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재구성은 오늘날 교육계의 가장 뜨거운 이슈로 간주된다. 인터넷과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우리는 일상적으로 지구 반대편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도 의견을 교환하고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반복적인 단순 노동 대신에 지식을 기반으로 한 혁신이 모든 산업에서 일상화되고 있다. 그래서 학교는 다양한 지식을 실제와 같은 상황에서 활용하면서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세계 시민들과 협력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하라는 요구를 받고 있다. 교과별로 분리된 영역의 경계를 넘어 교육과정을 통합하고 융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서울형 혁신학교인 서울신은초등학교 교사들이 스스로 지난 4년 동안 고군분투하며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모든 학년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실천 경험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학생 개인의 자기실현과 공동체의 발전이라는, 교육의 보편적 목표에 바탕을 두고, 학교가 ‘교육 주체들이 행복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어가는 배움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관점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했음을 밝히고 있다.
이 책에 따르면, 진정한 학습은 몸과 마음을 통해 경험함으로써, 생각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과 주고받음으로써, 과거 경험을 새로운 지식으로 다시 생각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그 성과는 아이들의 높은 시험 점수가 아니라 그들이 함께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동료 시민들과 소통하며, 사회가 자연과 더불어 지속될 수 있도록 만드는 능력을 통해 드러난다. 그리고 아이들이 이와 같은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책의 실천 사례들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예를 들어 3학년에서 이루어진 ‘지구는 소중해’는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아이들은 ‘물’이나 ‘흙’처럼 스스로 원하는 소주제를 선택해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데 참여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주제를 모둠별로 조사하여 발표하고, 더 나아가 박물관 전시회를 열어 학부모들을 포함한 학교 구성원들과 그 내용을 공유한다. 4학년 ‘신은마을촌장 선거’ 프로젝트는 ‘촌장’에게 어떠한 권한도 부여하지 않는 가상 선거로 진행된 것이지만, 아이들은 민주주의의 중요한 제도인 선거를 경험함으로써 그 어떤 교과서 설명보다도 더 진지하고 생생하게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국어의 ‘내용 요약’?‘회의 절차’?‘의견의 타당성 평가’, 과학 ‘지표의 변화’, 미술의 ‘관찰표현’?‘디자인’, 사회 ‘주민자치’, 수학 ‘막대그래프’ 등을 재미있게 배웠다.
저자들의 말처럼 이 책에 담긴 실천은 이제 시작 단계라 할 수 있으나 저자들의 바람처럼 그러한 실천은 이 책을 통해 다른 많은 학교들에서 교육과정을 다시 구성하려는 노력을 더욱 발전시키고 교육의 본질을 찾아가는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Contents
저자들의 말 · 4
추천의 글 · 8
서론. 통합과 융합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다 · 13
1. 통합교육과정을 요구하는 시대
2. 통합교육과정의 중요성
3. 통합교육과정의 주제와 운영
1장. 몸으로 배우고 마음으로 느끼는, 1학년 교육과정 · 25
1. 깊고 넓게 배우는 주기집중학습
2. 통합교과의 재탄생
2장. 계절을 빚으며 자연을 닮아가는, 2학년 교육과정 · 77
1. 어떻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했는가?
2. ‘사계절 현장학습’ 프로젝트
3. ‘우리나라의 평화’
4. 동학년 선생님들의 한마디
3장. 생태?환경?노작 교육으로 함께 성장하는, 3학년 교육과정 · 113
1. ‘지구는 소중해’ - 지구 프로젝트
2. ‘옛날 옛날엔’ - 아이들이 스스로 정한 교육과정
3. 김치 프로젝트 - ‘더욱 가까워진 김치’
4장. 민주주의와 인권이 어우러진, 4학년 교육과정 · 181
1. 민주주의의 꽃, 선거를 체험하다
2. 행복한 선물, 나누는 기쁨
3. 서로 다른 우리가 모여 하나를 만드는 세상
5장. 역사로 풀어가는, 5학년 교육과정 · 249
1. ‘역사’를 중심으로 한 통합교육과정
2. 2013 “걸어서 역사 속으로”
3. 2014년, 하루 역사 나들이
4. 2013~2014 역사 프로젝트를 평가하며
6장. 스스로 만들고 함께 나누는, 6학년 교육과정 · 289
1. 나눔의 어린이날 프로젝트
2. 6학년 수학여행 프로젝트, “우리 어디가?”
3. 세계 문화 박람회
맺음말. 교육과정 재구성, 지나온 과정을 돌아보며 · 345
1. 우리 학교 교육목표의 바탕
2. 민주 시민교육을 위한 우리 학교 민주주의
3. 우리가 만든 교육과정으로 우리가 배운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