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교육이 희망이다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
$17.28
SKU
978899840813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31 - Thu 02/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8 - Thu 01/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3/10
Pages/Weight/Size 149*215*20mm
ISBN 9788998408138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대한민국의 사람들은 왜 ‘갑질공화국’에 순응하며 살아갈까?
능력지상주의(메리토크라시)는 어떻게 우리의 자존감을 무너뜨리는가?
성적과 학력에 따른 줄 세우기 교육, 자존감마저 잃은 우리 사회, 어떻게 바꿀 것인가?

교육이 바뀌어야 사회가 바뀌고, 삶이 바뀐다. 해답은 ‘민주시민교육’이다.
우리 아이들이 자존감을 살리고 행복한 삶을 누리게 할 희망은 ‘시민교육’이다.
전 세계의 공통된 교육 관심사 ‘시민교육’, 한국적 성찰을 담았다.


『시민교육이 희망이다-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은 민주공화국임을 헌법으로 천명한 우리나라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우리의 학교 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이 어떠한 철학적 토대 위에서, 어떻게 그리고 무엇을 교육해야 하는지를 성찰한 교육철학과 그 실천적 모델을 제시한 책이다.

미래 세대인 우리 학생들을 위한 교육이 더 이상 능력지상주의(메리토크라시)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교육, 즉 성적에 따른 줄 세우기로 끝나서는 안 된다. 저자는 책에서 행복한 자기 삶을 위해 저마다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갖추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곧 민주공화국인 대한민국의 미래 세대는 자존감을 가지고 공론에 참여하여 자신의 삶을 규정하는 사회적, 정치적 질서를 정하는 시민으로 커나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교육이 바로 미래 세대를 위한 희망이다. 이러한 ‘민주시민교육’을 위해 저자는 교육에 대한 민주주의 패러다임을 선언하며 이를 위한 시민교육의 원칙을 제시하고 자존감 가진 시민으로 살 수 있는 데 필요한 역량이 무엇이며, 갖추어야 할 가치관과 민주적 태도란 어떤 것인지 깊이 성찰하고 연구하여 책에 담았다. 특히 한국적 상황을 최초로 철학적 시각에서 제대로 성찰하여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Contents
추천의 글 _5
책머리에 _10

여는 글: 헬조선의 우울에서 빠져나오기 위하여 _19
촛불혁명의 수수께끼 _21
결손 민주주의 _24
시민의 부재라는 문제 _29
민주주의와 교육 _35
사람에서 시민으로 _40
I. 세월호의 아이들과 괴물이 된 청년들 _45
‘가만히 있으라’고? _48
괴물이 된 청년들 _53
유교적 근대성 _57
메리토크라시의 발흥과 교육 병리 _64
메리토크라시의 배반 또는 헬조선 _69
자존감 없는 자아들의 폐허 또는 모욕 사회 _73
II.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는 과연 좋은가? _77
실질적 메리토크라시 _81
메리토크라시적 인정 질서의 인간학적 근거 _85
민주적 인정 질서와 민주공화국의 이상 _90
민주주의적 정의의 우선성 _95
형성적 기획 _99
III.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 _103
민주주의적 교육 정의 _106
교육에 대한 민주주의 패러다임 _112
민주적 삶의 양식과 민주적 학교 _117
IV. 촛불혁명의 일상화 _125
민주적 시민성 _129
‘공중’으로서의 시민 _133
시민적 역량 _139
민주적 가치(관) 및 태도 _147
민주적 인성 _155
시민적 자존감: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특별한 초점 _160
V. 정치 교육이 어떻다고? _163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원칙 다시 보기 _167
헌법애국주의 _171
‘민주적 사회통합’의 이념과 논쟁으로서 민주주의 _174
‘논쟁성의 원칙’ _184
‘살아 있는 민주주의’를 위한 실천성의 원칙 _191
VI. 민주주의를 통해 성장하기 _201
민주시민교육의 세 차원 _204
독일의 학급평의회 _207
서울·경기 혁신학교의 ‘다모임’ _214
창원 태봉고등학교의 ‘공동체 회의’ _221
김해 봉명중학교의 혁신교육을 통한 민주시민교육 모델 _229
진해 제황초등학교의 ‘공론장’ 모델 _238

주석 보기 _245

Author
장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