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기업투자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오의약품, 차세대무선통신, 차세대디스플레이, 시스템 반도체, 그린카 등. 미래선도 기술개발에 대한 전망과 신성장동력육성을 위한 원천기술 R&D확대, 연구개발 전문인력 확충, 신기술 확산기반 조성을 위한 건강한 생태계조성을 집중적으로 설펴보고 신성장동력산업의 다양한 아이디어 발굴과 사업화기획에 도움이 되는 3대부문 17개분야를 업종별, 품목별, 국내 외 시장 동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Contents
제1편 녹색기술산업
Ⅰ. 신성장동력산업 총론 25
Ⅱ. 글로벌 녹색성장 현황과 평가 30
제1장 고도물처리산업 35
Ⅰ. 고도 물처리 산업시장 현황 35
1. 국내외 물처리 산업 동향 35
1) 산업동향 35
(1) 물 처리산업 핵심기술 35 (2) 정부의 에코 이노베이션 정책 36
2) 고도 물 처리와 첨단 수처리 플랜트 기술 36
(1) 물 시장 전망 36 (2) 해수담수화플랜트 수출 전망 37
(3) 정부 물 처리 산업 정책 38 (4) 한국의 수처리 기술 수준 38
(5) 세계 물 소요량 전망 39 (6) 물 산업과 기업 발전 전망 39
3) 물 산업 시장 환경과 수익성 39
(1) 물 산업 시장 환경 39 (2) 세계 민간 물기업과 정부 정책 40
(3) 전환기 물 산업 현황 40 (4) 선진국 세계 물 시장 점유율 41
(5) 국내 물 산업 기업 참여와 정부 정책 41
2. 세계 각국의 물 산업 선진화 방안 41
1) 각국의 물 산업 선진화 현황 41
(1) 정부의 물 산업 선진화 추진 41 (2) 메가시티 부상과 병입 샘물시장 규모 42
(3) 국내 물 산업 경쟁력강화 방안 43
3.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동향 43
1) 세계 물 시장 현황 43
2) 한국의 물 산업 강국 전략 44
(1) 국내 물 처리 산업 현황 44 (2) 물 산업 해외진출 여건 분석 44
3) 정부의 물 산업 육성 방안 45
(1) 물 산업 육성 방 45 (2) 하수도 사업 통합운영ㆍ위탁 추진 45
(3) 통합 촉진을 위한 대책 병행추진 45 (4)물산업(물재이용,먹는 샘물,기자재 등) 육성
(5) 친환경 대체용수 산업 육성 47
제2장 녹색금융산업 49
Ⅰ. 국내외 녹색금융산업 시장 현황 49
1. 세계 녹색금융산업 동향 49
1) 녹색금융 분야 경쟁력 및 성장성 49
(1) 녹색산업 금융지원 50 (2) 정부의 녹색금융산업 투자 정책 51
2) 한국의 배출권거래제 해외협력 52
(1) 녹색성장 정책 추진 전략 53
3)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 55
(1) 추진 필요성 55 (2) 녹색금융 정책 추진방향 56 (3) 녹색성장 국제 리더십 강화
2.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해외 거점 확대 56
1) GGGI 추진 필요성 56
(1) OECD 협력 강화 56
3. 국내외 녹색금융 산업정책 현황 57
1) 국내 녹색금융산업 정책 방향 57
(1) 민ㆍ관 역할 분담 57 (2) 민간 역할 57 (3) 녹색금융산업 추진전략 57
4. 배출권 거래제 기본계획 및 시범사업 59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9
(1) 배출권 거래소 설립 60 (2) 녹색기업 여신우대 제도 추진 60
(3) 은행권 TF 및 금융지원 현황 60
2) 자본시장 통한 녹색금융산업 활성화 60
(1) 과제목표 60 (2) 추진전략 및 향후 일정 61
(3) 녹색금융 전문 인력 양성 61 (4) 녹색금융지원 환경정보 D/B 구축 62
(5) 녹색금융 투자업의 육성 정책 63 (6) 녹색금융 투자업 해외지원센터 구축 64
제3장 신재생에너지 65
Ⅰ.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방향 65
1.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65
1) 정부의 신재생산업화 기본전략 65
(1) 신재생 에너지산업 시장전망 65
2) 신재생에너지 매출액 규모 66
(1) 태양광산업 67 (2) 풍력산업 67
3) 신재생에너지 산업 수출 현황 68
(1) 대내외 경기활황과 수출회복 전망 68 (2) 국가별 신재생산업 현황 70
Ⅱ. 태양광발전(Photovoltaic) 71
1.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71
1) 해외 기술개발현황 71
2) 국내 기술개발 지원현황 72
(1) 분야별 태양전지 개발 72
Ⅲ. 태양열(Solar Thermal) 산업 74
1. 태양열산업 해외시장 현황 74
1) 해외시장 현황 74
2) 각국 현황 75
(1) 미국[美國] 75 (2) 일본[日本] 75 (3) 중국[中國] 75
(4) 유럽연합 75 (5) 태양열 이용기술과 분야 75
3) 태양열산업 국내 보급현황 76
(1) 기술개발 지원현황 76 (2) 국내 태양열 시장 동향 77
Ⅳ. 바이오 에너지(Bio Energy) 78
1. 바이오에너지 이용기술 78
1) 국내외 기술 현황 78
2) 외국의 기술개발 현황 78
(1) 미국 79 (2) 프랑스 79 (3) EU 79 (4) 독일 80
3) 바이오에너지 국내현황 80
(1) 바이오에너지 향후 상용화 계획 80
Ⅴ. 풍력에너지(Wind Power) 81
1.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81
1) 해외현황 81
2) 국내현황 81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82 (2) 1단계(1988∼1991) 82 (3) 관련요소 기술개발 (4) 시스템 82 (5) 발전기 및 증속기 83
3) 향후 풍력기술 개발 계획 83
Ⅵ. 수력발전(Hydro Power) 83
1. 수력발전기술 현황 83
1)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시장동향 83
(1) 해외 개발 현황 84 (2) 국내 시장 현황 84 (3) 국내보급현황 85
Ⅶ. 연료전지(FuelCell) 산업 86
1. 연료전지 산업 국내외 현황 86
1) 국내 기술개발 및 보급현황 86
(1) 기술개발 유형별 현황 87
2) 해외 연료전지 산업 현황 87
(1) 유형별 기술현황 87 (2) 각국의 연료전지 기술수준 87
(3) 각국의 연료전지 연도별 발전 현황 88 (4) 국내 연료전지 보급 계획 88
Ⅷ. 석탄(중질잔사유)가스화ㆍ액화 석탄(중질잔사유)가스화 89
1. 석탄가스화ㆍ액화 석탄가스화 기술 및 국내외 기술현황 89
1)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89
2) 해외 현황 89
(1) 미국 89 (2) 유럽 89 (3) 일본 90 (4) 남아프리카 공화국 90
Ⅸ. 폐기물에너지(Waste Energy) 산업 91
1.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91
1) 기술 투자 현황 91
2) 해외 기술현황 91
3) 각국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개발 현황 91
(1)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 91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92 (3) 향후 기술개발 계획
Ⅹ. 수소에너지(Hydrogen Energy) 94
1.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94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94
(1) 미국 94 (2) 캐나다 94 (3) 일본 95 (4) 독일 95 (5) 덴마크 95
2) 국내현황 기술개발 현황 95
(1) 수소에너지 국내 보급 현황 95
제4장 U-시티[U-City] 97
Ⅰ. 정부의 U-시티 정책과 시장현황 97
1. 정부의 U-시티 정책 97
1) 추진 배경 97
(1) 제1차 유비쿼터스 도시 종합계획 [2009~2013] 97
(2) 한국 ‘U-Eco City’와 외국의 사례 99 (3) 개정된 정부의 'U-city 종합계획' 현황 100
2) 정부의 U-City 재정기반 정책 103
(1) 지자체별 정보제공 서비스 민간 위탁 103 (2) 중복되는 시설ㆍ장비의 통합 103
(3) 참여 주체의 다양화 103
3) U-Eco City, 한국토지공사-국토해양부 서비스기술 제공 104
4) 유비쿼터스 도시건설 법률 개정안 105
제5장 지열에너지[geothermal energy] 산업 111
Ⅰ. 지열에너지의 이용 현황 및 전망 111
1. 국내외 지열에너지 추진현황 111
1) 국내 현황 111
(1) 지열에너지 부존량과 사용량 111
2) 세계 지열에너지 이용 현황 112
(1) 세계의 지열 발전 현황 112 (2) 지열에너지 직접 이용 현황 113
(3) 각국의 지열 열펌프 이용 현황 114
3) 우리나라 지열에너지 이용 현황 116
(1) 지열연구의 역사 116 (2) 지열냉난방시스템 도입 현황 116
4) 해외 지열에너지 향후 전망 120
(1) 차세대 저온 지열발전 120
2. 국내외 지열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121
1) 해외현황 121
(1) 유럽 121 (2) 지열에너지 국내기술 현황 121 (3) 각국의 열에너지 보급 현황
제6장 탄소저감에너지 산업 125
Ⅰ. CCS 배출 현황 및 정부의 대책 125
1. CCS 배출 현황 125
1) 국내 현황 125
(1) 2020년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125 (2)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 125
2) 정부의 추진 배경 및 필요성 125
(1) 화석연료 수요 지속 증가 전망 125 (2) 2007~2030년 화석연료 증가율 125
(3) 국내외 CCS 동향 126 (4) 분야별 기술추진 계획 127
3) CCS 투자목표 및 기대효과 127
(1) 기술투자 기대효과 127 (2) 정부 CCS 산업 경쟁력 방안 128
(3) CCS 기술구분 128 (4) CCS 기술 대내외 여건변화 및 전망 129
4) 주요국의 CCS 정책 동향 130
(1) G8 정상 CCS 상용화 촉진 합의130 (2) CCS 기술경쟁력 추진 과제 130
5) CCS 분야별 추진 계획 133
(1) 포집 분야 133 (2)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 추진 133 (3) 수송 및 저장 분야
Ⅱ. 환경관리 및 기반 구축 136
1. 법, 제도 정비 136
1) CCS 보급 확산 및 민간참여 촉진 136
(1) 환경보호 기술개발 136 (2) 사회적 인식 제고 137 (3) CCS 기술기반 및 인력 양성
Ⅲ. 추진체계 및 부처간 역할 분담 138
1. 부처간 역할 분담 138
1) 부문별 거점네트워크 구축 138
(1) CCS R&D센터 138 (2) CCS 협회138 (3) CCS 환경센터 138
2) 투자목표 및 기대효과 139
(1) 분야별 투자 소요 139 (2) 환경관리 및 기반구축 139
제7장 스마트그리드(SG) 산업 141
Ⅰ. 스마트 그리드 산업 배경 및 필요성 141
1. 정부정책 방향과의 연관성 141
1) 에너지소비 효율성 향상 141
(1) 스마트그리드 IHD 보급사업 필요성141 (2) 전기자동차 개요 142
(3) 전기자동차와 미래 성장 동력 145
2) 전기자동차용 충전인프라 개요145
(1) 충전인프라의 개요 145 (2) 스마트그리드 IHD 개요 146
Ⅱ. 하이브리드 카 해외시장 동향 147
1. 전기자동차 해외시장 동향 147
1) 전기자동차 개발 및 보급 현황 147
(1) IHD 제품 종류 147 (2) 전기자동차 보급지원 정책 149
(3) 충전인프라 개발 및 구축 동향 150 (4) 충전인프라 보급지원정책 150
2) 스마트 그리드 IHD 해외 동향 152
(1) 해외시장 동향 152
3) 스마트 그리드 국내 동향 153
(1) 스마트 그리드 IHD 국내 동향 153
Ⅲ. 전기자동차 보급 및 구축 계획 154
1.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 계획 154
1) 전기자동차 보급 계획 154
(1) 충전인프라 구축 계획 155 (2) 충전 인프라 구축비용 157
(3) 스마트 그리드 IHD 보급 계획 157
2) 전기자동차 기대 효과 분석 158
(1) 충전인프라 구축 따른 기대효과 158
3) 스마트 그리드 IHD 보급 따른 경제성 160
(1) 경제성 분석 160
Ⅳ. 충전인프라 타당성 및 사업성 분석 162
1. 충전 인프라 구축 ?업성 분석 162
1) 충전인프라 사업성 분석 162
(1) 사업성 분석결과 162 (2) 스마트 그리드 IHD 163
제8장 해양바이오에너지 164
Ⅰ. 해양바이오에너지 기술개발의 필요성 164
1. 고유가와 화석연료 고갈 164
1) 국내 현황 164
(1) 불안정한 국제 유가 164 (2) 지구 온난화 165
(3) 온실가스 지속 증가 165 (4) 바이오에너지 개발 시급 166
2) 바이오매스와 식량난 166
(1) 온실가스 급증 원인 166 (2) ‘바이오-식량’ 경쟁관계 야기 167
(3) 바이오에너지 당위성 167
Ⅱ. 신ㆍ재생에너지 기술 및 보급 170
1. 국내외 기술 현황 170
1) 추진 배경 170
(1) 해양바이오에너지 정책 170 (2) 국토이용 효율성 저하 170
(3) 신성장동력 산업 포함 추진 171
2)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 172
(1) 해조류 기술 추진 172 (2) 신재생-바이오에너지 연구 시급 172
(3) 해양바이오에너지 상용화 173
3) 국내외 해양에너지 기술개발 현황 174
(1) 해외시장 현황 174 (2) 해양에너지 시장 전망 175
제9장 LED 응용산업 176
Ⅰ. 정부의 LED 산업 정책 동향 176
1. 국내외 LED 산업동향 176
1) 국내 기술 동향 176
(1) LED 활용 제품 176 (2) 각국 기후환경 대응 정책 177 (3) 전통조명 시장 급변화
2) 국내외 LED산업 동향 177
(1) 해외 시장 규모 177 (2) 해외시장 경쟁구도 177
(3) 세계 주요 업체 시장점유율(2007년 기준) 178 (4) 선진기업들 진입장벽 강화 178
(5) 국가차원 LED산업 육성 179
3) 한국 LED산업 현황 180
(1) 국내 LED 시장 180 (2) LED분야 수출입 180 (3) 기업 진출 현황 180
(4) LED업체 분포 현황 181 (5) LED 기술 수준 181 (6) 독보적 원천기술 개발 성공
Ⅱ. 국내 LED산업 시장과 투자 현황 182
1. 국내 LED산업 시장 현황 182
1) 시장 경쟁력 현황 182
(1) 영세한 산업구조 182 (2) 수입의존 편중 심화 183 (3) 초기 투자비용 걸림돌
Ⅲ. 국내 LED산업 비전 및 추진전략 184
1. 정부의 LED산업 3대 추진정책 184
1) 세계 TOP 3 LED 강국 추진 184
(1) LED산업 시장 동향 184 (2) 3대 전략 정책 추진 185
(3) 선도적 시장수요 창출 185 (4) 해외 에너지 법안 현황 186
Ⅳ. 세계적 LED산업 핵심역량 제고 187
1. 핵심기술 경쟁력 강화 187
1) R&D 투자 효율성 제고 187
(1) 분야별 기술 동향 187 (2) 대규모 집중 투자 187
(3) 기술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187 (4) 글로벌 LED산업 경쟁력 강화 188
Ⅴ. LED산업 안정적 성장기반 조성 188
1. 지역별 LED 특화 조성 및 투자 확대 188
1) 고부가가치 창출 지역산업 활성화 188
(1) 전국단위 통합화 188 (2) LED 시장진입촉진 제도 개선 189
(3) LED 산업경제적 기대 효과 189
Ⅵ. 해외 각국의 LED 산업 현황 190
1. 해외 LED 관련 정책동향 190
1) 녹색기술 LED 산업 추진 190
(1) 세계 LED 조명 시장 190
2) 주요국 LED산업 정책 동향 192
(1) 주요국 정책 동향 192 (2) 미국의 LED 관련 정책 192
제2편 첨단융합산업
Ⅰ. 정부의 첨단융합산업 정책 197
Ⅱ. 국내외 첨단융합산업 현황 199
제1장 바이오의약품/의료기기 산업 201
Ⅰ. 바이오제약 및 의료기기 시장현황 201
1. 바이오제약 시장 현황 201
1) 정부 핵심시설 장비 구축 201
(1) 핵심시설 201 (2) 고부가 창출 바이오제약 산업 202 (3)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2) 정부의 바이오제약산업 육성 정책 205
(1) 단지 조성 205 (2) 핵심시설 구축 205 (3) 편의시설 완공 206
(4) 시설 추진계획 206 (5) 우수한 연구인력(기관) 유치 207
3) 우수한 연구기관 유치 209
(1) 의료연구기관 유치계획 209 (2) 공동연구개발 210
(3)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 제도적 지원 212 (4) 연구개발 자금 지원 212
(5) 상호 연계ㆍ협력체계 구축 213 (6) 단지 운영성과 활용 및 전파 213
(7) 첨단의료복합단지 건립 비용 214
Ⅱ. 해외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 215
1. 세계의 블록버스터 제약 기업 215
1) 화이자 제약 매출규모 215
(1) 미국 제약업체 신약개발 현황 215 (2) 해외 신약트렌드와 바이오의약품 전망 216
(3) 국내 신약개발과 시장현황 216 (4) 해외 국가별 신약개발 육성정책 217
Ⅲ. 의료기기 산업정책과 시장동향 217
1. 의료기기 산업시장 동향 217
1) 국내외 의료기기 산업 동향 217
(1) 국내 의료기기 산업현황 218 (2) 의료기기 안전관리의 기본방향 219
(3) 의료기기 사후관리 강화 220 (4) 의료기기 안전관리의 향후 계획 220
Ⅳ. 의료기기 사후관리 강화 222
1. 거짓ㆍ과대 광고 체계적 관리 강화 222
1) 안전관리 및 부작용 보고체계 구축 222
(1) 신문ㆍ방송ㆍ인터넷 등 공적매체 이용 222 (2)국내 의료기기산업 수출입 현황 226
제2장 신소재 나노융합 232
Ⅰ. 나노융합기술과 산업 232
1. 나노융합기술의 중요성 232
1) 국내외 현황 232
(1) 국내 현황 232 (2) 세부 추진과제 및 정책적 제언 233
(3) 나노융합제품 민간인증제 도입 236 (4) 나노산업 정보 인프라 구축 236
2) 나노융합 분야 新성장동력 펀드 활용 237
(1) 세부 추진전략 237 (2) 나노융합산업관련 국제협력 활성화 240
(3) 국내 제조기술 장점 활용 국제협력 241
3) 나노융합기술과 산업 동향 241
(1) 나노융합기술의 의미 및 중요성 241
4) 국내ㆍ외 나노기술산업 현황 및 전망 243
(1) 국내 나노기술기업 지속 증가 243 (2) 국내ㆍ외 정책동향 244 (3) 국내 동향 246
Ⅱ. 국내 나노융합산업 성과 및 평가 248
1. 주요 성과(기술, 산업, 정책) 248
1) 기술개발 248
(1) 나노기술연구 부 248 (2) 분야별 주요 연구개발 성과 249
(3) 정책지원 251 (4) 미비점 및 향후 보완과제 251
Ⅲ. 나노융합산업 발전전략 수립 배경 252
1. 나노융합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252
1) 국내외 나노산업화 현황 252
(1) 국내 산업화 현황 253 (2) 국내외 산업화 대응 253
2) 국내 나노융합산업의 당면 과제 254
(1) 종합 지원체제 구축 254 (2) 연구개발 산업화 254 (3) 세계시장 선점 254
(4) 글로벌 경쟁력 확보 254 (5) 산ㆍ학ㆍ연 연계 협력 255
(6) 인프라 활용 255 (7) 체계적인 교육 255
제3장 디스플레이 [Display] 257
Ⅰ. 디스플레이 산업 시장과 현황 257
1. 디스플레이 산업의 개요 257
1) 산업의 특징 258
(1) 무의미해진 계절적 수요 258 (2) 국내외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 258
2) LCD 수요, 공급 및 Capacity 전망 259
(1) 전통적 수요공급 사이클 실종 259
3) 디스플레이 산업의 동향 260
(1)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방향 260 (2) LCD 산업동향 260
4) PDP 산업 동향 264
(1) PDP 제품개요 264 (2) PDP 시장동향 264
(3) PDP 업계동향 264 (4) 우리나라의 PDP 경쟁력 264
5) OLED 산업동향 265
(1) OLED 제품개요 265 (2) OLED 시장동향 266 (3) OLED 업계동향 266
Ⅱ. 디스플레이 전망 및 발전 전략 267
1.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전망 267
1)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회복세 267
(1) 공급량 따른 제한적 반등 267
2. 발전전략 267
1)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문제점 267
(1) 국내 세제금융 인프라 구축 시급 267
2)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전략 268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센터 설립 268 (2)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강화 268
(3) 지속 성장 위한 인프라 조성 268 (4) 디스플레이 전문인력 양성 268
3)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268
(1) 지원과제 268 (2) OLED 응용 산업 269
Ⅲ. 디스플레이산업 동향 및 대응방안 273
1. 디스플레이 산업 국내외 동향 273
1)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 현황 273
2) 디스플레이산업 개념 및 중요성 274
(1) 브라운관 TV(60년대)→LCD 등 평판디스플레이(90년대)를 거쳐 OLED, Flexible,
투명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발전 274
2.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문제점 274
1) 경쟁여건 측면 274
Ⅳ. 비전 및 중점 추진과제 278
1. 비전 및 목표 278
1) 단기 과제 278
2) 기업애로 해소 279
Ⅴ. 디스플레이산업의 중장기 과제 281
1.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 281
1) 핵심장비 개발 및 기반 조성 281
(1) AM OLED TV 양산 281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281
(3) 인쇄전자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282
2. 장비ㆍ소재 산업 성장기반 마련 282
(1) 수평적 협력 강화 282 (2) 정부-패널, 장비ㆍ소재 기업 참여 282
(3) R&D 세액공제 추진 282 (4) 테스트베드 구축 282
3. 인력 양성 및 고용 창출 283
1) 실태조사 283
(1) 업계 4대 건의사항 283
2) 대책수립 283
3) 고용연계 283
4. 해외시장 진출기반 강화 283
1) 對중국 전략적 협력 283
2) 특허지원 284
3) 표준선점 284
제4장 로봇응용 287
Ⅰ. 국내외 로봇산업 현황과 시장 전망 287
1. 국내 로봇산업 현황 287
(1) 로봇 분야 7개 R&D 선정 287 (2) 원천기술 개발 291
(3) 로봇 요소 기술 구성 294 (4) 세계의 로봇시장 현황 295
2. 서비스로봇 산업 발전 10대 전략 296
(1) 선제적 해외시장 진출 지원 296 (2) 로봇사업 추진내용 303 (3) 주요성과 303
Ⅱ. 정부의 로봇 시범사업 마스터플랜 303
1. 범부처 로봇 시범사업 추진 전략 303
(1) 정부 차원 조기 확산 정책 303 (2) 2011년 로봇 시범사업의 특징 304
(3) 로봇 시범사업 세부 추진 내용 305
2. 아이디어 발굴형 시범사업 추진 306
(1) 5대 로봇 제품별 수출 강화 306
제5장 3D-TV 318
Ⅰ. 정부의 3D TV 산업 정책과 시장 전망 318
1. 국내외 시장 현황 318
(1) 단기ㆍ중장기 전략 추진 318 (2) 3D기술 응용사업 적극 추진 318
(3) 3D인력 양성 지원 318
2. 3D기기ㆍSW산업 고용 창출 320
(1) 4만명 고용ㆍ15조원 시장 창출 320 (2) 200만원대 보급형 출시 예상 321
Ⅱ. 3D TV 및 관련 산업 현황과 전망 322
1. 3D TV 및 관련 산업 현황 322
(1) 3D TV 시장 확대 컨텐츠 생산 적극 참여 322 (2) 국내외 3D 방송장비 시장 323
(3) 3D 영상장비 및 3D 입체영화 증대 323
Ⅲ. 국내 3D 콘텐츠 시장 전망 및 분석 326
1. 국내 3D 콘텐츠 시장 전망 326
(1) 국내 시장규모 326 (2) 3D 영상 특정 장르 326
Ⅳ. 향후 3D TV 성장 전망 329
1. 3D 기능 포함 스마트 TV 진화 329
(1) 미래 TV 서비스 329 (2) 중장기 로드맵 시장 안착 329
(3) 일반 TV 생산 및 매출 감소 예상 329 (4) 관련기기 성장 전망 329
(5) 방송 및 컨텐츠 시장 3D TV 산업 중요한 요소 동반 성장 329
(6) 컨텐츠 수요와 TV 단말기의 수요 불가분 관계 329
(7) 인력부족 및 제작비용 등 컨텐츠 생산 증가 난망 정부 정책 지원 필요 329
(8) 국내 위성ㆍ케이블 TV의 3D 방송 확대 유도 329
(9) 전세계적 3D 방송 관련 표준작업 현재 진행형 329
(10) 무안경 방식 3D TV 상용화 난제 330
(11) 세계적 TV제조업체 기술적 연구 진척 330
(12) 무안경 방식 3D TV 상용화 성공할 경우 시장 확대 330
(13) 정부 무안경 3D TV의 실현 2015년 설정 330
Ⅴ. ETRI, 4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 330
제6장 반도체산업 334
Ⅰ. 국내외 반도체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 334
1. 국내 시장 현황 334
1) 반도체 산업동향 334
(1) 셋톱박스 칩셋 개발 334 (2) Globa DTV SoC개발(LG전자) 335
(3) 반도체 설비투자와 수급 현황 336 (4) 국내 반도체산업과 시장 현황 337
(5) 반도체 DRAM과 NAND 가격 동향 338 (6) 국내외 수출입 전망 339
(7) 정부 시스템반도체 인력양성 정책 342 (8) 반도체 핵심기술의 전략적 개발 343
2) 선순환적 생태계 조성 노력 강화 344
(1) 대기업 중심의 자금지원 확대 344
3) SW-시스템반도체 동반육성 전략 수립 346
(1) 추진배경 346 (2) 주요내용(안) 346
4) 국내 업체 DRAM 생산 원가 비교 346
(1) 차세대 메모리 개발경쟁 치열 346 (2) 정부 원천기술 및 원가절감 지원 347
(3) 비메모리 투자리스크 저감 348
제7장 SaaS 산업 349
Ⅰ. SaaS 산업 추진현황과 시장전망 349
1. SaaS 산업 추진 배경 349
1) 국내 SaaS 시장 현황 349
(1) IT-저탄소 녹색화 추진 349 (2) 국가 그린 IT 전략 349
2) 그린 소프트웨어와 SaaS 352
(1) 비용절감과 기업 사회적 책임352 (2) IT 인프라 통한 에너지 절감 353
(3) 메타데이터 아키텍처 필요성 354
Ⅱ. 녹색 생산정보화와 IT 융합 354
1. 녹색 생산정보화 정책 354
1) 중소기업 IT 기반 녹색화 구축 354
(1) 녹색화 컨설팅 핵심기술 융합 355
2) Client/server computing 방식 시스템 358
(1) 생산정보화 시스템 구현 358 (2) 협업 따른 낭비요인 제거 방안 361
(3) 클라우드 컴퓨팅과 Green IT 362
3) 온라인 임대사용(Saaa) 활성화 362
(1) 세계 SaaS 시장 362 (2) 국내 SaaS 시장 동향 363
(3) 해외 SaaS 시장 동향 364 (4) 1세대 SaaS 지나, 2세대 PaaS 등장 365
제8장 IP-TV 367
Ⅰ. IP-TV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67
1. IP-TV 사업추진과 시장 전망 367
1) 추진배경 및 전망 367
2) 와이브로(WiBro) 시장 성장 367
3) 콘텐츠 산업 수요 증가 368
(1) 과제내용 369 (2) 과제목표 369
(3) 추진전략 및 방안 369 (4) 추진일정 369
4) 방송영상콘텐츠 제작기반 조성 370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70
Ⅱ. 추진전략 및 방안 370
1) 디지털방송콘텐츠 클러스터 구축 370
(1) 주요시설 370 (2) HD 드라마타운 구축 371
(3) 디지털방송콘텐츠 클러스터 구축 371 (4) HD드라마 타운 구축 371
2) 저작권 보호 강화 372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72 (2) 과제목표 372 (3) 지속적인 저작권 보호체계 강화
3) 글로벌 게임허브 센터 구축 373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73 (2) 추진전략 및 방안 374
(3) 킬러 콘텐츠 개발 및 해외진출 지원 375 (4) 우수 콘텐츠 제작 지원 강화 376
4) 콘텐츠 해외수출 보증 및 융자 지원 376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76 (2) 추진전략 및 방안 377 (3) 과제별 목표 377
5) 주력 제조업 및 서비스 SW융합 기술 377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77 (2) 과제목표 378
(3) 추진전략 및 방안 379 (4) 추진일정 379
6) 고부가가치화 위한 SW융합기술 지원 380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80
7) 추진전략 및 방안 381
8) 지역별 특화 SW융합 제품 개발 381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81 (2) 추진전략 및 방안 382
9) SW품질 제고 위한 SW공학 산업지원 383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83 (2) 추진전략 및 방안 383
10) 단계별 추진 전략 384
(1) 추진일정 384
Ⅲ. SW융합 전문인력 양성 384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84
1) 추진배경 384
(1) 과제내용 384
2) 대ㆍ중소 SW기업간 수출멘토링 확대 385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385
3) 방송통신융합 개념 386
(1) 관련 산업 선순환 발전 기대 386 (2) IPTV 관련 산업의 파급효과 386
제9장 RFID-USN 388
Ⅰ. 국내외 RFID-USN 시장 현황 388
1) 국내 RFID-USN 추진 배경 388
(1) RFID-USN 개념 388 (2) 지속적인 기술개발 388
2) RFID/USN 시장동향 388
(1) 세계 RFID/USN 시장동향 388 (2) 지역별 RFID/USN 시장동향 389
(3) 국내 RFID/USN 시장동향 391
Ⅱ. RFID/USN 서비스 수요 분석 392
1) 조사 개요 392
(1) RFID/USN 필요서비스 분석 393 (2) RFID/USN 도입의향, 시기 및 규모 393
Ⅲ. RFID/USN 도입 장애요인 및 지원 395
1) 도입효과 불확실 정부지원 시급 395
2) 컨설팅, 기술, 인력지원 및 양성 절실 396
Ⅳ. 실증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397
1) 기술 및 솔루션 개발 주력 397
2) RFID/USN 개발 및 자금지원 필요 399
3) 지속적 기술 인력 양성 및 지원 400
Ⅴ. USN 기반 텔레매틱스 서비스 및 기술개발 동향 401
1) 미래 유비쿼터스 기반 조성 401
(1) 국내외 USN 산업 동향 401 (2) 부가가치 창출(value-added) 기술 401
Ⅵ. USN 인프라와 텔레매틱스 402
1) USN 인프라 : 도로, 교통, T-센서 402
2) 교통서비스 개선 및 교통사고 감소 402
3) USN 기반 텔레매틱스 서비스 402
(1) 도로 환경정보 제공 서비스 402 (2) 차량 안전운행 지원 서비스 403
(3) 운전자 지원 서비스 403
Ⅶ. 서비스, 특허 동향과 해외사례 403
1) 서비스 및 시장 동향 403
2) 관련 특허 동향 403
3) 해외 기술개발 동향 405
(1) 미국 405 (2) 유럽 405 (3) 일본 406
Ⅷ. 우리나라 기술개발 동향 406
1) 기술분류 406
2) 온도 및 습도 정보 수집 406
3) 태양전지 위주 전원 공급 406
4) 데이터 최적화 전달 기술 406
5) MAC 프로토콜 및 라우팅 프로토콜 개발 406
6) 센서노드 배치 기술개발 필요 407
7) 충돌 예측, 경고 서비스 기술 407
(1) 대표적인 서비스 모델 408 (2) 기술개발 현황 409
제3편 고부가서비스산업
Ⅰ. 정부의 고부가 서비스산업 정책 415
Ⅱ. 각국의 고부가서비스산업 현황과 추진 배경 420
제1장 콘텐츠-SW 산업여건 및 구조 423
Ⅰ. 콘텐츠 시장 현황 423
1. 국내외 시장상황 423
1) 국내시장 규모 423
2) 소프트웨어 시장 현황 423
3) 콘텐츠ㆍSW산업 경쟁력 및 성장성 424
4) 콘텐츠-SW 핵심 장애요인 425
5) 콘텐츠ㆍSW산업 민ㆍ관 역할분담 428
2. 융합형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434
1) 주관 434
2) 2011년 콘텐츠산업 동향과 분석 436
3. 종합편성채널 선정 사업자에 대한 현업 440
1) 지상파, 독립제작사, 투자자ㆍ학계 기대 440
2) 방송콘텐츠산업의 변화 전망 444
Ⅱ. 국내 방송산업 동향 447
1. 창작자ㆍ방송콘텐츠 기업 447
1) 한국문화산업기술인협회[가칭] 설립 준비 447
2) 국내 미디어 이용 현황 451
2. 2011년 상반기 방송 세미나 및 연구결과 452
1) 스마트시대 방송콘텐츠 진흥방안 452
3. 한국드라마 활성화 방안 453
1) 스마트 미디어와 뉴스미디어 미래 453
2) 해외 방송산업 동향 454
제2장 e-Book 콘텐츠-디지탈 스토리텔링 457
Ⅰ. 국내외 e-Book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산업 현황 457
1. 아마존 킨 성공과 E-Book의 재부상 457
1) E-Book 성공 배경 457
2) Kindle의 성공과 E-Book의 재부상 458
3) E-Book 시장의 구조 460
4) E-Book의 실패와 재부상 460
Ⅱ. E-Book의 성공을 가능케 하는 변화들 461
1. 소비자의 태도 변화 461
1) 온라인 구매 확산 461
2) E-Paper 기술의 발전 462
3) E-Book 컨텐츠 증가와 표준화 진전 463
Ⅲ. 각국 정부의 E-Book 활성화 정책 464
1. 교육 선진화 및 녹색성장 장점 464
1) 각국 정부 E-Book 육성 추진 464
2) 국내 디지털 교과서 및 디지털도서관 확충 465
3) E-Book 시장의 현황 및 전망 465
Ⅳ. 국내시장 동향과 전망 467
1. 시장동향 및 전망 467
1) 국내 시장 동향 467
2) 업계동향 468
Ⅴ. 관련산업에 대한 영향 및 시사점 470
1. 관련산업에 대한 영향 470
1) 출판업계 470
2) 디스플레이 업계 471
3) 신문, 잡지 업계 471
4) 시사점 472
제3장 MICEㆍ융합관광 474
Ⅰ. MICEㆍ융합관광 산업현황과 전망 474
1. 국내 MICE 산업여건 및 구조 474
1) 국가브랜드 강화 고부가가치 산업 474
2) 취약한 MICE`관광산업 474
3) MICEㆍ관광산업 경쟁력 및 성장성 475
4) MICE 신성장 동력 목표 478
5) 추진전략 479
2. MICE 통합지원체계 구축 481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81
3. MICE 참가자 비자발급 절차 간소화 485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85
2) MICE 연계 패키지 상품 개발 486
4. MICE시설 확충 및 집적화 487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87
5. 세계적인 수준의 MICE 유치 및 육성 489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89
Ⅱ. 한국적 특성이 담긴 생태관광 자원 육성 491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91
1) 추진배경 491
2) 과제내용 492
3) 과제목표 492
4) 추진전략 및 방안 492
5) 추진일정 493
2. 생태관광 인증제 등 제도적 기반조성 494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94
3. 전용 공연장 구축 및 공연관광 클러스터 조성 496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96
Ⅲ. 세계적 수준의 공연관광 축제 개최 498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98
1) 추진배경 498
2) 과제내용 498
2. 공연사업체 육성 499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499
제4장 U-Health 501
Ⅰ. U-Health 산업여건 및 구조 501
1. 국내외 U-Health 산업여건 및 전망 501
1) 시장 확대 및 유치경쟁 심화 501
2) 각국의 u-Health 추진 현황 502
3) 각국 의료서비스 경쟁력 및 성장성 502
2. 핵심장애요인 : ‘3A’ bottleneck 502
1) 해외인지도(Awareness) 부족 502
2) 외국인환자 접근성(AccessibilityㆍAffinity) 제약 503
3) 외국인 환자에 대한 책임성(Accountability) 개념 미흡 503
4) U-Health 활성화 기반 미약 503
Ⅱ. u-Health 신성장동력 목표 503
1. u-Health 비전 503
1) 글로벌 헬스케어 강국 도약 503
2.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확대 505
1) u-Health 추진전략 505
Ⅲ. 의료기관 국가인증제의 단계적 도입 507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07
1) 과제목표 507
Ⅳ. 한국 의료마케팅 및 해외환자 유치 508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08
1) 추진 배경 508
Ⅴ. 의료이용 비자제도 개선 509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09
1) 과제목표 509
2) 추진전략 및 방안 509
3) 추진일정 509
4) 해외환자 유치 인프라 구축 510
2. 해외환자 의료분쟁 대응제도 구축 510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10
3. u-Health 활성화 위한 법ㆍ제도 정비 512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12
2) u-Health 활성화 기반 조성 512
3) u-Health 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 514
Ⅵ. u-Health 활용 해외의료서비스 진출 515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15
1) 추진배경 515
제5장 U-Learning 517
Ⅰ. U-Learning 산업여건 분석 517
1) 국내 U-Learning 현황 517
2) 교육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및 성장성 518
3) 교육 핵심 장애요인 519
4) 이러닝 신성장동력 목표와 비전 520
5) U-러닝 민ㆍ관 역할분담 520
Ⅱ. 교육과정ㆍ정보화ㆍ인력 해외진출 확대 523
1) 교육정보화 해외진출 정책 523
2) U-러닝 활성화 및 법제도 정비 523
3) 외국인 유학생 유치 추진 525
Ⅲ. 범정부적 U-러닝 지원 추진 527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27
Ⅳ. U-러닝 시범사업 실시 및 인식 확산 529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체험형 U-러닝 환경 진화 529
2. U-러닝 핵심기술 및 콘텐츠 개발 532
1) 추진배경 및 과제내용 532
2) U-러닝 해외진출 지원 533
3) 교육과정의 해외진출 지원 534
4) 교육정보화 해외진출 지원 536
5) 교육인력의 해외진출 지원 537
부록 1 : 2011년 세계경제 전망 541
부록 2 : 신성장동력 ‘스타브랜드’ 62 577
부록 3 : 신성장동력 인력양성 계획 579
부록 4 : 신성장동력 기술전략지도 자문위원 585
부록 5 : 2011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 계획 593
도표(통계) 목차 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