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큰글씨책)

$30.24
SKU
979113047156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2/3 - Fri 02/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1/29 - Fri 01/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11/19
Pages/Weight/Size 152*223*20mm
ISBN 9791130471563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Contents
추천사
머리말

1. 대안교육이란 무엇인가

2. 대안교육의 시작과 급속한 확대
간디청소년학교의 개교
학교 탈락자 문제와 '특성화고등학교' 설립 정책
학습권 사상의 영향

3. 대안학교를 보는 시각
기존 시각과 문제
새로운 구분 방식

4. 한국의 대안학교
도심의 대안학교 - 서울시 교육청 '도시형 대안학교'
미인가에서 특성화고등학교로 - 간디학교 고등학교 과정
교육 당국과의 갈등과 해산 - 간디학교 미인가 중학교 과정
미인가 대안 초등학교 - 광명 YMCA 어린이학교 볍씨
다른 대안학교들
대안학교의 제도적 쟁점과 전망

5. 외국의 대안학교
부모는 자녀를 교육시킬 권리와 자유가 있다 - 미국 홈스쿨링
학생의 자유로운 의사 존중 - 영국 섬머힐 학교
새로운 공립 대안학교 - 미국 메츠 고교
'이지메'가 없는 학교 - 일본 도쿄 슈레
배우고 싶어할 때까진 안 가르친다 - 미국 올버니 프리스쿨
학생이 선택하는 교육과정 - 미국 우파티나스 학교

6. 대안교육이 살아야 한국교육이 산다
한국 대안교육의 자리 찾기
한국 대안교육의 정착 방향

보론. 대안교육의 등장배경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강대중
서울대학교 교수이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제5대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 연구 분야는 평생학습 이론, 생애사 연구 방법,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등이다. 평생학습이라는 렌즈로 그동안 교육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들의 삶, 생활, 인생을 연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탈)식민화 기관이자 참여적 학습공간으로서 박물관: 한국의 경험[Museum as a (de-)colonizing agency and par?ticipatory learning space: South Korean experience]”(공저, 2019), “이동 중 실종 혹은 또 다른 개념화: 한국에서 관점전환학습이론의 (그릇된) 전용[Lost in travel or a different conception? (Mis-)appropriation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n the Republic of Korea]”(공저, 2017),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공저, 2017) 등이 있다. 저서로는 『혼란한 시대에 학습사회 강화하기(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공저, 2021), 『한국 예술가와 장인의 삶과 학습: 라이조액티비티(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2015)가 있다.
서울대학교 교수이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제5대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 연구 분야는 평생학습 이론, 생애사 연구 방법,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등이다. 평생학습이라는 렌즈로 그동안 교육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들의 삶, 생활, 인생을 연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탈)식민화 기관이자 참여적 학습공간으로서 박물관: 한국의 경험[Museum as a (de-)colonizing agency and par?ticipatory learning space: South Korean experience]”(공저, 2019), “이동 중 실종 혹은 또 다른 개념화: 한국에서 관점전환학습이론의 (그릇된) 전용[Lost in travel or a different conception? (Mis-)appropriation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n the Republic of Korea]”(공저, 2017),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공저, 2017) 등이 있다. 저서로는 『혼란한 시대에 학습사회 강화하기(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공저, 2021), 『한국 예술가와 장인의 삶과 학습: 라이조액티비티(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2015)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