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순수문학의 갈림길: 정지용과 김기림, 제2부 향수의 미학과 정치학: 노천명과 김종한, 제3부 조선적인 것에의 목마름: 서정주와 임학수, 제4부 전향의 윤리: 김동환, 권환, 김용제, 모윤숙 등 4개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식민지 시대 시 그리고 이념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순수문학의 갈림길
1장 정지용 시에서 주체의 양상과 의미
1. 서론
2. 구성된 풍경과 해도의 상상력
3. 근대의 공포와 신경증적 징후
4. 무력화된 주체와 상징적 죽음
5. 결론
2장 근대적 피로와 미적 초월의 욕망
1. 서론
2. '백록담' 소재 시들의 내적 연관성
3. 근대적 탈 것의 신경증
4. 피로한 일상과 낭만적 동경
1) 근대적 일상에 대한 저항
2) 이상적 추구의 대상으로서의 별
3) 미적 초월의 좌절
5. 결론
3장 김기림 수필에 나타난 대중의 의미
1. 서론
2. 대중의 등장과 시선의 위기
3. 스펙터클로서의 백화점과 고급문화의 위축
4. 일상생활의 감각과 여성 담론
5. 결론
4장 1930년대 비평계와 김기림의 실제비평
1. 서론
2. 백철 비평과 비평적 자의식의 형성
3. 비평의 독자성과 방법론의 모색
4. 실제비평의 양상과 성격
5. 결론
제2부 향수의 미학과 정치학
5장 노천명 시와 향수의 문제
1. 서론
2. 향수의 등장과 대중성
1) 향수의 사회심리학적 배경
2) 향수의 대중적 확산
3. 도시 생활과 향수
1) 향수의 정치성과 미학성
2) 고립된 자아의 풍경
3) 일상의 평화와 회상의 순간성
4) 축제의 시간과 위장된 풍경화
4. 결론
6장 김종한 시에 나타난 전쟁의 수사와 경계인의 자의식
1. 서론
2. 전쟁의 수사와 전시의 우울
3. 근원 회귀와 경계인의 자기 긍정
4. 결론
제3부 조선적인 것에의 목마름
7장 서정주의 자전적 기록에 나타난 행동의 논리와 상황
1. 서론
2. 전이된 생존의 욕구와 영원주의의 형성
3. 오인된 상황과 제국으로부터의 승인 욕망
4. 결론
8장 식민지 지식인의 제국 여행
1. 서론
2. 붕괴된 민족의 확인과 심미적 회복
3. 대륙 여행과 제국 지식인으로의 전신
4. 결론
제4부 전향의 윤리
9장 지원병제와 김동환의 시국 대응
1. 서론
2. 제국주의 동반자의 길
1) '삼천리'의 변신
2) 지원병제에 대한 적극적 관심
3. 전시 인간형의 창조
1) 평등 환상과 죽음에의 주문
2) 여성의 총후 봉공
4. 결론
10장 전향 후 권환의 문학적 모색
1. 서론
2. 문학적 재기와 임화
3. 문학론의 새로운 모색
1) 현실의 재삼투 의지와 리얼리즘의 한계
2) 상상적 이미지를 통한 자유의 모색
4. 일제 강점 말기 시의 양상
1) 출판 상황과 권환의 시집의 의의
2) 리얼리즘의 좌절과 자아 성찰
5. 결론
12장. 모윤숙 시에 나타난 여성과 민족의 관련 양상
1. 서론
2. 본론
1) 민족에 대한 맹목적 이상화와 공적 영역에의 환상
2) 여성성의 동원과 전사자에 대한 애도
3) 문화의 정치화와 정치적 알레고리
3.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승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한국현대시 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일제 강점기 시와 영화에 대한 글을 써왔고, 식민지, 문화라는 키워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식민지시대 시의 이념과 풍경』, 논문으로 「아동 작문의 영화화와 한·일 문화 교섭」, 「1960년대 후반 김수영 시의 미디어 수용 양상」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한국현대시 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일제 강점기 시와 영화에 대한 글을 써왔고, 식민지, 문화라는 키워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식민지시대 시의 이념과 풍경』, 논문으로 「아동 작문의 영화화와 한·일 문화 교섭」, 「1960년대 후반 김수영 시의 미디어 수용 양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