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이 우리의 문화와 가치를 보존하고 사회를 발전시켜온 원동력임을
사회사와 문화사로써 증명하다!
이 책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이 기획한 두 차례의 학술대회를 통해서, ‘한글의 사회사’와 ‘한글의 문화사’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11편의 글 모음집이다. 주지하다시피 한글은 단순한 의사소통의 도구가 아니라 한국의 문화와 가치를 보존하고 사회를 발전시켜온 ‘원동력’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지식인들이 한글을 연구하며 민본(民本) 사상을 더욱 확고히 해왔다. 한말?일제 강점기에 한글 운동은 곧 민족국가 건설운동이자 근대 시민의 형성과정이었다. 그리고 오늘날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산업화, 세계화의 문화 동력은 곧 ‘한글’의 힘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남북분단을 넘어서는 민족 화해의 동력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 책의 필진으로는 국문학자, 국어학자들과 더불어 역사학자, 사회학자들이 함께 참여하였다. 서로 다른 학술 전통을 지닌 네 분과의 학자들이 모여 함께 토론하면서 각 분과에 닫혀있던 한계를 넘어서서 서로 소통하면서 나온 결과물이 이 책이다.
Contents
간행사
제1부 훈민정음의 창제와 교화·사상
도현철| 훈민정음의 창제와 유교 교화의 확대
1. 머리말
2. 조선의 유교 사회 지향과 훈민정음의 창제
3. 문자 활용 교화와 유교 교화의 확대
4. 맺음말
정호훈|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사상 맥락과 성과-崔錫鼎과 柳僖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최석정의 훈민정음 연구: 『經世正韻』과 표준 한자음 모색
3. 유희의 ‘언문’ 연구: 『諺文志』와 ‘文字位階’의 해체 의식
4. 맺음말
제2부 한글 운동과 민주주의
박영신| 한글과 민주주의의 ‘어울림’ 풀이-역사 사회학의 눈으로-
1. 나의 관심
2. 문자 생활의 계층화
3. 글자 살이의 평등화
4. 한글과 민주주의 Ⅰ
5. 한글과 민주주의 Ⅱ
6. 되새김
이준식| 식민 지배 체제의 극복과 민족 통합의 관점에서 본 한글 운동의 사회사
1. 머리말
2. 2022년에 되돌아보는 한글 운동
3. 주시경 학파의 태동
4. 일제강점기 김두봉과 최현배의 활동
5. 한글 운동을 이은 해방 이후 남북의 언어 정책
6. 한글을 통한 민족 재통합
김병문| 근대계몽기 ‘국문론’의 양상과 새로운 주체 형성의 문제에 대하여
1. ‘언외(言外)의 의미(意味)가 없다면 어찌 귀(貴)하다 하리오·’
2. ‘언외(言外)의 의미(意味)’란 무엇인가·
3. ‘국문론’과 근대적 주체의 형성이라는 문제
4. 문장의 발견과 균질적 주체의 형성이라는 문제
5. 결론을 대신하여
제3부 한글 표기의 실천과 문화사
박부자| 유희 『물명고(物名考)』에 수록된 한글대응어의 가치
1. 서론
2. 국어사적 가치
3. 생태사적 가치
4. 민속사적 가치
5. 결론
이석재| “아학편(兒學編)”영단어 발음의 한글 표기에 관한 소고
1. 서론
2. 영어 문자의 한글 표기 기본 체제
3. 영어 자음의 한글(국문) 표기
4. 결론
박영민| 빙허각 이씨의 한글본 유서 저술과 여성지식
1. 문제제기
2. 『청규박물지』 ·화목부·의 체제
3. 『청규박물지』 ·화목부·의 서술상의 특징
4. 『청규박물지』 ·화목부·의 언해의 특징
5. 마무리
최기숙| 말한다는 것, 이른 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한국서사문학사의 발화동사를 둘러싼 ‘어휘군/어휘장’ 분석을 경유하여-
1. ‘왈’의 역동적 변이를 통해 본 ‘언문 대중’의 역량과 실천
2. 고려시대 서사문학 텍스트와 발화동사 ‘曰’
3. 15~19세기 소설사와 발화동사의 분화/정련화
4.말한다는 것, ‘소리-듣기’를 넘어선 전신적 의사소통 마스크를 쓴 COVID-19시대의 경험과 성찰
제4부 근대 매체와 한글
권두연| 『제국신문』의 국문 인식과 한글 독자(1)-‘국문’ 표현 기사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국문 신문의 표방과 실제
3. ‘국문’ 표현 기사의 양상
4. 나가는 말
한영균| 신문 사설에서의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출현 및 확산
1. 서론
2. 1920년~1940년 사설 텍스트의 현대성 판별
3. 신문 사설에서의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출현 및 확산
4. 마무리: 요약 및 남은 문제들
Author
박영신,도현철,최기숙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버클리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받았다. 사회학 이론,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을 해왔지만, 일관된 관심은 우리 사회의 가치 지향성과 도덕의 문제에 대한 것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이며, 녹색연합 상임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사회학 이론과 현실 인식』, 『역사와 사회 변동』, 『우리 사회의 성찰적 인식』, 『실천 도덕으로서의 정치』, 『겨레 학문의 선구자 : 외솔과 한결의 사회 사상』등이 있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버클리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받았다. 사회학 이론,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을 해왔지만, 일관된 관심은 우리 사회의 가치 지향성과 도덕의 문제에 대한 것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이며, 녹색연합 상임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사회학 이론과 현실 인식』, 『역사와 사회 변동』, 『우리 사회의 성찰적 인식』, 『실천 도덕으로서의 정치』, 『겨레 학문의 선구자 : 외솔과 한결의 사회 사상』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