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반도체와 K-POP은 되고, 신약개발은 안 되는 걸까?
잠들어 있는 신약개발의 성공을 깨워라!
코로나19 팬데믹이 수년째 진행 중인 현재, 한국에서도 항체치료제가 자체 개발되고 3상 임상시험 중인 백신도 있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엔 힘들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자동차, 반도체, 스마트폰, 대중음악, 영상 등 각종 분야에서 세계적인 두각을 보이는 한국인데, 왜 신약개발 분야에서는 그러지 못할까?
이 책에서는 국내 신약개발의 현황과 특징을 개괄하고 한국의 신약개발 역량과 자원을 파악하면서 현재까지의 신약개발 지원 정부 정책과 그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또 환자의 신약 접근성을 높일 방법을 해외 사례를 통해 살펴본 뒤, 한국의 신약개발 비즈니스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선순환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함과 동시에 적절한 정부 정책을 제안한다.
신약개발의 전반을 개괄하고 미래를 전망하며 정책 방향까지 제안하기에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학생과 한국 신약개발의 과정을 이해하고 싶은 일반인은 물론, 신약의 연구 개발부터 생산·허가·급여·약가 결정·유통·처방에 이르는 비즈니스 생태계 전반에 걸친 여러 이해 당사자, 마지막으로 국내 제약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고민하고 그 위상을 높이고자 하는 정부 정책 관계자 모두에게 유익하다.
잠들어 있는 한국 신약개발의 성공. 하지만 이 책에서 제시한 정책 방향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다면, 한국이 주도하는 신약개발 앞에 ‘K’자를 붙일 날이 머지않았다.
Contents
1부. 국내 신약개발 경험 및 환경 개괄
1장. 왜 신약을 개발해야 하는가?
2장. 한국의 신약개발 현황
3장. 한국의 신약개발 지원 정책 개괄
2부. Exploration: 신약 후보물질 발굴, 도약을 꿈꾸다
4장. 신약개발 탐색 단계: 현황 개괄
5장. 신약개발 탐색 단계: 인력 및 투자
6장. 신약개발 탐색 단계: 정부 지원 정책
3부. Exploitation: 임상 개발, 비상을 꿈꾸다
7장. 신약개발 임상시험 단계: 현황 개괄
8장. 신약개발 임상시험 단계: 인력 및 투자
9장. 신약개발 임상시험 단계: 정부 정책과 제도
4부. Expedition: 신약 접근성 강화, 환자가 애타게 기다린다
10장. 신약 접근성: 현황 및 문제점
11장. 신약 접근성: 보험급여 등재 이외의 약가 정책
12장. 신약 접근성: 외국의 보험급여 및 약가결정제도
5부. 결론: 신약개발에 K자를 붙이려면
13장. 한국의 신약개발 비즈니스 생태계
부록 1. 의약품 정책의 중심은 제품이 아니라 환자다
부록 2. 신약개발이라는 단어 앞에 K자를 붙이려면
Author
최유나·,이형기,홍예솔,원정현
부산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12년간 글로벌 제약사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응용바이오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다. 서울대학교 신약개발융합연구센터(CCADD)에서 신약의 연구개발, 허가 및 급여와 관련된 규제 의사 결정에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대학원 진학 전 글로벌 제약사에서는 보건의료 전문가의 의학적 통찰을 수집하고 미충족 의료수요(Unmet medical needs)를 파악해 제약회사와 연구자가 적절한 과학적 근거를 생산하도록 지원하는 의학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활약했다.
부산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12년간 글로벌 제약사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응용바이오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다. 서울대학교 신약개발융합연구센터(CCADD)에서 신약의 연구개발, 허가 및 급여와 관련된 규제 의사 결정에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대학원 진학 전 글로벌 제약사에서는 보건의료 전문가의 의학적 통찰을 수집하고 미충족 의료수요(Unmet medical needs)를 파악해 제약회사와 연구자가 적절한 과학적 근거를 생산하도록 지원하는 의학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활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