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된 개인의 탄생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인간관계
$29.95
SKU
979112880969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2/27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91128809699
Categories 사회 정치 > 언론학/미디어론
Description
사회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흔히 미디어를 꼽는다. 인터넷이 ‘아랍의봄’을 가져왔고, 전통 언론을 흔들었고, 상업 거래의 본질을 변화시키고, 사람들의 문화적 취향을 바꾼다고 말한다. 정말 그럴까? 이 책은 미디어가 이러저러한 변화를 가져왔노라고 성급히 단언하지 않는다. 그 대신 미디어 안에서 끊임없이 메시지를 교환하는 우리, 곧 ‘연결된 개인’에 주목한다. 우리야말로 ‘미디어’요 사회 변화의 한 축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미디어와 인간관계에 대한 융합적 관점을 제시한다.
Contents
머리말

01 미디어 기술과 사회
기술의 활용
기술에서 미디어로
다시 기술결정론을 생각한다
기술이 매개하는 일상 속의 인간중심성

02 미디어 기술의 진화 추이
연결의 증대
미디어화
미래 전망
기술의 모습을 한 인간, 인간의 모습을 한 기술

03 미디어 효과 연구의 전환
미디어의 일상 침투
수용자, 이용자에서 연결된 커뮤니케이터로
정보와 정서
미디어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학제 간 연구: 또 다시 학문의 십자로

04 한국인의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정과 집단주의
한과 형식주의

05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2인관계
메시지의 교환
관계적 자아
메시지의 산출과 표출
“나를 이해하기 위해 타인을 이해한다”: 관계적 커뮤니케이션과 정보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첩성

06 커뮤니케이터
커뮤니케이터의 미디어화
메시지 교환
다중 자아와 정체성
메시지 교환자의 활동성

07 미디어를 넘나드는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지
인터넷 초기의 온라인 관계 연구
새로운 인간관계의 가능성
관계발전론
미디어를 넘나드는 인간관계의 다양성

08 미디어와 관계 인식, 소셜리티
관계유지론: 메시지 교환 행동이 관계를 만든다
스몰토크
관계 인식의 확장
집단의 소셜리티
공동체와 커뮤니케이션

09 정보관계망
정보관계망
미디어는 커뮤니케이션을 디자인한다
정보관계망에서의 커뮤니케이터
정보관계망의 형성: 정보추가론의 제안
정보 추구와 관계 유지의 중첩
관계망 유형과 정보 유형의 관계

10 정보관계망과 인간관계
관계의 다양성
유유상종
상대를 인식하고 관계를 유지하는 새로운 방법: 조각형 사회 인지
도구적 대화와 사교적 대화
정보관계망 사회의 그늘

11 연결된 개인의 탄생
인간관계에 대한 기대와 기존 질서의 약화
변화의 촉발: 다른 질서를 상상하고 현재의 질서에 질문하기
PC통신에서 우리가 몰랐던 이웃을 발견하다
연결된 개인: 개인의 주체성을 느끼는 작은 마음의 변화

12 연결된 오디언스와 미디어 생태계
사회 인지 본능
메시지 교환자로서 오디언스
채널 희소성의 붕괴
연결의 방식과 내용
메시지 교환자와 콘텐츠의 확산
미디어 생태계의 컨버전스

13 무엇을 질문할 것인가
연결된 개인, 증폭된 개인
다양성에 관하여
관용의 수준은 증가하는가
파편화된 개인인가, 협력적인간인가
후속 연구자를 위해

14 에필로그

참고문헌

Author
김은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며 연합전공 정보문화학의 교육에도 참여하고 있는 뉴미디어 연구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 문화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미디어와 인간관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등을 강의한다. 국민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구와 교육에 임하는 시기가 우연히도 디지털 미디어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면서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에 크고 작은 변화를 일으키는 기간이었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미디어 기술과 서비스가 가져오는 변화와 이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대응에 연구 관심을 쏟아왔으며 특히 학제 간 연구에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다. 미디어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이에 대한 호기심을 풀어내다 보니 2015년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조사에서 신문방송학 분야 총피인용횟수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최근에는 미디어 콘텐츠의 구전 현상을 대상으로 미디어 생태계가 대인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어떻게 접목되는가를 관찰하고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 안에서 이루어지는 크고 작은 창의적 활동과 문화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창의성은 무엇이고 어떻게 계발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는 『창조성의 원천』(2013), 『SNS혁명의 신화와 실제』(2011)[중국어 번역본 『한국 사교 매체 문화: SNS의 발전과 한국 사회(韓國社交媒體文化: SNS的發展與韓國社會)』(2015)], 『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2008) 등이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Handbook of Mediated Communication(2018)과 Handbook of Korean Culture and Society(2017)에 챕터 저자로 참여했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며 연합전공 정보문화학의 교육에도 참여하고 있는 뉴미디어 연구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 문화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미디어와 인간관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등을 강의한다. 국민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구와 교육에 임하는 시기가 우연히도 디지털 미디어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면서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에 크고 작은 변화를 일으키는 기간이었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미디어 기술과 서비스가 가져오는 변화와 이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대응에 연구 관심을 쏟아왔으며 특히 학제 간 연구에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다. 미디어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이에 대한 호기심을 풀어내다 보니 2015년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조사에서 신문방송학 분야 총피인용횟수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최근에는 미디어 콘텐츠의 구전 현상을 대상으로 미디어 생태계가 대인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어떻게 접목되는가를 관찰하고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 안에서 이루어지는 크고 작은 창의적 활동과 문화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창의성은 무엇이고 어떻게 계발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는 『창조성의 원천』(2013), 『SNS혁명의 신화와 실제』(2011)[중국어 번역본 『한국 사교 매체 문화: SNS의 발전과 한국 사회(韓國社交媒體文化: SNS的發展與韓國社會)』(2015)], 『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2008) 등이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Handbook of Mediated Communication(2018)과 Handbook of Korean Culture and Society(2017)에 챕터 저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