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토속신앙은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우리 안에 내재해 있는 끈질긴 생명력이다!고려시대의 토속신앙을 통해 이 명제를 증명한다
이 책은 고려시대의 토속신앙에 대한 연구서이다. 성리학 유일(唯一)시대인 조선과 달리, 고려는 다종교-다문화 사회였다. 불교는 물론 유교, 도교, 풍수지리설과 더불어 토속신앙이 유행하였다. 그 토대는 이미 태조 왕건 때에 마련되었다. 이것은 후삼국이 서로 대립?정립하던 때여서 후삼국 통일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종교나 사회세력과도 손을 잡을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이런 경향이 후대에까지 영향을 미쳐 고려왕조에서는 사상과 종교의 다양성이 보장,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고려시대에는 여러 사상과 종교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하였다.
저자는 책에서 고려의 토속신앙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피고 있다. 첫째는 산신 신앙이나 성황 신앙, 무격 신앙의 전반적인 내용과 의미, 그 변화 과정을 살피고 있다. 특히 다른 사상이나 종교와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였는가 하는 점을 집중적으로 살피고 있다. 우선 산신 신앙을 보면, 신라의 5악 숭배가 고려 때도 꾸준히 이루어졌고, 천안의 성거산(聖居山)도 왕건이 산위에 오색 구름이 있는 것을 보고 산신이 있다 여겨 제사를 지내고 이 산을 ‘성거산’이라 불렀다는 데서 유래한 점, 현재 지리산이나 속리산의 ‘天王峰’, 계룡산의 ‘天皇峰’ 등의 명칭에서 보듯, 산이 하늘과 인간을 매개시켜주고 천왕(황)이 강림하는 곳이란 의미가 강해 인격신으로서의 산신 숭배개념을 잘 알 수 있다. 또한 삼국시대까지는 경주 ‘선도산 신모’나 ‘지리산 성모’처럼 여신(女神)으로서의 산신상이 삼국통일 이후, 남자 산신들로 바뀌어져 고려~조선을 거쳐 근대까지 이어졌다는 점은 특이할 만하다.
다음으로 성황 신앙을 살펴본다. 우리나라에서 성황신과 관련된 성황당이 처음 보이는 것은 고려 성종대이다. 태조의 아들이었던 안종 욱(安宗 郁)이 헌정왕후와 사통한 죄로 귀양간 뒤, 자신이 죽으면 사수현(泗水縣)의 성황당(城隍堂) 남쪽에 묻어달라 하여 그렇게 한 결과 그의 아들 대량원군이 왕위에 올라 현종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산신 신앙과 달리 성황 신앙은 중국에서 유입된 신앙형태였다. 다만 우리나라에는 산성이 많아 성황사가 산에 설치되었던 관계로 산신 신앙과 혼합되었고, 조선중기 이후에는 성황 신앙과 산신 신앙이 혼동되어 민간의 기복신앙으로 합쳐지면서 그것이 근대까지 이어진 것이다. 특히 이 성황신앙은 국가권력과 일반백성들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가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Contents
목 차
머리말
1장 서장
Ⅰ. 고려 사상의 다양성과 그 배경
Ⅱ. 고려 토속신앙의 연구동향과 과제
Ⅲ. 본서의 방향과 내용
2장 국가와 토속신앙
Ⅰ. 산신 신앙
1. 산신 신앙의 개념 및 내용
2. 산신 신앙의 유래 및 변천
3. 산신의 역할과 기능
4. 산신 신앙의 의의
Ⅱ. 성황 신앙
1. 성황 신앙의 개념 및 내용
2. 성황 신앙의 유래
3. 성황 신앙의 변천
4. 성황 신앙의 의의2
Ⅲ. 무격 신앙
1. 무격 신앙의 내용 및 유래
2. 무격 신앙의 전개와 변화
3. 무격의 역할
3장 지방과 토속신앙
Ⅰ. 남원과 지리산신사
1. 남원부의 성립과 토성
2. 지리산신사의 연혁
3. 지리산신 신격의 변화
4. 지리산신사의 성립과 기능
Ⅱ. 나주와 금성산신사
1. 나주 나씨와 나주의 성립
2. 나주 오씨와 혜종사
3. 나주 정씨와 금성산신사
Ⅲ. 사천과 성황당
1. 현종의 어린 시절과 사수현
2. 사수현의 성황 신앙
3. 현종의 즉위와 사천
Ⅳ. 순창과 성황사
1. ?城隍大神事跡?의 원문과 해석
2. ?城隍大神事跡?의 특징과 문제점
3. 고려시대 순창의 지방세력과 그 동향
4. 순창 지역의 성황 신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