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그림책은 이야기를 순서대로 전개하지 않습니다. 역순으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지요. 결과를 먼저 보여주고, 원인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풀이되는 ‘과(果)-인(因) 관계’는, 여느 이야기들처럼 사건의 결과를 궁금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원인에 주목하게 합니다. 아이들이 왜 우는지, 고양이가 왜 쫓겨났는지, 아빠는 왜 발을 다쳤고 고양이는 왜 펄쩍 뛰어올랐는지, 고양이와 아이들은 왜 깜짝 놀랐는지, 엄마 아빠는 왜 싸웠는지, 아이들은 왜 엄마 아빠를 ‘귀찮게’ 했는지…….
그 ‘과-인 관계’의 양끝에 고양이가 있습니다. 쫓겨난 것도 고양이이고, 쫓겨나게 된 원인도 고양이인 것이지요. 그러나 그것은 이야기의 겉모습일 뿐, 한 꺼풀만 벗기면 우리는 이야기 속의 고양이가 아이들 마음, 곧 ‘동심’의 은유임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이 이야기의 양끝에 있는 것은 바로 ‘동심’이지요. 엄마 아빠에게 쫓겨난 것도 동심이요, 그렇게 된 원인 또한 동심이었던 것입니다. 꽃망울 우연히 터진 것을 그리도 신기해하는 아이들의 마음, ‘우리가 좋아한 것을 엄마 아빠도 좋아할 줄 알았던’ 아이들의 맑은 마음 말입니다.
그래서 이 그림책은 어른들을 불편하게 합니다. 바쁘다는 핑계로, 피곤하다는 이유로 얼마나 자주 아이들의 맑은 마음을 외면했는지, 무시했는지, 무참히 내쫓았는지 돌아보게 하니까요. 그러면서 한편으로 성찰하게 합니다. 도대체 무엇 때문에, 그리고 무얼 위해서 아이들의 맑은 마음을 외면하면서까지, 이토록 바쁘고 피곤하게 살고 있는지를 말입니다. 그렇다면 이 그림책은 어른들이 보아야 할 작품인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