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기간 미디어는 무엇을 했나? 전황 정보를 전하고 이승만 정부의 반공 이데올로기를 설파했다. 반공 이데올로기를 내세운 이유는? 정권을 강화하려는 이승만 정부와 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미국이 합작해 전쟁 승리 전략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어떤 미디어를 활용했나? 신문, 호외, 라디오 방송, 잡지, 삐라 등이다. 한국전쟁 기간 남북한에서 등장한 미디어 관련 자료를 한데 모아 분석하여 미디어 정책과 역할 등 사회 전반을 살펴본다.
Contents
머리말
1부 한국전쟁기 언론공보 정책
01 이승만정부의 언론 정책
제1공화국의 언론 통제
전쟁 발발과 언론 정책
언론 통제
언론 탄압과 언론의 대응
냉전반공자유주의 이데올로기 강화
02 제1공화국 초기 공보 활동
공보 활동의 목표
공보처
관민 합동 기구 선전대책위원회
정부의 공보 선전 활동
반공 이데올로기와 반공 독재 체제 강화
2부 한국전쟁기 미디어 현상
03 전쟁 직전 미디어와 사회
신문의 통일문제 보도 태도
통일문제 인식
한계를 보인 언론의 사회적 역할
04 전쟁 보도
전쟁 소식과 보도 채널
전쟁 소식과 대응
단파라디오와 면대면 채널, 공산체제 체험
05 신문의 수난과 임시 수도 부산 언론의 발전
서울의 주요 신문
임시 수도 부산 언론의 발전
전쟁과 부산 언론의 변화
06 국영 중앙방송 운영과 프로그램
중앙방송 운영
중앙방송 프로그램 편성
방송 발전과 미국의 영향
07 출판 · 잡지
전쟁의 시련과 출판
활발한 잡지 발행
3부 미국과 북한의 선전 활동
08 미국의 대한 방송과 심리전
유엔군총사령부 방송
미국의소리 한국어 방송
두 방송의 성격 비교
국영 중앙방송(KBS)과의 관계
남한 청취자의 청취 양상
미국에 대한 우호적 이미지 형성
09 삐라 심리전
가장 중요한 심리전 매체, 삐라
삐라의 내용과 특징
전쟁의 성격을 보여 주는 삐라 내용과 효과
10 북한의 선전선동 사업
남한 점령 지역 선전선동 사업과 정책
남한 점령 지역 선전선동 사업의 전개
주요 선전선동 사업
북한 선전선동 사업의 성과와 한계
11 북한의 언론 활동
북한의 대남한 언론 정책과 활동
≪조선인민보≫와 ≪해방일보≫ 발행
≪조선인민보≫와 ≪해방일보≫의 보도 태도
전쟁을 위해 준비된 언론 활동과 한계
12 한국전쟁기 미디어의 역할과 의미
미디어의 사회적 역할
전쟁기 미디어 현상과 특징
미디어의 사회적 역할, 전쟁 영향의 극복을 위해
부록 한국전쟁기 미디어 연구 동향
한국전쟁기 미디어 연구의 필요성
이승만정부의 언론공보 정책
미디어 현상 연구
신문의 보도 태도
미국의 언론 정책과 활동
북한의 언론 정책과 활동
1950년대 미국 커뮤니케이션 이론 연구
전쟁기 미디어 현상 연구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