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성리학, 주자학 이름으로 조선조 5백년을 살아 왔다. 정치이념, 사유방식, 생활관습 곳곳에 이 유교적인 것이 남아 있다. 그 전통의 현재 모습은 어떤가? 또 한국의 주체적 시각에서 유교문화권의 철학과 사상을 탐구해 보면 어떨까? 이 책의 전반부는 일반인과 유교종사자를 위한 교양이고, 후반부는 우리의 주체적인 입장에서 시도한 유교사상에 대한 현대적인 조명이며 심층적인 분석이다. 우리의 과거이자 현재라고 할 수 있는 유교문화에 대해 살핀다.
Contents
일러두기
머리말
제1부 유교와 한국문화
유교와 윤리교육: 전통윤리 교육 문제
전통윤리를 어떻게 볼 것인가
관점의 기준 문제
고등학교의 전통윤리 교육
전통윤리와 시민윤리
소결
유교와 한국의 가족문화: 문명사적 관점에서 본다
문화와 국제경쟁력
한국의 문화적 상황
양반문화와 어제와 오늘
유교이념의 특성과 한계
21세기를 가꾸어야 할 한국의 가족제도
소결
한국의 가족 문화: 가족이기주의 문제
한국인의 가족 관념
유교와 한국의 가족
현대 한국에서의 가족의 의미
한국 가족제도의 변화
한국 가족제도의 문제점
경상도의 유교문화: 유학 발달의 배경과 역사
경상도의 지리적 특성과 지역적 중요성
경상도 지역의 역사적 배경
경상도 지역의 문화적 전통
경상도 북부지역의 유학의 발달
경상도 북부지역의 정신적 유산과 미래 과제
한국 유교의 과제: 유교현황과 유교인의 역할
유교를 보는 현대적 시각
현재 한국사회 속의 유교
유교의 과제와 유교인의 역할
한국사회와 유교전통: 이념, 역사, 그리고 현재
유교본래의 이념
역사적 유교의 특성과 한계
현재도 살아 있는 유교문화-가족주의 가치관
유교현황-현재도 남아 있는 유교의 제도와 조직
제2부 동양사상의 현대적 재조명
동양사상의 철학적 개념의 다의성: 한자라는 언어와 관련하여
언어의 문제
맹자와 고자 및 순자의 철학성의 경우
주자와 육상산 및 왕양명의 철학설의 경우
퇴계와 율곡의 철학설의 경우
소결
유가사상에 있어서 자아의 문제: 사회와 우주의 연결망 속에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
원시유가 사상에서의 자아와 개인의 문제
송명 리학에서의 자아와 개인의 문제
소결
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아포리아: 주자학의 발전
아포리아, 조선조 주자학에서
사칠논쟁과 주자학의 철학적 아포리아
유기론의 철학적 아포리아
소결
동양고전의 현대적 활용: 한글 경전의 편찬
동양고전의 활용이란?
현대적 재조명이란?
현행 동양고전의 번역 및 해설(해석) 검토
번역을 넘어서서 창조적 한글경전의 편찬으로
동양사상 연구의 새로운 방향: 중국의 '현대신유학'연구동향과 관련하여
한국의 사회학자 그룹
세계관과 패러다임의 문제
중국의 '현대(당대)신유학 연구'와 비교
소결
유교에 종교성은 있는가: 종교의 초현실성
유교를 다른 종교와 비교해보면
유교를 종교의 사생관 死生觀에 초점을 맞춰보면
유교의 종교성을 초현실성에서 찾는다면
유교에서 초 현실성 추구의 구체적 방법은
보론 / 유교는 누구에게 어떤 메시지를 줄 수 있나?
한국사회와 유교전통
성리학의 우주종교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