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 한국 민주정치사상의 발전과정은 민족의 자존. 자립과 동등성의 확보, 그리고 국민의 평등과 자유추구의 역사이다. 문화사대주의적 의식에서 탈피하여 우리의 과거를 올바로 설명하고 오늘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며 미래 한민족의 공동체적 번영을 위한 새로운 정치사관 구축의 과제는 민주적 정치사상의 전통과 불평등의 배타적 지배사상의 본질에 대한 치열한 평가와 재조명을 요구하고 있다.
Contents
1장 한국 정치사상에 대한 재조명
1. 한국 정치사관의 문제와 한국 정치사상의 시각
2. 근세 이래 한국 정치사의 시대구분
3. 중국의 전통적 정치사관
2장 근세 이래 한국 정치사상의 배경
1. 공자의 차별도덕의 주례로 정치론
2. 맹자의 왕도정치론
3. 중용의 제왕권사상 및 주자의 왕조사상
4. 묵자의 경제도덕의 시화도 및 상동정치론
5. 노장의 자연주의 자유 평등사상
3장 조선왕조 건국기의 정치와 주자학의 수용 및 제도화
1. 조선왕조 건국기의 정치 및 사회상황
2. 건국 전반기 이색의 유뷸동화론과 정도전의 배불론
3. 건국 후반기 김종직의 체제보강론과 김시습의 중민사상
4장 통치사상 수정기의 정치와 정치사상
1. 정치 및 사회상황
2. 조선왕조 통치사상 수정의 정치사상
5장 위기극복기의 정치와 정치사상
1. 위기 및 시련의 정치사회상황과 사상동향
2. 김육의 개혁정치론
3. 박세당의 반주자학적 정치사상
6장 실학사상기의 정치사상
1. 18세기의 정치 및 사회상황과 실학
2. 전기 실학자 이익이 정치사상
3. 후기 실학자 홍대용의 정치 사상
7장 종교적 사회운동기의 정치사상
1. 조선왕조말 서교유입과 동학발생의 배경
2. 전통사상과 서교전파의 관계
3. 동학이 정치사상적 성격
4. 종교적 사회운동의 정치사상적 특집
8장 근대국가 건설기의 정치문화
1. 조선시대의 유산과 일제의 식민지적 정치문화
2. 해방과 식민지적 유산의 청산과제
3. 해방 후 한국 정치문화의 변질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