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전제
왜 ‘행위’인가?
왜 ‘매개된 행위’인가?
왜 ‘목소리’인가?
왜 ‘다성’인가?
왜 ‘마인드’인가?
왜 ‘사회문화적’인가?
비고츠키와 바흐친
02 ‘마인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매개된 행위’를 강조하는 사회문화적 접근의 3가지 기본 주제
비고츠키와 워프의 가설
03 비고츠키를 넘어 : 바흐친의 공헌
바흐친의 공헌
예제
04 ‘의미’의 다성성
‘유리된 자기 이미지’의 부정
텍스트의 단성 기능과 대화 기능
권위성과 텍스트
‘문자 그대로 의미’의 역할 : 의미에 대한 바흐친의 접근
예제
05 ‘목소리’의 이종혼교성
이종혼교성
도구상자 유비와 바흐친
예제
06 사회문화적 상황, 사회적 언어, 매개된 행위
매개된 행위와 사회문화적 상황의 결합
특권화
요약
참고 문헌
찾아보기
역자 해설
Author
제임스 V. 워치,박동섭
워싱턴대학교 세인트루이스의 문화인류학과 교수다. 같은 단과대학의 교육학, 러시아연구, 철학, 신경과학, 심리학 프로그램에서 공동 직책을 맡고 있다. 1975년 시카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노스트웨스턴대학교의 언어학과에 부임하기 전, 구소련에서 비고츠키의 제자이자 동료인 신경심리학자 A. R. 루리아와 함께 공동 연구를 했다. 1987년까지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의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1988년부터 1995년까지 클라크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95년에 워싱턴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비고츠키 심리학과 바흐친의 언어철학, 그리고 그 아이디어를 원류로 하는 사회문화적 접근 방식을 통해 구소련의 여러 나라와 러시아 사람들의 ‘집합적 기억’과 ‘아이덴티티’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 가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주된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1988), (1998), (2002) 등이 있다.
워싱턴대학교 세인트루이스의 문화인류학과 교수다. 같은 단과대학의 교육학, 러시아연구, 철학, 신경과학, 심리학 프로그램에서 공동 직책을 맡고 있다. 1975년 시카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노스트웨스턴대학교의 언어학과에 부임하기 전, 구소련에서 비고츠키의 제자이자 동료인 신경심리학자 A. R. 루리아와 함께 공동 연구를 했다. 1987년까지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의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1988년부터 1995년까지 클라크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95년에 워싱턴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비고츠키 심리학과 바흐친의 언어철학, 그리고 그 아이디어를 원류로 하는 사회문화적 접근 방식을 통해 구소련의 여러 나라와 러시아 사람들의 ‘집합적 기억’과 ‘아이덴티티’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 가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주된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Vygotsky and the Social Formation of Mind>(1988), <Mind as Action>(1998), <Voices of Collective Remembering>(200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