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의 '국가'와 장자의 '인간 자유'

BOOKK(부크크) 출판사의 상품은 주문 제작 도서로 주문취소 및 반품이 불가하며, 배송완료까지 KBOOKSTORE 배송 일정 기준 +7일이 추가됩니다.
$28.59
SKU
979112725223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1/13
Pages/Weight/Size 188*257*20mm
ISBN 9791127252236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도학(道學: 道家·道敎·丹道)의 핵심에 노장철학이 있다. 노장철학은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라는 혼란기의 시대적 산물이다. 춘추·전국시대의 시대적 위기가 제자백가로 하여금 현실 문제의 해결에 대한 해답을 요구하게 되었다. 노장철학은 이론을 위한 이론이 아니다. 노장철학은 노자와 장자라는 인물, 그들이 살았던 춘추·전국시대라는 혼란기에 발생하였던 시대 문제를 고민하고 그 해결 방법을 탐구한 결과물이다. 전통적 관점에 의하면 노자는 춘추시대 말기에 살았던 인물이다. 장자는 전국시대 중기에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노자와 장자는 서로 200년 정도의 차이가 있다. 즉 그들은 직접적인 사승(師承) 관계가 없다. 그렇지만 노자와 장자가 도가철학의 중심에 서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 둘의 문제의식은 다르다. 노자의 문제의식이 ‘국가’를 대상으로 삼았다면 장자의 문제의식은 ‘인간 자유’를 대상으로 삼았다.
Contents
∥목차∥

∥ 책머리에 ∥

| 제1부 노자철학: 무위자연 |

제1장 노자철학의 시대적 배경 / 10
제1절 주대 예악제도의 붕괴 / 12
1. 강력한 제후국의 등장: 춘추 오패 / 16
2. 전국 칠웅의 다툼 / 19
제2절 신분질서의 변화: 사 계급의 등장 / 20
제3절 경제적 변화: 토지제도와 조세제도의 변화와 상?공업의 발달 / 24
1. 토지제도의 변화 / 25
2. 조세제도의 변화 / 27
3. 상?공업의 발달 / 29

제2장 노자의 생애 / 32
제1절 노자라고 말하는 세 사람
-노담(老聃)·노래자(老萊子)·태사담(太史?): 『사기』 「노자열전」을 중심으로 / 32
제2절 기타 문헌의 검토 / 38
제3절 『노자』 문헌을 통한 검토 / 40
제4절 이전 학자들의 관점 검토 / 41
제5절 결론: 불확실한 인물 노자 / 42

제3장 『노자』의 고증 및 판본 문제-초간본·백서본·통행본 / 44
제1절 초간본 『노자』 / 45
제2절 백서본 『노자』 / 51
제3절 통행본 『노자』 / 53

제4장 도론: 도의 형이상학 / 56
제1절 도론 / 57
1. 존재론적 해석 / 58
2. (우주)생성론적 해석 / 61
(1) 생성 / 62
(2) 복귀 / 64
3. 인식론적 해석 / 68

제5장 체도론: 도와 인식 / 76
제1절 도와 인식 / 76
1. 도와 인간의 감각?사유 / 76
2. 도와 언어 / 78
제2절 체도방법론: 위학과 위도 / 84
1. 위학(爲學) / 85
2. 위도(爲道) / 87
(1) 재영백포일(在營魄抱一) / 88
(2) 전기치유(專氣致柔) / 89
(3) 척제현람(滌除玄覽) / 90
(4) 현동(玄同) / 92

제6장 덕론: 만물의 참된 본성
- 상덕(上德)과 하덕(下德) 그리고 사회규범의 한계 / 95
제1절 상덕(上德) / 97
제2절 하덕(下德) / 98
1. 인(仁) / 99
2. 의(義) / 101
3. 예(禮) / 103

제7장 노자의 정치철학 / 106
제1절 노자의 눈에 비친 춘추 말 당시 현실의 모습 / 107
제2절 치자는 도를 본받아야 함 / 109
1. 무위(無爲) / 110
2. 무욕(無欲) / 111
(1) 세 가지 보물(三寶): 자애로움(慈)·검소함(儉)·천하에 앞서지 않음(不敢爲天下先) / 112
(2) 공을 이루어 명성이 따르면 물러남(功成名遂, 身退) / 115
3. 다투지 않음(不爭) / 116
(1) 낮은 곳에 처함(處下) / 118
(2) 인위적 가치를 벗어남(不仁) / 120

제8장 노자의 사회철학 / 123
제1절 소박함(素朴) / 124
제2절 겸허함(謙虛) / 124
제3절 사욕을 적게 함(無私) / 125

제9장 소국과민(小國寡民): 이상적 국가의 모습 / 127
제1절 소국과민 / 127
제2절 백성의 마음으로 자신의 마음을 삼음 / 128
제3절 천하로 천하를 살핌 / 129
제4절 최상의 통치는 백성들이 그것이 있는지도 알지 못함 / 130


| 제2부 장자철학: 소요제물 |

제1장 인간이 처한 실존적 곤경 / 135

제2장 장자철학의 시대적 배경 / 139
제1절 전쟁: “적을 잡아 참수하는 것을 장려하다” / 139
제2절 형벌: “지금시대는 형벌이나 면할 따름이다” / 142
제3절 기아: “아버지인가! 어머니인가! 하늘인가! 사람인가!” / 144

제3장 장주의 생애 / 147
제1절 생졸연대 고증 / 147
제2절 사적 / 151
1. 몰락한 송나라 사람 / 151
2. 『장자』에 보이는 장자의 삶 / 153
3. 장자의 삶: 『장자』를 중심으로 / 155
(1) 빈궁한 삶 / 155
(2) 맑고 깨끗한 정신 / 157
(3) 교우관계: 혜자가 죽고 난 뒤로 말할 상대가 없음 / 159
(4) 제자를 가르침 / 159
(5) 죽음을 달관한 삶 / 159

제4장 『장자』의 성립 문제 / 162
제1절 고증의 측면 / 162
1. 『장자』의 성립 문제 / 163
2. 『장자』의 저자 문제 / 167
제2절 철학사상의 측면 / 171
1. 「내편」(內篇) / 171
(1) 이환추(二環樞): 「소요유」(逍遙遊)와 「제물론」(齊物論) / 172
(2) 기타 5편 / 172
2. 「외편」(外篇)과 「잡편」(雜篇) / 173

제5장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학술활동과 『장자』철학의 연원 / 175
제1절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학술활동 / 175
1. 도가학파 / 176
2. 유가학파 / 177
3. 묵가학파 / 180
제2절 『장자』철학의 연원 / 182
1. 『장자』와 도가 / 182
2. 『장자』와 유가 / 185
3. 『장자』와 혜시 / 187

제6장 인간의 실존: “개체적 존재”와 “사회적 존재” / 189
제1절 개체적 존재로서 인간의 실존: “인간의 삶이란 이처럼 어리석은 것인가?” / 191
1. 생사(生死)의 존재: 삶에서 죽음을 향하여 가는 인간 존재 / 191
2. 생존의 맹목성: “마음이 죽은”(心死) 인간 존재 / 194
제2절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의 실존 / 197
1. 부도덕한 통치자의 폭력: “혼매한 군주와 천하를 어지럽게 만드는 신하”(昏上亂相) / 198
2. 지식인 계급 “유사”(遊士): “도를 버리고 이익을 도모하다”(棄道謀利) / 203

제7장 초월적 자유의 추구: “막막하도다! 어디로 가야할지. 홀연히! 어디로 떠나갈지” / 206
제1절 도론 / 207
1. 본체론과 우주론적 의미의 도 / 209
(1) 본체론적 의미의 도 / 209
(2) 우주론적 의미의 도 / 212
(3) 본체론과 우주론적 의미의 도의 특징 / 214
1) 정체성(整體性) / 214
2) 편재성(遍在性) / 216
2. 경지론적 의미의 도 / 217
(1) 기론(氣論) / 218
(2) 자화(自化) / 220
제2절 체도론 / 221
1. 체도에서 세 가지 문제점 / 222
(1) 성심(成心) / 222
(2) 시공관 / 225
1) 유한시공과 무한시공 / 225
2) 인식방법: 감각과 사유의 한계-접(接)?모(謀)와 예(?) / 227
(3) 언어의 한계 / 229
1) 적(迹)과 소이적(所以迹) / 230
2) 체도 방법상의 9단계: 부묵(副墨)에서 의시(疑始)까지 / 232
2. 도를 체득하기 위한 수양론: 좌망(坐忘) / 234
(1) 객체의 해체: 지식을 제거함(去知) / 235
(2) 주체의 해체: 자신을 잊음(離形) / 236
(3) 경지의 층차: 외천하(外天下)에서 불사불생(不死不生)까지 / 239
제3절 체도경지론: 요천일(寥天一)의 세계 / 241
1. “천지의 정도(正道)를 타고 육기(六氣)를 부린다” / 241
2. “무궁에 노닐다”(遊無窮) / 242
3. 대미(大美)?대락(大樂)의 세계 / 243

제8장 내재적 자유의 추구: 천(天)으로 조화를 이룸 / 245
제1절 천론 / 246
1. 천일(天一) / 246
2. 천일을 제시한 목적-지덕지세(至德之世)·건덕지국(建德之國)이라는 이상세계 / 247
제2절 내재적 자유의 실천을 위한 수양론: 심재(心齋) / 249
제3절 만물의 균등함 / 255
1. 시비논쟁의 원인 / 256
2. 시비논쟁의 해소를 위한 언어의 형식 / 257
(1) 세 가지 언어의 형식: 삼언(三言)-우언(寓言)?중언(重言)?치언(?言) / 258
(2) 언어 운용 방법 / 260
1) 적궤(弔詭): 패론(悖論)-언어의 역설(paradox) / 260
2) 묵(?): 침묵 / 261
3. 시비를 초월하는 방법: “밝음으로 살펴본다”(以明) / 262
(1) 성심을 가진 인간의 시비논변: 이것과 저것(彼是; 因是因非) / 264
(2) 진인의 논변: 인시(因是) / 265
4. 시비와 함께하다: 양행(兩行) / 267

제9장 초월적 자유와 내재적 자유의 조화: 양중(養中) / 269
제1절 “홀로 천지정신과 왕래하면서 만물을 업신여기지 않는다” / 269
제2절 “쓸모 있음과 쓸모없음 사이에 처한다” / 270
제3절 “시비를 다투지 않고 세속과 함께 처한다” / 274

제10장 장자철학의 윤리학 / 276
제1절 정치윤리학 / 276
1. “부득이함”(不得已)의 자각 / 277
2. “온전한 덕을 갖춘 인간”(全德之人)의 수양 / 279
3. “명왕의 다스림”(明王之治)을 실현함 / 281
제2절 사회윤리학 / 282
1. “온전함”(全)에서 “나누어짐”(分)을 살핌 / 283
2. “나누어짐”에서 “온전함”을 살핌 / 285

[참고문헌]
Author
이경환
전남대학교 철학과, 동 대학원 철학과 졸업
중국사회과학원 철학박사 학위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전남대학교 철학과, 동 대학원 철학과 졸업
중국사회과학원 철학박사 학위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