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2년 전쟁 12년 논쟁
$46.98
SKU
979115550473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31 - Thu 02/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8 - Thu 01/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6/30
Pages/Weight/Size 152*225*40mm
ISBN 9791155504734
Categories 사회 정치 > 국방/군사
Description
국제정치적 차원에서 바라본
한·중·일 삼국의 유일한 전면전
‘임진왜란’에 대한 새로운 통사通史

전쟁의 징후부터 주둔군의 완전 철수까지
군사 대결 막전막후에서 펼쳐진
외교 접촉과 정책 대결의 리얼 역사 드라마

임진왜란은 한·중·일 삼국이 전면전을 벌인 유일한 사례다. 그간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국제질서의 메커니즘을 연구해온 정치학자 김영진 교수는 전쟁과 같은 중대 상황에서 삼국의 관계가 어떻게 작동했는지 살펴보고자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연구에 착수했다고 말한다. 이 책은 국제정치 차원에서 4백여 년 전 한반도를 휩쓸고 지나간 ‘동아시아 대전(大戰)’에 대한 그의 새로운 통사적 시도다.

저자는 ‘7년 전쟁’으로 기억되는 왜란에 대한 일반적 통념에서 벗어난다. 전시 상황은 1589년 6월 대마도주의 조선 방문과 통신사 파견 요구로부터 1600년 9월말 명군 지휘부의 철수까지 햇수로 12년. 이 기간 군사적 측면은 물론, 국내 정책 논의와 외교 및 국가간 협상 등 왜란의 비군사적 측면에 저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전쟁의 징후로부터 주둔군의 완전 철수까지 군사 접전의 막전막후에서 펼쳐지는 외교전과 정책 대결의 양상들은 입체적으로 재구축되고, 군사 대결 너머에서 전쟁의 향배와 국제관계의 변화를 결정지어온 것들의 의미는 재확인된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임진왜란 연구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던 다양한 정책·외교관계 문서들에 대한 치밀한 접근과 분석이 압권이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질서의 변화가 심상찮은 이때, 이 책이 던지는 시사점은 분명하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학술기획총서 ‘知의회랑’의 열여덟 번째 책.
Contents
프롤로그

〈제1부 임진왜란〉

|제1장| 침략의 전야
1. 중세 동아시아 질서
2. 일본의 외교적 도전
대마도의 중재|통신사 파견에 대한 반대여론|대마도의 2차 시도|통신사 파견의 결정|통신사 파견|통신사의 귀국보고|히데요시에 대한 답변
3. 명에 대한 보고 여부
조헌의 주장|조정의 논의|유구(琉球)의 보고|명의 반응과 추가적 보고|일본 현지 본국인의 보고

|제2장| 왜군의 침략과 초기대응
1. 왜군의 화전양면 작전
침략의 개시|서울 점령과 전국 분할|임진강에서|대동강에서|여타 지역에서
2. 국왕의 피난 그리고 내부(內附)
국왕의 피난|평양 이후|분조(分朝)와 내부요청|명 조정, 내부의 거절
3. 조선과 명의 접촉
최초의 통보|두 번째 통보|명의 반응|요동의 정탐군대 파견|명의 자체 조사|요동에 대한 군사 요청
4. 조선의 반격과 전세의 균형
조선 수군의 승리|의병의 조직|경상우도|전라도 진출의 좌절|경상좌도|경기도와 황해도|함경도|진주성전투|요동군의 평양공격

|제3장| 명의 참전
1. 명·일 교섭과 조선의 대응
심유경의 조선 방문|심유경-유키나가 1차 교섭|조선의 대응|기요마사의 강화조건?? 병부의 계첩|조선의 독자적 공격 방안|제2차 강화협상|송응창의 입장|강화와 평양공격
2. 명의 파병 결정
찬반논쟁|북경에 진주사 파견|북경의 섬라 사신|황제의 파병 칙서|조선의 대응|건주여진의 파병 제안
3. 명의 출병과 평양수복
송응창의 원정 준비|조선의 협력|명군의 진입|전투의 전개|조선인 참획|명군 내부 갈등|파병의 이유 쟁론

〈제2부 강화협상〉

|제4장| 벽제관전투와 명의 전략 수정
1. 벽제관전투
명군의 남하|벽제관전투와 조선군|명군의 후퇴|산동순무 손광의 진격 반대|식량과 날씨|행주대첩|함경도 왜군
2. 명군의 남하 중단과 강화
조선의 남진 요청|송응창의 입장|송응창의 조선 진입|강화의 가시화|국왕의 남하|조선 내 찬반논의|왜군의 전략변화

|제5장| 명·일 강화교섭
1. 용산회담과 왜군의 서울 철수
유성룡의 보고|강화 결과의 통보|조선의 대응|후속회담|왜군의 서울 철수|남하 왜군의 추격|수군에 내려진 지시|명 조정의 입장
2. 진주성 학살
배경|조선의 대비|진주성 학살 이후|이융 형제 사건
3. 나고야 회담과 히데요시의 강화조건
명 사절의 도일|히데요시의 지침|?대명과 일본의 화평조건? 7개조|사절의 귀국|심유경과 소서비의 요동행
4. 명군 잔류 협상
조선의 입장|송응창의 지정학론|조명간 논의|병부의 결정

|제6장| 강화와 조선의 대응
1. 강화반대 외교
서울수복 사은|주청사 황진|사은사 정철|송응창의 세자 남하 요구|사헌의 조선 방문|사은사 김수
2. 강화협상의 중단
히데요시 항복표문|계요총독 고양겸의 강화론|강화논의의 중단
3. 강요된 책봉 요청
호택의 파견|조선 내 찬반논의|타협안|책봉 요청 진주문|주청사 윤근수|광해군 책봉 문제
4. 조·일 교섭
배경|유정과 기요마사의 접촉|사명당과 기요마사의 4월 교섭|7월 담판|김응서와 유키나가|사명당의 세 번째 교섭|담판 이후

|제7장| 히데요시의 책봉
1. 책봉의 결정
청봉 진주문에 대한 황제의 지시|강화론의 대두|손광의 조선경리론|소서비의 북경 진입|왜군 철수의 종용|책봉사절 파견 통보|진운홍의 귀국 보고|조선의 대응|손광과 기요마사의 접촉
2. 책봉사절의 파행
책봉사절의 서울 도착|유키나가의 일본행|책봉사절의 남하|책봉사절의 지체|책봉에 대한 비판|책봉 정사의 탈주|명의 대응|조선의 대응
3. 조선통신사(근수사)
최초의 조짐|공식화|조선의 초기 대응|명의 입장|계속되는 압력|최종 결정

〈제3부 정유재란〉

|제8장| 책봉 의식과 강화의 파탄
1. 책봉 의식
책봉 의식의 거행|황신의 체험
2. 책봉사절의 보고
통신사의 귀국|통신사의 보고|요동의 손광|진주사 정기원|황신의 대면보고|명 사절의 귀국 보고
3. 조·명의 대응
황제의 강화 지시|명의 재파병 결정|고급사 권협

|제9장| 왜적의 재침과 대응
1. 강화의 재시도와 대응책
유키나가의 제안|이순신의 파직|심유경의 재활약|사명당과 기요마사의 담판|조선경리 방안
2. 왜군의 공세와 연합군의 반격
명군의 준비|왜군의 진출|조선 수군의 궤멸|왜군의 북상|파병에 대한 찬반|조·명의 반격|조·명의 갈등|울산전투|명·일간 접촉
3. 정응태의 무고
요약|양호에 대한 참소|축성에 대한 변무|조선에 대한 무고|진주사의 파견|관왕묘의 방(榜)

|제10장| 종전과 전후처리
1. 전쟁의 종결
히데요시의 사망|조명연합군의 진격|강화와 왜군의 철수|조선의 대응|대마도 정벌론|사은사의 파견
2. 명군 철수 협상
조·명의 입장|최초의 방안, 1만 5천 명|축소된 방안, 8천 명|마지막 제안, 3천 명
3. 명군의 철수
형개의 상소|명 조정의 결정|협상의 결렬|철군 결정|최후의 방안|최종 철수

에필로그
주요 사건 일지
주요 인물 소개
참고문헌·주·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Author
김영진
입시특급장학생으로 경희대학교에 입학해 영어영문학 학사를 마치고,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독일 베를린자유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간 베이징대학 방문학자, 클레어몬트매케나칼리지(Claremont McKenna College)와 퍼시픽대학(University of the Pacific) 교환교수를 지냈다.
최근에는 중국과 동아시아 관계사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ㆍ중ㆍ일 삼국의 유일한 전면전인 임진왜란을 다룬 이 책을 상재하기 위해, 「중화 질서의 이론과 실제: 임진왜란 초기 조명관계를 예로」, 「임진왜란 초기 제3국 국제협력 방안에 대한 고찰」, 「임진왜란 초기 명의 파병과 조명관계의 실제」, 「임진왜란 이후 명군철수 협상에 대한 고찰」등 치밀한 선행 연구들을 이끌어왔다. 대표적인 관련 저술로 『중국, 대국의 신화: 중화제국 정치의 토대』가 있다.
입시특급장학생으로 경희대학교에 입학해 영어영문학 학사를 마치고,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독일 베를린자유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간 베이징대학 방문학자, 클레어몬트매케나칼리지(Claremont McKenna College)와 퍼시픽대학(University of the Pacific) 교환교수를 지냈다.
최근에는 중국과 동아시아 관계사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ㆍ중ㆍ일 삼국의 유일한 전면전인 임진왜란을 다룬 이 책을 상재하기 위해, 「중화 질서의 이론과 실제: 임진왜란 초기 조명관계를 예로」, 「임진왜란 초기 제3국 국제협력 방안에 대한 고찰」, 「임진왜란 초기 명의 파병과 조명관계의 실제」, 「임진왜란 이후 명군철수 협상에 대한 고찰」등 치밀한 선행 연구들을 이끌어왔다. 대표적인 관련 저술로 『중국, 대국의 신화: 중화제국 정치의 토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