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간화선 전통은 대혜종고의 선사상으로만 규정될 수 없다. 간화선은 조사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저마다의 시각과 태도가 반영된 선불교적 코드였다. 시대별로 선문에서는 선풍진작이나 종권수호 혹은 종단보존 등 다양한 문제의식과 목적의식 속에서 간화선을 수용하거나 강조했고 또 그러한 맥락에서 간화선이 조사선의 정통임을 역설했다. ...... 한국 선불교에서 간화선의 정통성은, 임제선이라는 형식적이고 논리적인 요구보다는 수행중심주의에 근간을 둔 선문의 종교적 순결성을 보존하려는 실제적 요구에 충실하려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간화선을 통해 중생의 본래적 완전성을 믿고 그 믿음을 불쏘시개 삼아 더욱 수행에 전력함으로써 실제적인 선 수행을 중심으로 선문의 정체를 보존하려는 태도, 그것이 고려중기 이후 한국의 선문을 유지해 온 비결이었고 간화선이 현대 한국의 선문에서 정통성을 확보하게 된 이유일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5
제1장 서 론 11
1. 연구배경과 문제제기 11
2. 기존의 연구동향 분석 13
3. 연구의 내용과 범위 20
제2장 간화선에 내포된 문제의식과 정통성 의식 25
1. 대혜종고의 문제의식과 개혁의지 27
1) 원오극근의 선사상과 대혜종고의 심기일전 27
2) 묵조선 비판과 공안선의 개혁의지 36
(1) 대혜의 묵조선 비판 36
(2) 공안선 전통 내부의 개혁정신의 표출 45
2. 간화선의 공안관과 知의 문제 63
1) 간화선의 공안관: 활구와 사구 63
2) 간화와 知 73
3. 별전의 차별의식과 간화선의 고착화 84
제3장 고려 선문의 간화선 수용과 정통성 의식 91
1. 지눌의 간화선 수용과 수선사의 선풍 93
1) 정혜결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