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아동학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질적연구자들의 공동체를 모색하는 연구 모임 ‘질적연구 아카데미, The(R)이해’의 대표를 맡고 있다. 아이들의 놀이, 동네 놀이터, 현상학적 연구, 부모되기, 비제도적 교육과정 등에 관한 질적연구를 해 왔다. 최근에는 들뢰즈와 포스트휴먼적 배움에 관심을 두고 있다. 2010년에 “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로 한국교육인류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았으며, 2016년에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으로 다년간 수행한 놀이터 연구로 교육부장관상(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최근 발표한 주요 논문으로는 “그들은 왜 기꺼이 어려움을 감수하는가?: 한 공동육아협동조합원들의 공동육아 경험을 통해 본 사회적 육아의 의미”(2020), “한 호주 놀이터의 물질성을 통해 본 놀이의 의미에 대한 포토에세이 연구”(2018)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공저, 2020), 『여성은 출산에서 어떻게 소외되는가?』(2017)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공역, 2018)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아동학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질적연구자들의 공동체를 모색하는 연구 모임 ‘질적연구 아카데미, The(R)이해’의 대표를 맡고 있다. 아이들의 놀이, 동네 놀이터, 현상학적 연구, 부모되기, 비제도적 교육과정 등에 관한 질적연구를 해 왔다. 최근에는 들뢰즈와 포스트휴먼적 배움에 관심을 두고 있다. 2010년에 “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로 한국교육인류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았으며, 2016년에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으로 다년간 수행한 놀이터 연구로 교육부장관상(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최근 발표한 주요 논문으로는 “그들은 왜 기꺼이 어려움을 감수하는가?: 한 공동육아협동조합원들의 공동육아 경험을 통해 본 사회적 육아의 의미”(2020), “한 호주 놀이터의 물질성을 통해 본 놀이의 의미에 대한 포토에세이 연구”(2018)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공저, 2020), 『여성은 출산에서 어떻게 소외되는가?』(2017)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공역, 20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