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제6~7대 종정을 지낸 성철(1912~1993) 스님 법문은 시자 원택스님에 의해 1993년 열반 직전에 대부분 법문집으로 출간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마지막으로 나오게 된 『성철스님 임제록 평석』(장경각)은 해인총림 방장으로 계시던 성철스님께서 1974년 하안거에서 이듬 해 75년 하안거까지 보름마다 『임제록』을 평석 강설하신 법문이 녹음테이프로 남아 있던 것을 정리, 보완해서 출판하게 된 것입니다.
당시 성철스님께서는 『임제록』 중 전반부이며 중요한 대목이라 할 ‘마방의 서’, ‘상당법문’, ‘시중’의 앞부분까지 평석하시다 중단하시어 안타깝게도 ‘시중’ 나머지 부분과 ‘수시’, ‘감변’, ‘행록’은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었습니다. 원택스님께서는 이 부분이 늘 마음에 걸려 있었는데, 이번에 봉암사 결사 70주년이자 해인총림 백일법문 50주년에 즈음하여 성철스님께서 평석하신 부분은 그대로 정리하고 남기신 부분은 번역만 하여 정리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Contents
1 시작하는 말
1. 본분사를 찾아서
2. 임제스님과 『임제록』
3. 선(禪)과 교(敎)
4. 모든 법문은 독약
2 마방의 서문
1. 『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 마방(馬防)의 서(序)에 붙이는 말
2. 『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에 마방이 붙이는 말
Ⅰ. 상당
1.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1) 어찌 근본도리를 숨기겠는가!
2) 어떤 것이 불법의 근본적인 뜻입니까?
3) 황벽스님 회하에서 세 번 물었다가 세 번 얻어맞았네.
4) 부처가 어디에 있단 말인가?
5) 입을 열기만 해도 깨달음과는 이미 어긋나버린다.
2. 천수천안의 바른 눈[正眼]
3. 무위진인(無位眞人)
4. 주인의 할(喝)과 손님의 할(喝)
1) 재범(再犯)은 용서치 않는다.
2) 손님과 주인의 구별이 분명하다.
5. 법을 구하는 마음가짐
1) 임제스님이 불자를 든 뜻은?
2) 누가 내게 일돈방(一頓棒)을 때려주겠느냐?
6. 진퇴양난의 관문
1) 칼날 위의 일
2) 방아 찧다가 발 떼는 것을 잊다.
3) 알거나 알지 못하거나 모두 틀리다.
7. 고봉정상(高峰頂上)과 십자가두(十字街頭)
8. 가사(家舍)와 도중(途中)
9. 삼구(三句)와 삼현삼요(三玄三要)
? 삼구(三句)와 삼현삼요(三玄三要)에 대한 선사들의 송
1. 삼구(三句)
1) 제일구(第一句)
(1) 풍혈연소(風穴延沼)스님의 송
(2) 도오오진(道吾悟眞)스님의 송
(3) 해인초신(海印超信)스님의 송
(4) 운봉문열(雲峰文悅)스님의 송
2) 제이구(第二句)
(1) 풍혈연소(風穴延沼)스님의 송
(2) 도오오진(道吾悟眞)스님의 송
(3) 해인초신(海印超信)스님의 송
(4) 운봉문열(雲峰文悅)스님의 송
3) 제삼구(第三句)
(1) 풍혈연소(風穴延沼)스님의 송
(2) 도오오진(道吾悟眞)스님의 송
(3) 해인초신(海印超信)스님의 송
(4) 운봉문열(雲峰文悅)스님의 송
2. 삼현삼요(三玄三要)
1) 분양선소(汾陽善昭)스님의 삼현삼요(三玄三要) 송
(1) 삼현(三玄)
① 제일현(第一玄) ② 제이현(第二玄) ③ 제삼현(第三玄)
(2) 삼요(三要)
① 제일요(第一要) ② 제이요(第二要) ③ 제삼요(第三要)
(3) 총송(總頌)
2) 자명초원(慈明楚圓)스님의 삼현삼요(三玄三要) 송
(1) 삼현(三玄)
① 제일현(第一玄) ② 제이현(第二玄) ③ 제삼현(第三玄)
(2) 삼요(三要)
① 제일요(第一要) ② 제이요(第二要) ③ 제삼요(第三要)
(3) 총송(總頌)
? 성철스님의 삼구, 삼현, 삼요에 대한 총평
Ⅱ. 시중
1. 사료간(四料簡)
1) 사람은 빼앗고 경계는 빼앗지 않는다.
(1) 풍혈연소(風穴延沼)스님의 송
(2) 수산성념(首山省念)스님의 송
(3) 법화전거(法華全?)스님의 송
(4) 자명초원(慈明楚圓)스님의 송
2) 경계는 빼앗고 사람은 빼앗지 않는다.
(1) 풍혈연소(風穴延沼)스님의 송
(2) 수산성념(首山省念)스님의 송
(3) 법화전거(法華全?)스님의 송
(4) 자명초원(慈明楚圓)스님의 송
3) 사람과 경계를 모두 빼앗는다.
(1) 풍혈연소(風穴延沼)스님의 송
(2) 수산성념(首山省念)스님의 송
(3) 법화전거(法華全?)스님의 송
(4) 자명초원(慈明楚圓)스님의 송
4) 사람과 경계를 모두 빼앗지 않는다.
(1) 풍혈연소(風穴延沼)스님의 송
(2) 수산성념(首山省念)스님의 송
(3) 법화전거(法華全?)스님의 송
(4) 자명초원(慈明楚圓)스님의 송
5) 불감혜근 선사의 사료간 송과 총송
(1) 탈인불탈경(奪人不奪境) 송
(2) 탈경불탈인(奪境不奪人) 송
(3) 인경양구탈(人境兩俱奪) 송
(4) 인경구불탈(人境俱不奪) 송
(5) 사료간((四料簡) 총송(總頌)
2. 참되고 올바른 견해[眞正見解]
1) 깨달음을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이르리라.
2) 남의 잘못된 주장에 속지 말라.
3) 자신을 철저히 믿지 않음이 병이다.
4) 그대는 조사인 부처와 다름이 없다.
5) 일 없는 사람[無事人]
3. 삼종신(三種身)
1) 결코 밖에서 구하지 말라.
2) 삼종신이란 명칭과 말일 뿐이다.
4. 모든 부처님의 본원
1) 자성의 그림자를 희롱하는 사람
2) 무엇이 법을 설하고 들을 줄 아는가?
3) 한순간도 단절됨이 없어야 한다.
5. 심법무형(心法無形)
1) 일심(一心)도 없다.
2) 삼아승기겁이 공임을 알라.
3) 진정한 도인은 깨달음을 구함이 없다.
6. 참된 자기
1) 그대들에게 단지 한 부모가 있을 뿐이다.
2) 밥값을 갚을 날이 있으리라.
7. 사조용(四照用)
8. 평상의 심법(心法)
1) 억지로 해야 할 일 없어야 귀한 사람이다.
2) 이름뿐인 부처를 구하지 말라.
3) 마음 법을 문자 가운데서 찾지 말라.
9. 심지법(心地法)
1) 불법의 깊은 뜻[玄旨]
2) 나의 설법은 천하 사람들과 다르다.
10. 어디에서나 주인공[隨處作主]
11. 참된 출가[眞出家]
1) 촉비양(觸鼻羊) 같은 출가인
2) 마불(魔佛)을 분별할 줄 아는 출가인
12. 부처와 마구니
1) 부처도 없고 중생도 없다.
2) 눈앞의 이 사람[目前此人]
13. 본래무사(本來無事)
1) 바로 지금 고스란히 드러나 있을 뿐 별다른 시절이란 없다.
2) 만 냥 황금을 쓰는 사람
3) 진정견해(眞正見解)를 구할 뿐 세간의 허물을 책망하지 않는다.
14. 의지함 없는 도인[無依道人]
15. 비밀
1) 문자에 떨어져 삼계에 윤회한다.
2) 찾으려 하면 더욱 멀어지고 구하려 들면 더욱 어긋나버린다.
3) 인생이 무상하니 시간을 아껴라.
? 성철스님의 수좌오계(首座五戒)
16. 모양 없는 네 경계[四種無相境]
17. 오대산에는 문수보살이 없다
18. 응물현형(應物現形)
1) 누가 찾아오더라도 그의 정체를 알아내다
2) 경계를 활용하는 사람[乘境底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