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역 시경집전 (상)

$41.04
SKU
978899797089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Mon 06/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23 - Mon 05/2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1/11
Pages/Weight/Size 190*225*30mm
ISBN 9788997970896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시경(詩經)》

본서(本書)는 《시경(詩經)》 20권과 이에 대한 주자(朱子)의 《집전(集傳)》에 현토(懸吐)하고 역주(譯註)한 것이다. 《시경》은 B. C. 11세기부터 B. C. 5세기 즉 서주(西周)로부터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이르기까지 약 6백년간의 운문(韻文)을 모은 것으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으로 알려져 있다. 일찍이 《서경(書經)》·《역경(易經)》과 함께 삼경(三經)으로 칭해지고, 여기에 《예경(禮經)》·《악경(樂經)》·《춘추경(春秋經)》을 더하여 육경(六經)으로 불리며 모든 경(經)의 으뜸으로 손꼽혀 왔다.

《시경》은 모두 311편으로 엮어져 있다. 이 가운데 〈소아(小雅)〉의 생시(笙詩)인 〈남해(南?)〉·〈백화(白華)〉·〈화서(華黍)〉·〈유경(由庚)〉·〈숭구(崇丘)〉·〈유의(由儀)〉의 6편은 가사가 없으므로 실제는 305편인 셈이다. 이 때문에 보통 ‘시삼백(詩三百)’이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시는 문장의 정화(精華)라 하여 파경(?經)이라고도 한다.

《시경》은 사언(四言)이 주종(主宗)을 이루고 있지만 삼언(三言)에서부터 구언(九言)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다양하다. 그리하여 후세의 사부(辭賦)는 물론이요, 각종 시체(詩體)도 이 《시경》에서 발달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시경》을 공부함에 있어서는 굳이 주자설에만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초학자들은 훈고(訓?)와 뜻풀이가 비교적 명확한 주자의 《집전》에 입각(立脚)하여 경문(經文)을 완전히 파악한 다음 타당성 있는 이설(異說)을 수용하는 것이 학시(學詩)의 첩경(捷徑)이라고 여겨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경》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우리 선조들의 시사상(詩思想)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詩經集傳 (上)

발간사 · 8
해제 · 10
시경집전 서(詩經集傳序) · 24
시서 변설(詩序辨說) · 29

*****〈국풍國風〉 일(一)*****

〈주남(周南)〉 1-1[一之一]

1. 관저(關雎) · 35
2. 갈담(葛覃) · 48
3. 권이(卷耳) · 52
4. 규목(樛木) · 55
5. 종사(螽斯) · 57
6. 도요(桃夭) · 59
7. 토저(兎罝) · 62
8. 부이(芣苢) · 63
9. 한광(漢廣) · 65
10. 여분(汝墳) · 69
11. 린지지(麟之趾) · 72

〈소남(召南)〉 1-2[一之二]

1. 작소(鵲巢) · 76
2. 채번(采蘩) · 79
3. 초충(草蟲) · 81
4. 채빈(采蘋) · 83
5. 감당(甘棠) · 86
6. 행로(行露) · 88
7. 고양(羔羊) · 91
8. 은기뢰(殷其靁) · 93
9. 표유매(摽有梅) · 96
10. 소성(小星) · 97
11. 강유사(江有汜) · 100
12. 야유사균(野有死麕) · 102
13. 하피농의(何彼穠矣) · 104
14. 추우(騶虞) · 108

〈패풍(邶風)〉 1-3[一之三]

1. 백주(柏舟) · 115
2. 녹의(綠衣) · 122
3. 연연(燕燕) · 125
4. 일월(日月) · 128
5. 종풍(終風) · 132
6. 격고(擊鼓) · 135
7. 개풍(凱風) · 139
8. 웅치(雄雉) · 143
9. 포유고엽(匏有苦葉) · 146
10. 곡풍(谷風) · 149
11. 식미(式微) · 157
12. 모구(旄丘) · 159
13. 간혜(簡兮) · 163
14. 천수(泉水) · 167
15. 북문(北門) · 171
16. 북풍(北風) · 174
17. 정녀(靜女) · 176
18. 신대(新臺) · 178
19. 이자승주(二子乘舟) · 181

〈용풍(鄘風)〉 1-4[一之四]

1. 백주(柏舟) · 184
2. 장유자(牆有茨) · 186
3. 군자해로(君子偕老) · 189
4. 상중(桑中) · 193
5. 순지분분(鶉之奔奔) · 200
6. 정지방중(定之方中) · 202
7. 체동(蝃蝀) · 207
8. 상서(相鼠) · 210
9. 간모(干旄) · 211
10. 재치(載馳) · 214

〈위풍(衛風)〉 1-5[一之五]

1. 기욱(淇奧) · 220
2. 고반(考槃) · 224
3. 석인(碩人) · 227
4. 맹(氓) · 232
5. 죽간(竹竿) · 239
6. 환란(芄蘭) · 242
7. 하광(河廣) · 244
8. 백혜(伯兮) · 246
9. 유호(有狐) · 250
10. 목과(木瓜) · 253

〈왕풍(王風)〉 1-6[一之六]

1. 서리(黍離) · 257
2. 군자우역(君子于役) · 261
3. 군자양양(君子陽陽) · 263
4. 양지수(揚之水) · 265
5. 중곡유퇴(中谷有蓷) · 269
6. 토원(兎爰) · 272
7. 갈류(葛藟) · 275
8. 채갈(采葛) · 277
9. 대거(大車) · 279
10. 구중유마(丘中有麻) · 281

〈정풍(鄭風)〉 1-7[一之七]

1. 치의(緇衣) · 284
2. 장중자(將仲子) · 287
3. 숙우전(叔于田) · 289
4. 대숙우전(大叔于田) · 292
5. 청인(淸人) · 295
6. 고구(羔裘) · 299
7. 준대로(遵大路) · 302
8. 여왈계명(女曰鷄鳴) · 303
9. 유녀동거(有女同車) · 307
10. 산유부소(山有扶蘇) · 310
11. 탁혜(蘀兮) · 312
12. 교동(狡童) · 313
13. 건상(褰裳) · 316
14. 봉(丰) · 318
15. 동문지선(東門之墠) · 320
16. 풍우(風雨) · 321
17. 자금(子衿) · 323
18. 양지수(揚之水) · 325
19. 출기동문(出其東門) · 327
20. 야유만초(野有蔓草) · 329
21. 진유(溱洧) · 331

〈제풍(齊風)〉 1-8[一之八]

1. 계명(鷄鳴) · 335
2. 선(還) · 337
3. 저(著) · 339
4. 동방지일(東方之日) · 341
5. 동방미명(東方未明) · 343
6. 남산(南山) · 345
7. 보전(甫田) · 349
8. 노령(盧令) · 351
9. 폐구(敝笱) · 353
10. 재구(載驅) · 355
11. 의차(猗嗟) · 357

〈위풍(魏風)〉 1-9[一之九]

1. 갈구(葛屨) · 362
2. 분저여(汾沮洳) · 365
3. 원유도(園有桃) · 367
4. 척호(陟岵) · 370
5. 십무지간(十畝之間) · 372
6. 벌단(伐檀) · 374
7. 석서(碩鼠) · 377

〈당풍(唐風)〉 1-10[一之十]

1. 실솔(蟋蟀) · 380
2. 산유추(山有樞) · 384
3. 양지수(揚之水) · 387
4. 초료(椒聊) · 390
5. 주무(綢繆) · 392
6. 체두(杕杜) · 394
7. 고구(羔裘) · 396
8. 보우(鴇羽) · 398
9. 무의(無衣) · 400
10. 유체지두(有杕之杜) · 403
11. 갈생(葛生) · 405
12. 채령(采苓) · 408

〈진풍(秦風)〉 1-11[一之十一]

1. 거린(車?) · 412
2. 사철(駟驖) · 414
3. 소융(小戎) · 416
4. 겸가(蒹葭) · 422
5. 종남(終南) · 425
6. 황조(黃鳥) · 427
7. 신풍(晨風) · 431
8. 무의(無衣) · 434
9. 위양(渭陽) · 437
10. 권여(權輿) · 440

〈진풍(陳風)〉 1-12[一之十二]

1. 완구(宛丘) · 444
2. 동문지분(東門之?) · 446
3. 횡문(衡門) · 448
4. 동문지지(東門之池) · 450
5. 동문지양(東門之楊) · 451
6. 묘문(墓門) · 453
7. 방유작소(防有鵲巢) · 455
8. 월출(月出) · 457
9. 주림(株林) · 459
10. 택피(澤陂) · 460
Author
성백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