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구상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다룬『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연구소 총서』시리즈.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예술 창작과 유통, 수용 환경 및 이와 연관된 이론, 교육, 정책적 주제들을 제시한다. 예술정책, 예술교육, 예술생산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
Contents
1부 환경 변화와 예술
현대 예술 개념의 변화와 예술의 의미
:예술 개념 정의의 문제로부터 신정원
논의의 배경 2
딕키와 감상의 후보를 위한 자격수여 3
단토와 일상적인 것의 변용 10
이턴과 역사의 중요성 15
계속되는 도전들 19
여성주의의 도전 21
전통 예술 개념의 문제 24
새로운 기술의 출현과 예술의 변화 26
과학기술과 예술 홍성욱
예술과 과학의 관계 31
과학기술과 예술의 접점 32
예술에 영향을 미친 과학의 역사적 사례들 36
21세기 과학기술과 예술의 퓨전 43
예술은 과학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46
생태사회와 예술 홍성태
생태계와 생태위기 51
생태적 합리성 53
경제학에서 생태학으로 53
생태적 합리성 55
생태론적 전환 56
사회이론의 생태론적 전환 57
사회운동의 생태론적 전환 58
생태사회와 예술 60
생태사회의 전망 61
생태사회와 예술 63
예술의 생태학적 전환 66
예술과 문화산업의 소통체계와 예술경영의 과제 임학순
예술과 문화산업 사이의 소통 부제 71
예술과 문화산업의 소통 현상 72
예술과 문화산업의 경계 허물기 72
예술과 문화산업의 소통 요인 75
예술경영의 과제와 정책방향 80
예술경영 접근의 필요성 80
예술경영의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균형 83
융합적 예술경영 전문인력의 양성 85
학제적 공동연구 및 협력 환경 조성 87
창의적인 소통을 위한 필수조건 88
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새로운 실천 방향 이동연
21세기 예술의 패러다임과 예술교육의 지위 133
예술교육의 융합적 성격 137
예술교육의 새로운 실천을 위한 이론적 구성-문화연구의 관점 140
융합적 예술교육의 실천을 위한 구상들 145
융합적 교육과정의 새로운 실험들 147
학제 간 창작 공방들의 활성화-Creative Art Lab의 구축 152
예술교육의 생태환(??u)의 구성 155
다중적 예술 주체들의 생산-문화, 언어, 종족의 혼종화 157
예술의 신세기 비판정신과 교육적 실현 158
‘시각적 리터러시’의 철학적 기초
:디지털 시대 지각의 교육학을 위하여 심광현
들어가며 163
통시성에서 공시성으로 170
개념의 촉각적 시각화 174
집중된 시선과 전체적인 응시 176
신체적 지각 178
공통감각 184
술어적·원심적 통합 186
디지털 이미지의 양면성 190
나가며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