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조선언론 통제사

$39.10
SKU
979113031102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8/31
Pages/Weight/Size 176*246*35mm
ISBN 9791130311029
Categories 사회 정치 > 언론학/미디어론
Description
본서는 일제하 조선통치사 분야 중에서 일본에 있는 언론통제 분야의 자료는 거의 수집·발췌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종래에는 막연하게 언론통제라고 말했는데, 본서에서는 언론통제에 대한 정의와 영역, 그리고 ‘무엇을 언론통제라고 하는가?’라는 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역사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시기별로 언론통제를 명확하게 매듭지어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Contents
제1장 서 론

제1절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제2절 본 연구의 범위 및 시대구분 9

제2장 근대언론 전사前史

제1절 한일관계사 13
제2절 정한론의 배경 15
제3절 한일강화도조약의 성립과 개항 17

제3장 근대신문의성립기와 일본의 언론인

제1절 역사적 배경 23
제2절 [한성순보]의 창간 27
제3절 [한성순보] 기사파문과 [한성주보] 31
제4절 후쿠자와 유키치와 이노우에 가쿠고로 34
제5절 이노우에 가쿠고로와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41
제6절 조선의 근대화와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 47

제4장 1905년 을사늑약 전후의 일본의 언론정책

제1절 일본의 식민지정책 연구 59
1. 식민지 이론의 전개 59
2. 일본에 있어서 식민지정책 연구 61
제2절 일본 언론의 침투 66
1. 일본인 경영 신문의 침투 66
2. 일본의 언론통제정책과 민간지의 창간 72
제3절 영일동맹과 언론보도 77
1. 영일동맹이 대한제국의 침략정책에 미친 영향 77
2. 영일동맹과 언론보도 80
제4절 러일전쟁과 조선의 언론탄압 96
1. 러일전쟁과 조선의 침략 정책 96
2. 일본의 대 조선 언론탄압 98
제5절 조선통감부시대의 언론통제정책 104
1. 조선통감부의 언론통제정책 104
2. 반 통치체제와 조선 언론의 탄압 112

제5장 1910년 한일병탄시대의 언론통제

제1절 한일합병과 언론통제 정책 145
1. 일제 식민지 조선의 통치기구 145
2. 테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조선총독의 언론통제 정책 151
제2절 한일병합을 둘러싼 국내외의 언론보도 160
1. 한일병합을 둘러싼 일본의 언론보도 160
2. 한일병합을 둘러싼 영국의 언론보도 177
제3절 매스미디어에 의한 선전과 회유, 강압과 위협 커뮤니케이션 190
1. 선전과 회유, 강압적인 위협 커뮤니케이션 190
2. ?동화정책?과 ?내선일체?, ?내지연장주의? 200
제4절 교통통신 정책과 조선의 언론통제 207
1. 조선의 교통정책과 언론 207
2. 조선의 통신정책과 언론 215
제5절 통감부기관지 [경성일보京城日報]의 창간배경과 그 역할 220
1. [경성일보]의 창간배경과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 220
2. [경성일보]의 역대사장과 신문경영 223
3. [The Seoul Press]와 [매일신보]의 역할 230

제6장 3?1운동과 언론통제정책

제1절 3?1운동과 국내외의 언론 257
1. 3?1운동의 역사적 배경 257
2. 국내외의 언론보도 262
제2절 사이토 마코토齋藤?의 시정방침과 언론정책 273
1. 사이토 마코토의 언론정책과 민간신문의 창간 273
2. 조선에서의 민간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창간 281
제3절 관동대지진과 조선의 언론통제 310
1. 관동대지진과 조선인대학살사건 310
2. 관동대지진과 조선의 언론통제 318
제4절 경성방송국의 설립과 언론통제 330
1. 경성방송국의 설립배경 330
2. 방송미디어를 통한 언론통제 332
제5절 선전영화 및 그 밖의 미디어를 통한 언론통제 354
1. 선전영화와 축음기(레코드)에 의한 여론통제 354
2. 활동사진을 통한 여론통제 361

제7장 대륙 군수기지화정책과 강제적인 언론통제

제1절 조선의 병참기지화와 언론통제 389
1. 조선의 병참기지론兵站基地論의 근거 389
2. 만주사변 이후 조선에서의 사회통제와 언론 394
제2절 ?정보위원회?의 설치와 제도적인 언론통제 399
1. 정보위원회의 설치와 여론통제 399
2. 일본의 ?정보국? 설치 403
3. 조선중앙정보위원회와 언론정책 407
제3절 법률을 통해서 본 조선의 언론통제 420
1. 조선에 있어서 사상통제와 법규 420
2. 조선의 언론통제와 법규 425
제4절 교육정책에서 본 언론과 사상통제 432
1. 황국신민교육과 언론통제 432
2. 신문용어 사용문제와 창씨개명 437
제5절 중일전쟁과 언론통제 445
1. 국가총동원법과 언론 445
2. 조선에 있어서 물자통제와 언론 448

제8장 태평양전쟁과 언론통제의 강화

제1절 전시하의 조선의 언론통제 471
제2절 조선에 있어서 출판물의 통제 483
1. 출판통제협의회 483
2. 출판물승인 및 추천실시요강 485
3. 출판물용 양지사용 규정요강出版物用洋紙使用規正要綱 489
제3절 정보선전정책과 통신검열실시 493
제4절 전시하에 있어서 법적인 언론통제 504
제5절 [경성일보]의 논조와 일본의 패전 514

제9장 결 론

참고문헌 563
부록[1] 언론관계법규 597
부록[2] 언론관계연표 607
찾아보기 615
Author
이연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재난정보미디어포럼 회장과 재난방송중앙협의회 위원, 중앙재난관리평가위원, 재난방송 과태료 심의위원 등을 맡고 있다.

그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84년 일본의 上智大學(Sophia University) 대학원 신문학연구과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동 대학 석사, 박사과정(신문학박사)을 졸업하고 1995년 고베지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위기관리와 재난안전’에 대해 연구하게 된다. 특히, 東京大? 히로이 오사무(?井脩) 교수와 함께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사건’을 공동 연구하면서 위기관리와 재난안전시스템 연구에 주력하게 되었다.

경력으로는 선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중앙도서관장, 행정대학원장, 대학언론사 주간, 행정안전부 자문교수·기획위원, 국민안전처 자문교수, 소방방재청 자문교수, 기상청 자문교수, 방송통신위원회 책임교수 및 자문교수, 한국기자협회 재난보도준칙 제정위원장, 언론중재위원, 일본의 上智大學 신문학연구과 객원교수 등이 있다.

〈저서 및 관련 연구서〉
『위기관리와 커뮤니케이션』(2003, 학문사)
『위기관리와 매스미디어』(2007, 학문사)
『정부와 기업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2010, 박영사)
『국가위기관리와 재난정보』(2016, 박영사)
『국가위기관리와 긴급재난경보』(2022, 박영사)
『일제강점기 조선언론통제사』(2021, 박영사)
『재난상황, 언론대응 및 수습과 홍보』(2015, 국민안전처)
『재난 홍보시스템방안 연구』(2008, 행정안전부)
『재난방송과 홍보의 이해』(2008, 국립방재교육연구원)
『한국적인 재난방송시스템에 관한 연구』(2004, 방송위원회)
『일본의 방송과 방송문화사』(2006, 학문사)
『신문, 텔레비전의 소멸』(2010, 아카넷, 역서)
『일본의 케이블TV』(1997, 영풍문고:공저))
『일본 대중문화 베끼기』(1998, 나무와 숲:공저)
『朝鮮言論統制史』(2002, 日本 信山社)
『グロ-バル社會とメデイア』(2003, ミネルバ-:共著)
『サッカ?文化の構?』(2004, 道和書院:共著)
『マス·メディアと冷?後の東アジア』(2005, ?文社:共著)
『メディアと文化の日韓?係』(2016, 新曜社:共著)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재난정보미디어포럼 회장과 재난방송중앙협의회 위원, 중앙재난관리평가위원, 재난방송 과태료 심의위원 등을 맡고 있다.

그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84년 일본의 上智大學(Sophia University) 대학원 신문학연구과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동 대학 석사, 박사과정(신문학박사)을 졸업하고 1995년 고베지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위기관리와 재난안전’에 대해 연구하게 된다. 특히, 東京大? 히로이 오사무(?井脩) 교수와 함께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사건’을 공동 연구하면서 위기관리와 재난안전시스템 연구에 주력하게 되었다.

경력으로는 선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중앙도서관장, 행정대학원장, 대학언론사 주간, 행정안전부 자문교수·기획위원, 국민안전처 자문교수, 소방방재청 자문교수, 기상청 자문교수, 방송통신위원회 책임교수 및 자문교수, 한국기자협회 재난보도준칙 제정위원장, 언론중재위원, 일본의 上智大學 신문학연구과 객원교수 등이 있다.

〈저서 및 관련 연구서〉
『위기관리와 커뮤니케이션』(2003, 학문사)
『위기관리와 매스미디어』(2007, 학문사)
『정부와 기업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2010, 박영사)
『국가위기관리와 재난정보』(2016, 박영사)
『국가위기관리와 긴급재난경보』(2022, 박영사)
『일제강점기 조선언론통제사』(2021, 박영사)
『재난상황, 언론대응 및 수습과 홍보』(2015, 국민안전처)
『재난 홍보시스템방안 연구』(2008, 행정안전부)
『재난방송과 홍보의 이해』(2008, 국립방재교육연구원)
『한국적인 재난방송시스템에 관한 연구』(2004, 방송위원회)
『일본의 방송과 방송문화사』(2006, 학문사)
『신문, 텔레비전의 소멸』(2010, 아카넷, 역서)
『일본의 케이블TV』(1997, 영풍문고:공저))
『일본 대중문화 베끼기』(1998, 나무와 숲:공저)
『朝鮮言論統制史』(2002, 日本 信山社)
『グロ-バル社會とメデイア』(2003, ミネルバ-:共著)
『サッカ?文化の構?』(2004, 道和書院:共著)
『マス·メディアと冷?後の東アジア』(2005, ?文社:共著)
『メディアと文化の日韓?係』(2016, 新曜社:共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