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하나는 채만식의 문학이 어떤 형식과 내용을 갖는지 검토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작가의 작품이 왜 그와 같이 읽히는지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첫 번째 목적은 일제 말기 채만식의 문학이 항일의식을 표현한 항일문학임을 입증하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작가의 작품이 지닌 통일성을 이론적으로 규명할 뿐 아니라 통일을 이루기 위해 사용된 기법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다. 그것을 통합해서 말하면 채만식의 문학을 통하여 일반이론 수립의 가능성을 모색하려고 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Contents
머리말
서론
Ⅰ부 채만식의 역사인식과 항일문학
1장. 채만식 문학연구의 최근 현황과 쟁점
1. 최근 연구의 개황
2. 쟁점
1) 직접적 친일발언이 있는데도 채만식은 항일문학인가
2) 채만식의 소설은 알레고리 구조인가
3. '민족의 죄인'은 고백의 양식인가
2장. '아름다운 새벽'의 알레고리와 상호텍스트성
1. '아름다운 새벽'에 대한 기존 논의
2. '아름다운 새벽'의 알레고리
3. '아름다운 새벽'의 상호텍스트성
3장. 항일문학과 장편소설의 구도
1. 일제 말기 채만식의 소설을 읽는 방법
2. 역사현실의 인식과 장편소설의 구도
Ⅱ부 통일성이론과 읽기 방법
4장. 플롯과 패턴, 그리고 구성
5장. 통일성의 세 차원
1. 지각대상의 단일성
2. 의미의 통일-두 개의 통일이론
3. 느낌-상(象)
1) 문학의 도(道)
2) 형이상학적 특질들
3) 이미지의 현상학
6장. 고차적 통일성과 읽기 방법
1. 통일성을 읽는 한 가지 방법
2. 고차적 통일성의 몇 가지 유형
Ⅲ부 항일문학을 위한 통일의 기법
7장. 플롯의 대응형태
1. 의미생성 구조와 플롯의 기본 형태
2. 단편소설의 대응형태
3. 장편소설의 대응형태
4. 산문형식이 대응형태
5. 해방기 소설의 대응형태
8장. 시공간 구조-역사와 현실을 보는 겹시각
1. 시공간 구조와 통일성
2. 채만식 문학의 시공간 구조
9장. 분신의 기법과 판의 구조
1. 분신의 개념과 역사
2.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분신의 기법
3. 채만식 소설의 분신
4. '탁류'의 분신들
5. '냉동어'의 분신
6. 분신기법과 통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