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저자는 경주의 한 명문가이자 독립운동가 집안의 맏딸로 태어나 주부로 50여 년을 살아왔다. 경북여고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후 영어교사와 외국계 은행인 B.O.A(아메리카은행)을 다니다 직업 관료인 남편을 만나 결혼해 전업주부의 길을 걸어왔다.
‘그런 전업주부가 무슨 할 말이 있어서 책까지 썼을까?’ 하고 생각하는가? 사실 우리 사회에서 주부의 일이 값어치로 매겨진 것은 그리 얼마 되지 않는다. 아직까지 이력서 경력란에 한 줄 쓰는 것도 민망해하는 게 현실이다. 시쳇말로 사람들은 주부의 일을 별 것 아닌 것으로 여긴다. 하지만 정작 하루만 손을 놔도 눈에 보이는 것이 주부의 일이다. 든 것은 모르지만, 난 것은 금세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 정작 주부의 일인 것이다.
이 책 저자는 주부로서 그 오랜 세월 동안 한 가정을 책임지고, 막중한 책무를 두 어깨에 짊어진 채 살아왔다. 행정고시를 패스하고 관료의 길을 걸어온 남편을 내조하고, 아이들을 건사하며, 가정경제를 일으켜 세우고, 한 가계의 잡다한 일들을 처리하며 그 긴 세월을 하루도 쉬지 않고 바삐 머리와 손과 발을 놀렸다.
그렇게 살아오다 보니 인생의 황혼기를 맞았다. 우리 인생에서 한낮의 태양을 바라보고 있거나 인생의 봄여름을 사는 사람은 그리 급할 게 없다. 그러나 하루해가 지는 노을 앞에 서면 생각이 깊어진다. 저자 역시 인생에서 하루해가 지는 저녁노을을 바라보는 조급함으로, 더 정확히는 땅거미가 내려앉은 11월의 숲에 선 심경으로 자신의 발걸음을 재촉하며 이 글을 썼다. 기억이 더 희미해지기 전에 자신을 둘러싼 가족사와 자기가 걸어온 길을 기록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Contents
· 추천글
· 머리글
Chapter 1. 나의 서사
나의 고향 나의 뿌리 17 | 아버지와 어머니 20 | 장녀로 태어나서 23 | 초등학생 이선희 27 | 평범한 사춘기 여학생 29 | 여고 시절 31 | 왜 영문학을 선택했나요 33 | 여대생이 되다 34 | 빛났던 청춘 36 | 청춘의 이상과 현실1 37 | 청춘의 이상과 현실2 39 | 하늘색 원피스 41 | 메이데이(May day) 축제 42 | 영학관 생활 44 | 교생실습 46 | 졸업 47 | 선생님의 길 48 | 은행원이 되다 50
Chapter 2. 여자의 일생
결혼의 전주곡 55 | 나의 삶 나의 선택 56 | 청년 이천수 59 | 신혼생활 64 | 셋방살이와 남편의 재발견 66 | 남편과 문패 69 | 아빠의 길 엄마의 길 71 | 날림공사 집 73 | 어머니와 오 남매 74 | 가족이 되어가는 시간 76 | 남편은 암행어사 78 | 분식집 사장님이 되다 80
Chapter 3. 성장과 발전
부부의 길 87 | 박봉 공무원 아내의 경제학 90 | 남편도 모르는 시간 92 | 우리 집 94 | 운전면허 시험 96 | 막내딸 출생 97 | 문교부로 이동한 남편 99 | 가출 101 | 분노의 경제학 105 | 한꺼번에 두 주인을 107 | 백년손님 109 | 어머니와 나 111 | 나의 안식년 113 | 잊지 못할 한계령 115 | 나의 삶 나의 사랑 117 | 억척 생활인으로 돌아온 나 122
Chapter 4. 남편 이천수
잔디밭이 있는 단독주택 147 | 여행다운 첫 여행 149 | 대학 총장 이천수 151 | 남편의 미국 출장 153 | 뉴욕에서 155 | 위스콘신대학으로 가는 길 155 | yes가 불러온 만찬 참사 157 | 텍사스A&M대학의 추억 158 | 공(公)적 예절과 사(私)적 친절 159 | LA에서 만난 사람들 161 | 하와이대학과 하와이퍼시픽대학에서 162 | 일본 구마모토 여행 163 | 도쿄에서 165 | 오사까 전 총영사 서현섭 박사 166 | 천안대 국제대학원에서 공부하다 167 | 총장 남편과 졸업생 아내 169 | 큰딸 정원의 결혼식 170 | 아들 상규의 결혼식 174 | 막내 정진의 결혼식 179 | 정진의 의사 오디세이 181 | 우리 집 우리 가족 189 | 대진대학 총장 취임식 192 | 대순진리회 194 | 총장공관 196 | 공유공간의 의미 197 | 대진대학교와 중국의 교류 199 | 상해 여행 201 | 김구 선생의 손자를 만나다 204 | 하얼빈대학 방문길 204 | 백두산 가는 길 206 | 하얼빈대학 208 | 2010 상하이 엑스포 참관 209 | 중국관을 관람하며 211 | 한국관과 북한관을 돌아보며 212
Chapter 6. 삶의 뒤안길
두 번째 미국 여행 217 | 롱아일랜드의 하숙집 219 | 황당한 송금 사건 220 | 정진의 미국 생활 221 | 큰딸과 뉴욕을 걷다 223 | 사위의 졸업식 225 | 시카고의 명사가 된 친구 부부 227 |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옐로스톤까지 230 | 포천을 떠나며 233 | 삶의 뒤안길 235 | 명도소송 236 | 주택 원상 복구 사건 237 | 낡은 주택과 월세 243 | 손녀의 중학교 입학 246
Chapter 7. 내가 살아가는 방식
남편의 부재 251 | 내 인생의 멘토 253 | 떡 본 김에 제사를 255 | 분노의 경제학 259 | 시간의 경제학 261 | 신사의 아내 264 | 공유의 경제학 267 | 오지랖이 넓어서 270 | 나의 삶에 포상을 282 | 경주 소정의 축소판 용인 아파트 285
Chapter 8. 나의 뿌리인 경주 소정과 풍산 오미마을
아버지와 함께 여행을 291 | 아버지 293 | 성묘. 고향으로 가는 길 294 | 성묘. 뿌리를 찾아가는 길 296 | 성묘. 여인의 삶 298 | 포천의 사랑방 300 | 아버지와 꽃 302 | 성묫길 자매들 303 | 경주 이씨 소정의 뒤안길 305 | 소정 경주 이씨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307 | 내 고향 경주 소정마을 313 | 양동 할아버지 320 | 양동 아주머니 324 | 양동 아저씨의 미수연 326 | 나의 외가(外家) 오미마을과 풍산 김씨(豊山 金氏) 330
나는 꿈꾸는 낙타_내지_1-424p(별색2도).indd 12 2024-05-22-수 오전 12:21:04
Chapter 9. 사노라면
수익이 엄마 339 | 이덕로 교수 343 | 극우 재일 교포의 모국 나들이 347 | 경북여고 37회 졸업 25주년 사은회 353 | 재경 경북여고 총동창회 355 | 상록회 회원이 되다 361 | 적십자 봉사활동 363 | 남편이 주례를 서다 365 | 주례자는 연출가 366
Chapter 10. 노년의 생활
손자들 이야기 371 | 내 몸이 왜 이렇게 가볍지? 378 | 남편의 재발견 380 | 회색 비닐 가방과의 동행 382 | 우리 집은 물류센터 385 | 며느리의 초대 386 | 코로나 펜데믹과 가족의 재발견 389 | 아내도 쉬고 싶다 390 | 나 자신을 위하여 393 | 나만의 방 395 | 나의 취미는 라인댄스 397 | 라인댄스 401 | 나의 시가(媤家)-고성 함안 이씨의 간략사 403 | 시댁 사람들 412 | 남편의 은퇴와 고향 414
· 맺음말
· 사진첩
Author
이선희
1947년 경북 경주의 한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경북여고를 거쳐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화대학 병설 영란여중 영어교사를 거쳐 외국계 은행인 B.O.A(아메리카 은행)에서 근무 중 직업 관료인 이천수와 결혼 후 퇴직했다. 고상한 신사인 공직자 아내의 삶은 고달팠다. 자녀 양육과 교육 외에도 가정경영 전반을 책임져야 했고, 특히 가정경제를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했다. 또한 친정의 장녀 역할도 상당했다. 그러나 미비한 보살핌 속에서 잘 성장해준 자녀들과 일정 수준의 경제적 안정은 자기계발에 대한 꿈을 꾸게 했다. 결국 51세에 대학원에 진학했다. 초강대국 미국에 대한 관심으로 천안대학교(현 백석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미국학을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상담심리학 박사과정에도 진학했으나 곧 포기하고 말았다. 대학 강사 제의를 받기도 했지만, 남편이나 주변을 위해 시간을 활용하기로 했다. 친·외가 모두 독립운동가 집안으로, 가풍에 따른 철저한 내핍정신과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으로서 그동안 남편의 공직과 사회생활에 걱정이 없도록 대소의 일들을 스스로 처리했다. 특히 가정의 평화를 위해 자신의 안락과 자존심을 버리기도 했다. 또한 가까운 인연들, 이웃과 사회를 위해서도 늘 도움이 되는 삶을 살고 싶어 그들을 위해 시간을 쪼개며 물심양면으로 보탬이 되려고 했다. 거창한 명분의 일 보다는 손에 닿는 일부터 그 가치에 따라 실천하려 했다. 작은 일에 다투지 않고 대체로 양보하며 살았다. 그것이 이선희가 걸어온 조용한 삶의 발자취다. 현재는 슬하의 2남 1녀가 모두 결혼해 5명의 손자녀를 두고 있다. 집 가까운 광교호수공원을 거닐며 손자녀를 맞이하는 행복감으로 잔잔한 노후를 즐기고 있다.
1947년 경북 경주의 한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경북여고를 거쳐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화대학 병설 영란여중 영어교사를 거쳐 외국계 은행인 B.O.A(아메리카 은행)에서 근무 중 직업 관료인 이천수와 결혼 후 퇴직했다. 고상한 신사인 공직자 아내의 삶은 고달팠다. 자녀 양육과 교육 외에도 가정경영 전반을 책임져야 했고, 특히 가정경제를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했다. 또한 친정의 장녀 역할도 상당했다. 그러나 미비한 보살핌 속에서 잘 성장해준 자녀들과 일정 수준의 경제적 안정은 자기계발에 대한 꿈을 꾸게 했다. 결국 51세에 대학원에 진학했다. 초강대국 미국에 대한 관심으로 천안대학교(현 백석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미국학을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상담심리학 박사과정에도 진학했으나 곧 포기하고 말았다. 대학 강사 제의를 받기도 했지만, 남편이나 주변을 위해 시간을 활용하기로 했다. 친·외가 모두 독립운동가 집안으로, 가풍에 따른 철저한 내핍정신과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으로서 그동안 남편의 공직과 사회생활에 걱정이 없도록 대소의 일들을 스스로 처리했다. 특히 가정의 평화를 위해 자신의 안락과 자존심을 버리기도 했다. 또한 가까운 인연들, 이웃과 사회를 위해서도 늘 도움이 되는 삶을 살고 싶어 그들을 위해 시간을 쪼개며 물심양면으로 보탬이 되려고 했다. 거창한 명분의 일 보다는 손에 닿는 일부터 그 가치에 따라 실천하려 했다. 작은 일에 다투지 않고 대체로 양보하며 살았다. 그것이 이선희가 걸어온 조용한 삶의 발자취다. 현재는 슬하의 2남 1녀가 모두 결혼해 5명의 손자녀를 두고 있다. 집 가까운 광교호수공원을 거닐며 손자녀를 맞이하는 행복감으로 잔잔한 노후를 즐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