수질 및 수자원관리>(공저, 2000), <환경영향평가>(공저, 2000), <한재 이목의 다부>(2012), <한국의 차도구>(공저, 2009), <한국의 다서화>(공저, 2009), <통도사 사찰약수>(공저, 2019) 등이 있고, 현재 ‘차인(茶人)’지에 목우차문화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제6대 밀양캠퍼스(생명자원과학대학) 학장 및 제1회 경상남도 전통사찰보존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 초빙교수(2005) 등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