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혁명을 구현하는 새로운 교육철학 『민주시민을 위한 도덕교육』. 새로운 사회의 민주시민을 위해 가치의 혁명을 할 수 있는 교육의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는 책이다. 1부에서는 인간의 마음이 선천적 본성인지, 후천적 양육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2부에서는 대안적 도덕교육 방법론을 분명히 제기하고 이의 장점과 약점을 동시에 다룬다. 3부에서는 앞서 제시한 가치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각 장마다 함께 고민해 보아야 할 한국 도덕, 교육의 논의거리를 두 가지씩 제시해 답을 찾아보도록 권하고 있다.
Contents
1부 인간의 마음과 아동의 도덕적 성숙
1장. 인간의 마음은 선천적 본성이냐 후천적 양육이냐?
마음이란 무엇인가? | 본성과 양육의 논쟁 | 성선설과 성악설의 융합 | 타고난 자질의 계발과 외부의 강제적 부과의 통섭
2장.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도덕성의 어원적 정의 | 도덕성의 정의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 | 도덕성에 대한 동양철학적 견해 | 도덕 그리고 법, 예절, 관습과의 관계
3장 도덕적 성숙에 이르는 두 가지 길
어떻게 행동해야 하느냐? |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느냐? | 최소윤리와 최대윤리의 관계 | 돈오와 점수의 상호작용
2부 도덕교육의 전통과 새로운 대안
4장. 도덕교육의 현대적 통합
도덕교육의 새로운 도전들 | 기본으로 돌아가기와 도덕적 추론 | 맥킨타이어의 도덕적 문제 제기 | 통합적 인격교육 | 교화와 가르침 | 배려윤리의 도전 | 비판적 문해이론과 도덕교육 | 도덕교육의 전체적 흐름
5장. 도덕적 가치의 보존을 위한 문화사회화
사회화의 필요성 | 뒤르껨의 기본 사상 | 사회화의 도덕교육적 과제 | 전통의 재발견 | 사회화 이론의 현대적 전개
6장. 가치 혼돈을 극복하는 가치명료화
가치명료화의 필요성 | 가치란 무엇인가? | 가치명료화 운동의 등장 | 가치명료화의 관점과 목표 | 가치명료화 과정의 7단계 | 가치명료화 이론의 장점과 한계
7장. 합리적 도덕을 위한 정의 공동체 학교 건설
합리적 도덕성 발달의 필요성 |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도덕적 추론 | 인지발달론의 도덕적 단계 | 도덕적 유형 | 도덕교육의 세 가지 방법 | 합리적 도덕교육을 넘어
8장. 상호-돌봄을 위한 배려의 윤리
배려윤리의 필요성 | 여성주의 철학자들의 연구동향 | 광계적 존재론으로서의 배려윤리 | ~에 ‘대한’ 배려와 ~를 ‘위한’ 배려 | 배려의 도덕교육 | 배려윤리의 이점과 한계
9장. 행복하게 살기 위한 덕윤리
덕윤리학의 필요성 | 인지적 발달주의의 한계 |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 자기지향적 덕과 타인지향적 덕의 중첩 | 의지의 나약함과 교사의 모범 | 대안적 덕윤리를 향해
10장. 앎과 행동의 통합을 위한 인격교육 운동
인격교육의 요청 | 인격교육론의 등장 배경 | 덕으로 구성된 인격의 개념 | 통합적 인격교육의 동향 | 통합적 인격교육론의 한계와 과제
11장. 개인주의와 시장주의를 넘어서는 공동체 교육
공동체 교육의 필요성 | 공동체주의 철학의 등장 | 학교교육에서의 공동체 의미 | 개인주의 교육을 포섭한 공동체적 교육의 요청 | 공동체 교육의 유의점
12장. 인간의 기본권을 지키는 인권교육
인권교육의 필요성 | 인권 담론의 변화 | 인권교육의 지향점 | 도덕교육으로서의 인권교육 | 인권교육과 인성 | 인격교육의 통섭
13장. 인간의 안보를 위한 평화교육
평화교육의 필요성 | 평화란 무엇인가? | 평화교육과 도덕교육의 발산과 수렴 | 평화교육의 통섭적 과제
14장.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생태교육
생태교육의 필요성 | 환경이란 무엇인가?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윤리학 |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위한 생태교육 | 생태교육의 핵심적 가치 | 녹색화를 위한 생태적 환경교육의 과제
15장. 다민족의 공존을 위한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 다문화주의란 무엇인가? | 다문화교육의 등장 | 다문화교육의 이념적 변화 | 다문화주의의 주요 쟁점 | 다문화교육의 여러 목적 | 다문화교육과 인격교육의 통섭 | 다문화적 시민교육의 탄생 | 한국 다문화주의 교육정책의 방향
16장. 민주적 시티즌십을 위한 시민교육
시민교육의 필요성 | 시민은 어떻게 탄생되는가? | 민주적 시티즌십이란 무엇인가? | 시민교육의 세 가지 접근 | 시민교육의 활동 방식과 중심 목표 | 시민교육과 도덕교육의 관계 | 민주적 시티즌십을 위한 참여적 시민교육의 요청
17장. 휴머니티의 회복을 위한 실천적 인문학
왜 인문학, 열풍인가? | 인문학의 역사 | 인문교양교육의 이념적 변화 | ‘좋은 삶’을 위한 교양교육과 ‘도덕적 삶’을 위한 도덕교육 | 시민됨을 위한 실천적 인문학 | 인문교양교육의 개혁 가능성 | 실천적 인문학의 새로운 과제
3부 도덕교육의 쟁점과 통섭적 도덕교육
18장. 습관화는 숙고를 결여한 기계적 반복 행위인가?
습관이 왜 중요한가? | 행동의 실천화와 비판적 실천의 종합
19장. 비판적 사고가 없는 도덕교육이 왜 위험한가?
비판적 사고가 왜 필요한가? | 좋은 삶을 위한 실천적 지혜의 요청
20장. 도덕적 정서는 비인지적 요소만을 갖는가?
비판적 사고의 위험성 | 정서의 도덕적 기능 | 정서에 대한 인지주의적 접근 | 공감적 사고와 공감적 도덕성 | 감정의 조절을 위한 정서교육과 공감적 이해
21장. 인지와 정서 그리고 행동의 통섭은 가능한가?
도덕수업의 병렬적 통합의 한계 | 인지와 정서 그리고 행동의 화학적 통섭
22장. 통섭적 도덕교육의 요청
통섭적 도덕교육이 왜 필요한가? | 통섭적 도덕교육의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