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우스의 천형(天刑)을 운명으로 받아들인 채 올림포스 산 위로 끊임없이 바위를 날라 올려야 하는 시시포스는 행복했을까. 교육을 연구하는 학자나 현장 교육자들에게 인간교육은 희망에 찬 과제이며, 교육자로서 우리는 시시포스 신세를 탓하지 말고 기꺼이 '행복한 시시포스'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저자의 교육철학을 담고 있는 에세이집이다.
교육을 연구하는 학자나 현장 교육자들에게 인간교육은 바로 '희망'이다. 정신분석학자 지그프리트 베른펠트Siegfried Bernfeld가 『시시포스와 교육의 한계』라는 저서에서 교육의 한계를 신랄하게 고발했다.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사실과 함께, 교육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서 '교육'이라는 과제에서 결국 희망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음을 찾아내었다.
이 책은 일제고사, 고교 등급제, 국제중 신설에 대한 비판 등을 통해 우리 교육의 현실과 나아갈 방향을 정확히 짚어내고 있으며, 현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 현실과 교육학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가난하진 않지만 철학의 빈곤이 심화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결과적으로 전통적 지식인상 혹은 스승상에 호소하는 다양한 형식의 글들을 통해 저자의 교육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다.
Contents
1장 우리들의 교육, 우리들의 학교
한국 사회의 대중적 욕망이 드리운 슬픈 그림자
일제고사 이야기-교육 시류-
고려대의 ‘고교등급제’ 논란과 대학 자율화 문제
국제중 신설에 대한 비판
계급적인, 너무도 계급적인
노동자 출신 아이들은 왜 노동자가 되는가?
부패한 사회 속의 바른생활
다시 3월을 맞이하여-교육 시류
스승의 날에 즈음하여-교육 시류
달하나 천강에
일기장 검사와 아동 인권
교육 대통령이 중요한 이유
교육감의 정치편향, 정당한가
2장 학교는 아이들을 제대로 교육하고 있는가?
자녀교육, 부모들의 고통을 생각하며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특정한 대안적 교육 모델을 통해 우리의 교육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가?
현재 교육 현실과 교육학에 대한 고민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
3장 교육 현실과 담론
가족 이데올로기와 교육문제
교육 누아르(noir), 허무주의적 교육 담론에 대한 검토
독일의 평준화 교육이 우리의 교육 현실에 주는 시사점
독일 사민당(SPD)의 종합학교 정책―계층통합을 추구하는 학교교육 모델
4장 관용과 이해의 교육
인디밴드의 알몸 노출 이해하기
청소년을 위한 철학교육-그 의의와 방법
똘레랑스 혹은 관용, 그 미덕과 해악-한국 사회에의 올바른 적용을 위하여
일상의 중요성-철학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현상학적 교육학에서 학습에 대한 이해
Author
조상식
1967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중고등학교를 졸업,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3년 동안 구로고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 유럽 인문학 전통에 매료되어 독일로 유학을 떠나, 괴팅겐(Georg-August Uni. Gottingen) 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사회학으로 석사 학위를, 교육 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Dr.disc.pol.)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교육철학/사상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서양근대교육사상, 미학교육론, 도덕교육론, 비판이론 등이다. 저서로는 『현상학과 교육학』, 『윌리엄 제임스』, 『쉽게 읽는 칸트 판단력비판』, 『독일교육학의 이해』, 『근대교육의 종말』, 『이성』(근간) 『푸코, 감옥에 가다』등이 있다.
1967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중고등학교를 졸업,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3년 동안 구로고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 유럽 인문학 전통에 매료되어 독일로 유학을 떠나, 괴팅겐(Georg-August Uni. Gottingen) 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사회학으로 석사 학위를, 교육 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Dr.disc.pol.)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교육철학/사상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서양근대교육사상, 미학교육론, 도덕교육론, 비판이론 등이다. 저서로는 『현상학과 교육학』, 『윌리엄 제임스』, 『쉽게 읽는 칸트 판단력비판』, 『독일교육학의 이해』, 『근대교육의 종말』, 『이성』(근간) 『푸코, 감옥에 가다』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