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금, 청소년?

하자센터가 만들어지기까지
$12.96
SKU
978898563552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2/6 - Wed 0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2/3 - Wed 0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2/11/30
Pages/Weight/Size 128*188*30mm
ISBN 9788985635523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십대를 위한 대안 교육 공간 <하자센터>(센터장: 조한혜정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의 이야기를 담아 갈 <하자총서>가 나왔다. 제1권 『왜, 지금, 청소년?』은 “하자센터가 만들어지기까지”라는 부제가 말하는 것처럼, 1998년 봄부터 1999년 겨울까지의 하자센터 준비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최근 하자센터에는 자료를 보내 달라는 요청이나 하자센터의 경험, 시행착오에 대해 강의해 달라는 요청이 부쩍 많아졌고, 하자센터를 벤치마킹을 하기 위해 외국에서 오는 사람들도 있다. <하자총서>는 그런 사람들에게 하자센터의 경험을 좀더 체계적으로 전하기 위한 것이다.

1999년 5월에 문을 연 하자센터의 공식 명칭은 <서울시립 청소년 직업체험센터>다.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센터가 서울시에게 위탁받아 운영하는 이 곳은 문화적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동시에 체험을 통해 교육을 하는 “문화 작업장”이다. “삐뚜름한 아이들,” “노는 아이들”의 능력을 발견하여 자기 길을 찾게 하는 하자센터의 새로운 실험은 많은 이들의 관심과 눈길을 끌고 있다. '하자' 같은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 그것은 분명한 비전, 인력, 자원이다. 새로운 관점과 비전을 만드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첫째는 청소년을 학생 또는 (규제 대상인) 미성년으로만 보는 시대착오적 개념을 비판하고, 청소년을 “문화적 주체”로 자리 잡게 하는 이론적 작업이었다. 둘째는 세계 대도시 청소년 활동 공간을 탐사하고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하자총서 제 1권 『왜, 지금, 청소년?』에는 이러한 새로운 관점을 만들어 가는 이론적 작업이 모두 실려 있다. 근대 이후 청소년이라는 용어가 어떤 과정을 거쳐 생겨났고 21세기 상황에서 청소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짚어볼 수 있다. 그리고 하자센터 같은 공간을 마련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어떤 사람들이 모여서 어떻게 자원과 공간을 확보해갔는지를 보여주는 당시의 기록, 프로그램, 사업 제안서도 함께 실려 있다.
Contents
하자총서를 펴내며
책을 펴내며

여는글
청소년 그들이 살아갈 세상에 대하여

청소년을 읽는다,시대를 읽는다
대학,대중문화,그리고 일상
청소년 문제에서 청소년 존재에 대한 질문으로
1990년대 일본의 도시부족과 미디어부족에 대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청소년,계급,그리고 문화
십대를 읽는 언어

새로가는길-하자센터가 만들어지기까지
유즈비전2020,청년문화센터 사람들
현장탐방을 통한 학습
미디어 교육을 통한 직업창출
독일의 청소년 정책,어떻게 수행되는가?
세기말 대안 교육의 현장,도쿄 슈레를 찾아

실험 작업들
사이버 유스
예비프로그램
시대 읽기의 키워드

하자센터 제안서
Author
조한혜정,양선영,서동진
문화인류학자. 연세대 명예교수. 시대 흐름을 읽고 실천적 담론을 생산해온 학자로서 제도와 생활세계가 만나는 지점에서 문화해석적 시대 탐구를 해왔다. 1980년대에는 ‘또 하나의 문화’와 함께 창의적 공공지대를 만들어 여성주의적 공론의 장을 열어갔으며, 1990년대에는 ‘하자센터’를 설립해 입시교육에 묶인 청소년들이 벌이는 ‘반란’을 따라가면서 대안교육의 장을 여는 데 참여했다. 2000년대부터는 신자유주의적 돌풍에 휘말린 아이들과 청년들 걱정에 서울시 마을공동체위원회 위원장, 서울시 ‘대청마루(범사회적 대화기구)’의 대표를 맡아 관민 협력의 장을 열어갔다. 최근에는 공멸 위기에 처한 인류의 미래를 고민하면서 서울과 제주도, 동아시아와 유럽을 오가며 새로운 학습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여성과 남성》 《탈식민지 시대의 글 읽기와 삶 읽기 1~3권》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다시 마을이다》 《자공공-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 등을 썼고, 공저로 《탈분단 시대를 열며-남과 북 문화 공존을 위한 모색》 《왜 지금 청소년?》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경계에서 말한다》 《가정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인터넷과 아시아의 문화연구》 《교실이 돌아왔다?신자유주의 대학생의 글 읽기와 삶 읽기》 《노오력의 배신》이 있다.
문화인류학자. 연세대 명예교수. 시대 흐름을 읽고 실천적 담론을 생산해온 학자로서 제도와 생활세계가 만나는 지점에서 문화해석적 시대 탐구를 해왔다. 1980년대에는 ‘또 하나의 문화’와 함께 창의적 공공지대를 만들어 여성주의적 공론의 장을 열어갔으며, 1990년대에는 ‘하자센터’를 설립해 입시교육에 묶인 청소년들이 벌이는 ‘반란’을 따라가면서 대안교육의 장을 여는 데 참여했다. 2000년대부터는 신자유주의적 돌풍에 휘말린 아이들과 청년들 걱정에 서울시 마을공동체위원회 위원장, 서울시 ‘대청마루(범사회적 대화기구)’의 대표를 맡아 관민 협력의 장을 열어갔다. 최근에는 공멸 위기에 처한 인류의 미래를 고민하면서 서울과 제주도, 동아시아와 유럽을 오가며 새로운 학습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여성과 남성》 《탈식민지 시대의 글 읽기와 삶 읽기 1~3권》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다시 마을이다》 《자공공-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 등을 썼고, 공저로 《탈분단 시대를 열며-남과 북 문화 공존을 위한 모색》 《왜 지금 청소년?》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경계에서 말한다》 《가정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인터넷과 아시아의 문화연구》 《교실이 돌아왔다?신자유주의 대학생의 글 읽기와 삶 읽기》 《노오력의 배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