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사 : 고중세편

$16.20
SKU
97889868212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4/05/3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86821277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조계종사-근·현대편』에 이어, 한국불교의 역사와 궤적을 함께 하는 조계종의 역사를 연구한 책. 삼국시대의 불교의 수용에서부터 조계종의 창시자인 도의국사와 고려시대의 지눌국사, 조선 후기 불교계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고대, 중세를 아우르는 한국 불교의 흐름을 선종의 입장에서 선교일치를 주창한 조계종에 중점을 두어 파악하고 있다.
Contents
총설. 조계종사의 범주와 서술 내용

(1)종조·중흥조와 법통인식
(2)시대 구분과 주요 서술 내용
(3)수행 및 신앙 전통

Ⅰ.불교의 수용과 발전

1.삼국시대의 불교 수용과 발전
(1)고구려
(2)백제
(3)신라
(4)가야

2.통일신라와 발해의 불교
(1)교학의 융성
(2)통일신라시대의 불교신앙
(3)발해의 불교

Ⅱ.선의 전래와 조계종의 성립

1.선의 전래
(1)중국 선종의 형성과 발전
(2)선의 전래

2.종조 도의국사와 조계종의 성립
(1)도의국사의 생애와 사상
(2)조계종의 성립

3.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1)구산선문 형성의 사회적 배경
(2)각 산문의 형성 과정과 전개 모습
(3)구산선문의 선풍과 선사의 위상

Ⅲ.조계종의 발전과 사상적 특성

1.고려초기의 조계종
(1)고려 초기의 숭불 정책과 불교의 발전
(2)교학불교의 상황
(3)조계종의 발전과 새로운 선 사상의 도입

2.고려 중기의 조계종
(1)천태종 개창과 조계종의위기
(2)새로운 선풍의 도입과 조계종

3.지눌과 선풍의 진작
(1)지눌과 수선사
(2)지눌의 선 사상
(3)중흥조로서의 위상

4.고려 후기의 조계종
(1)지눌 이후의 수선사선풍
(2)일연의 활동과 사상
(3)몽산선풍의 수용

5.보우와 선문의 통합
(1)보우국사의 생애와 임제선 수용
(2)임제선의 수용과 정착
(3)보우의 선 사상과 중흥조로서의 위상

6.고려말 선사들의 활동과 사상
(1)선사들의 동향
(2)선사들의 생애와 사상

Ⅳ.조계종의 시련과 극복

1.조선 초기의 조계종
(1)태종·세종 대의 불교 탄압
(2)선종으로의 전환
(3)조선 초 선사들의 활동과 사상

2.조선전기의 조계종
(1)연산군·중종 대의 시련
(2)명종 대의 부흥과 순교승 보우

3.휴정과 불교 중흥
(1)휴정의 생애와 승병 활동
(2)휴정의 선 사상
(3)중흥조로서의 위상

4.조선 중기의 조계종
(1)승병의 활동과 불교계의 위상 변화
(2)서산계·부휴계 문도와 그 활동
(3)휴정 문도들의 법통 정비
(4)수행 및 수학 체계의 정비와 의례

5.조선 후기의 조계종
(1)영조의 불교 정책
(2)정조의 불교 정책
(3)선 논쟁의 전개와 의의
(4)조선 말기 불교계의 변화
(5)조선 말기 선사들의 활동과 사상
(6)근대 불교로의 이행

* 찾아보기
Author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쿄대학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수학하며 중국 송대 화엄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제출하기도 했다. 한국사상사학회·불교학연구회 연구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2010), 『Glocal History of Korean Buddhism』(2014), 『토픽한국사 12』(2016), 『韓國佛敎史』(2017, 일본 춘추사) 등이 있으며, 『조계고승전』(2020)을 함께 번역했다.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전통의 흐름』(2007), 『테마 한국불교(1~10)』(2013~2021), 『The State, Religion, and Thinkers in Korean Buddhism』(2014), 『East Asian Buddhism and Modern Buddhist Studies』(2017) 등을 비롯해 스무 권이 넘는 불교학술서를 기획하고 함께 펴냈다.

이 밖에도 「동아시아 근대불교 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 「역사학에서 본 한국불교사 연구 100년」, 「동아시아의 징관 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조선 불교, 고려 불교의 단절인가 연속인가?」, “Formation of a Chos?n Buddhist Tradition: Dharma Lineage and the Monastic Curriculum from a Synchronic and a Diachronic Perspective”, “Buddhism and the Afterl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ading Souls to the Afterlife in a Confucian Society” 등 50여 편이 넘는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대원불교문화상 대상·선리연구원 학술상 등을 수상했으며, 조선시대 불교를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바라보면서 근대불교에도 관심을 두고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쿄대학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수학하며 중국 송대 화엄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제출하기도 했다. 한국사상사학회·불교학연구회 연구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2010), 『Glocal History of Korean Buddhism』(2014), 『토픽한국사 12』(2016), 『韓國佛敎史』(2017, 일본 춘추사) 등이 있으며, 『조계고승전』(2020)을 함께 번역했다.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전통의 흐름』(2007), 『테마 한국불교(1~10)』(2013~2021), 『The State, Religion, and Thinkers in Korean Buddhism』(2014), 『East Asian Buddhism and Modern Buddhist Studies』(2017) 등을 비롯해 스무 권이 넘는 불교학술서를 기획하고 함께 펴냈다.

이 밖에도 「동아시아 근대불교 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 「역사학에서 본 한국불교사 연구 100년」, 「동아시아의 징관 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조선 불교, 고려 불교의 단절인가 연속인가?」, “Formation of a Chos?n Buddhist Tradition: Dharma Lineage and the Monastic Curriculum from a Synchronic and a Diachronic Perspective”, “Buddhism and the Afterl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ading Souls to the Afterlife in a Confucian Society” 등 50여 편이 넘는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대원불교문화상 대상·선리연구원 학술상 등을 수상했으며, 조선시대 불교를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바라보면서 근대불교에도 관심을 두고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