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필자는 중국 조선족 교육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중국 현지 조선족 소학교의 과거와 현재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학교는 세 곳으로, 조선족 산거지역이자 도시인 장춘시에 위치한 관성구조선족소학교, 조선족 집거지역이자 도시인 연길시에 위치한 중앙소학교, 조선족 농촌 집단농장 지역이자 민족향인 오상시에 위치한 민락중심소학교이다. 이 학교들은 20세기 초반에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조선족 소학교로서의 전통을 면면히 이어오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세 학교의 지역적 특색에 따른 차별적인 역사적 과정과 중국 근현대라는 공통된 배경에 따른 동일한 역사적 과정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중국 조선족 교육의 역사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선족 민족교육의 올바른 미래를 위해 민족교육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제시하였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제1장 서론: 왜 중국 조선족 교육사인가?
제2장 중국 조선족 교육사 연구 설계
제1절 연구 방법
1.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 2. 구술 자료 수집
제2절 조선족 교육사에 대한 이해와 시기 구분
1. 1945년 이전의 재만 조선인 교육 ? 2. 1945년 이후의 조선족 교육
제3장 사례 1: 조선족 산거지구-장춘시 관성구조선족소학교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1. 장춘 지역의 조선인 교육 ? 2. 관성구조선족소학교의 역사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1. 장춘 지역의 조선인 교육 ? 2. 장춘시 관성구조선족소학교의 역사
제4장 사례 2: 조선족자치주-연길시 중앙소학교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1. 연길 지역의 조선인 초등교육 ? 2.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역사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1. 연길 지역의 조선족 초등교육 ? 2.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역사 ? 3.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특징적 운영
제5장 사례 3: 조선족 민족향-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1. 오상시 안가농장의 건립과 운영 ? 2.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의 역사(1939~1945)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1.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의 마을 역사와 교육 ? 2.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의 교사 신축과 운영
제6장 보론 1: 중국 조선족 교육 경험과 교육 세계
제1절 재만 조선인의 교육 세계
1. 교육 환경: 집단 기억 형성의 토대 ? 2. 교육의 의미와 가치: 삶의철학적 목표와 전략적 도구 ? 3. 교육 공 간과 일상: 일상적 고통과 즐거움이 공존하는 곳
제2절 구술 교육사를 위한 제언
제7장 보론 2: 중국 조선족 교육의 역사적 특성
제1절 도착국과 민족교육 간의 권력 역학 ? 제2절 고국의 변화와 민족교육 실천 전략? 제3절 민족교육의 토대, 교육 중시 문화와 친밀감
제8장 요약 및 제언
Author
정미량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대표 저서로는 『1920년대 재일조선유학생의 문화운동』, 『발로 찾아 쓴 조선족 근현대 교육사』,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 교육』(공저) 등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대표 저서로는 『1920년대 재일조선유학생의 문화운동』, 『발로 찾아 쓴 조선족 근현대 교육사』,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 교육』(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