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 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는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해 출간된 국정 중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있다. 도덕 교과서의 암묵적인 관점을 분석하여 교과서가 부와 권력을 가진 사회적 강자의 편에 서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사회적 강자의 편에 서 있는 교과서는 사회적 약자를 무시하고, 사회적 약자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외면한다. 도덕 교육이 제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국가주의는 물론 사회적 강자를 지지하는 관점을 버려야함을 강조하며, 저자 역시 그동안 도덕과의 문제에 대해서는 애써 눈을 감고 말았던 이중적인 모습들을 반성한다.
Contents
책을 내면서
서장 한국 도덕 교육에 대한 반성
제1장 도덕 교과서를 비판할 수밖에 없는 이유
1. 개인보다는 타인, 민족, 국가를 위한 삶을 강요한다
2. 전통 도덕으로 현대 사회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 물질적인 가치보다 정신적인 가치를 중시한다
4. 학식이 많거나 사회적으로 출세한 사람들은 보다 '도덕적'이다
5. 맺음말
제2장 과거에 매몰된 윤리
1. 전통 윤리 개념의 문제
2. 전통 윤리에 대한 반성 결여
3. 전통 윤리는 만병통치, 서양 윤리는 병?
4. 오리엔탈리즘 또는 옥시덴탈리즘의 문제
5. 맺음말
제3장 사상 또는 내용 없는 서양 윤리
1. 서양 윤리 사상의 내용 분석
2. 사상 또는 내용 없는 서양 윤리
3.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예상되는 소양 윤리 사상의 문제
4. 보다 나은 서양 윤리 사상을 위한 제언
제4장 청소년을 배제한 성 윤리
1.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
2. 심신 이원론의 문제
3. 양성 불평등과 성적 소수자 차별
4. 맺음말
제5장 부패에 대한 무관심
1. 부패의 사회적 폐해
2. 부패 척결을 위한 국제 공조 체제의 확산
3. 우리 사회의 부패 수준과 그 심각성
4. 도덕 교과의 반부패 교육 현실
5. 맺음말
보론
제1장 현대 한국 사회에서 유교 연구의 문제
1. 문제의 제기
2. 유교의 현대적 유용성 탐구에 관한 연구물 검토
3. 유교 사상의 본질적 한계
4. 한국에서 유교 연구에 대한 고민
5. 현대 한국 사회에서 유교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
제2장 정보화 사회의 성 윤리 문제
1. 머리말
2. 가치관의 변화
3. 정보화와 섹슈얼리티
4. 이중적 성 윤리관 비판
5. 새로운 성 윤리의 정립을 위한 실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