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 노동이 뭔가? 개인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생산 활동이다. 어디서 주로 일어나나? 방송·음악·잡지처럼 문화와 지식을 생산하는 산업, 곧 미디어 산업이다. 미디어 산업의 최근 쟁점은? 창의성이라는 수사에 가려 실제 노동 현실에 대한 관심은 소홀했다는 점이다. 미디어 노동 연구에 천착해 온 저자들이 창의성과 미디어 노동과의 관계를 탐구한다. 창의 노동의 쟁점이 일목요연하다.
Contents
옮긴이 서문
감사의 글
01 서론: 창의 노동은 좋은 노동이 될 수 있는가
문화 산업의 좋은 노동과 나쁜 노동
독트린으로서 창의성
창의 노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논쟁, 그리고 이 책의 접근법
정의와 연구 범위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산업 분야와 사례의 선택
연구 방법: 인터뷰와 참여 관찰
책의 구성
1부 이론의 통합
02 좋은 노동과 나쁜 노동
마르크스의 노동과 소외
노동 소외의 사회학적 개념
새로운 노동 모델의 제시: ‘좋은’ 노동과 ‘나쁜’ 노동
좋은 노동의 조건 1: 좋은 상품의 생산
좋은 노동의 조건 2: 자율성
좋은 노동의 조건 3: 자아실현
후기구조주의 노동 비평과 가치의 문제
주체적 경험
03 창의 노동의 특수성
이번 장의 구성
문화 생산 연구의 세 가지 접근
문화 생산 연구와 노동
창의 노동의 특수성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창의 노동 특수성: 경험의 커뮤니케이션
창의적 자율성의 비평적 개념과 두 핵심 구성 요소
창의 노동과 사회 계급
창의 노동의 문화연구학: 주체성과 자기 착취
창의 노동에 관한 논쟁
2부 실증적 연구
04 자율성과 창의성, 상업성의 관리
창의성, 상업성, 그리고 조직
창의적 경영관리의 기능
창의적 자율성의 관리 1: 잡지 산업
창의적 자율성의 관리 2: 음반 산업
자율성에 대한 압박 1: 방송 산업의 시장화
자율성에 대한 압박 2: 마케팅 권력의 증가
자율성에 대한 불안감
자율성에 대한 압박 3: 네트워킹의 의무화
결론
05 임금, 노동시간, 고용 안정성, 참여, 존엄성, 자유
창의 노동 생활의 질
임금, 노동 시간, 노동조합
노동 안정성과 리스크
존엄성, 그리고 자존감
도전 의식, 흥미, 참여
자율성의 경험
창의 노동 경험의 양면성
06 창의 노동 커리어와 자아실현, 그리고 사회성
커리어의 축소?
나에게 맞는 창의적 직업 찾기
창의 직업 커리어의 취약성
창의 노동과 자아의 과도한 투영
팀워크, 사교활동, 네트워킹
고립감
자아실현과 사회성: 현대 창의 노동의 양면성
07 감정 노동과 정동 노동
비물질 노동, 정동 노동, ‘프레카리티’
감정 노동
미디어 노동과 상징적 권력
오디션 프로그램의 제작: 예산, 커미셔너, 독립제작사
감정 노동과 스타 만들기의 불안
팀 기반 제작의 즐거움과 사회성
정동 노동과 내재적 협력의 관계
결론
08 좋은, 그리고 나쁜 창의적 생산품
창의적 생산품의 질적 수준
좋은 상품 생산을 통해 느끼는 기쁨과 만족
좋은 텍스트의 개념
나쁜 텍스트의 개념: 좌절과 실망감
나쁜 노동의 개념과 내용
문화 상품의 질에 대한 부정적, 그리고 긍정적 경험들
09 창의 노동의 오디언스, 질적 수준, 그리고 의미
오디언스의 예상 반응을 고민하는 창의 노동자
잡지 산업: 독자가 전부다?
음악: 소통의 매개인가, 사적 향유의 대상인가
오디언스는 무엇을 제어할 수 있는가
방송과 시청자의 규모: 시청률의 횡포?
오디언스의 양면성과 투영성
10 좋은 노동과 나쁜 노동의 정치학
편하게 돈을 벌 수 있는 가장 어려운 방법?
노동조합, 그리고 좋은 창의 노동을 위한 투쟁
일과 삶: 자기 착취를 하지 않기 위한 선택?
좋은 노동과 나쁜 노동의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