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근현대 한국 사회의 격랑 속에서 한국의 근대학문을 형성, 발전시킨 터전이었던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의 전신)의 학문과 그 중심인물들을 다룬 연구결과물이다.
연희전문학교는 서양의 근대사상을 수용하면서도 이에 전적으로 흐르지 않고, 동양의 옛 사상,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결합하고자 하였다. 특히 조선문화를 서양사상과 결합한 것은 일제하에서 민족주의, 민족정신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노선이었다. 이런 점은 식민지 학문을 생산하던 경성제국대학이나, 혹은 실용적인 ‘전문교육’만 추구하던 다른 전문학교들과 구별되는 연희전문학교의 특징이었다.
아울러, 이 책에서는 연세의 학문이 다른 대학에 비해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동시에 다른 대학들이 자신들의 대학 역사를 어떻게 정리, 활용하는지도 참고하고자 하였다. 이에 베이징 대학, 도시샤 대학, 그리고 일제하의 관립전문학교의 역사와 학문을 다룬 논문을 실어, 동아시아의 고등교육이 각 국가에서 어떤 의미로 전개되었는지, 또한 각 대학이 그런 전통을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가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베이징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사 관련 연구, 도시샤 대학에서 행하고 있는 설립자에 대한 교양교육 등은 한국의 대학들에게도 타산지석(他山之石)이 될 만하다.
이 책을 통하여 필자들은 연희전문학교에서 추구한 ‘동서고근 사상의 화충’이 우리나라 근대학문을 형성한 힘이고 원천임을 확인하였다. 일제 때부터 지금까지 연세가 국학의 본산이 되고, 자연과학의 터전이 되었으며, 실용적인 상경학을 견인했던 것이 바로 이 ‘화충’의 이념 속에서 나왔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건학 101주년을 맞은 연희전문학교를 자축하기에는 이보다 더 좋은 것이 없을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최재건|베커(A. Becker)와 연희전문학교
1. 머리말
2. 베커의 선교준비와 내한
3. 평양 숭실학교 활동
4. 연희전문학교 활동
5. 맺음말
이현희|1920년대 이관용의 사상 형성과 교육?언론 활동
1. 머리말
2. 철학론의 형성:‘의지(意志)’의 발견과 칸트에 대한 이해
3. 사회 인식의 발현과 근대 문명사조의 이해
4. 세계사의 인식:소련기행과 중국혁명 경험
5. 맺음말
황금중|피셔(J. Fisher)의 민주주의 교육철학과 선교교육관-1920년대 한국의 근대교육과 선교교육의 평가 및 전망-
1. 머리말
2. 선교사 피셔의 교육철학적 문제의식:민주주의의 원리에 입각한
조선 선교교육의 검토와 재구성
3. 교육의 목적론, 그리고 조선 선교교육 목적의 비판적 재구성:듀
이의 민주주의 교육철학의 관점으로
4. 일제시기 선교교육의 구체상과 민주주의적 지향
5. 피셔의 저작 분석에서 남겨진 현재적 차원의 논점들
6. 맺음말
김도형|환산 이윤재의 민족운동과 역사연구
1. 머리말:연희전문학교와 이윤재
2. 민족주의 학문 수학
3. 흥사단 운동과 실력양성론
4. 민족주의 학술 운동과 역사서술
5. 나머지 말
정용서|연희전문 수물과 출신 미국유학생 장세운과 잡지 [우라키]
1. 머리말
2. 연희전문 수물과와 장세운
3. 미국 유학과 [우라키] 발간 참여
4. 맺음말
|특별기고|동아시아 ‘대학’의 역사와 활용
김태웅|일제하 관립전문학교(官立專門學校)의 운영 기조와 위상 변화-제1차?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 ‘서울대학교 전신학교(前身學校)’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제1차 교육령 시기(1911~1921) 관립학교 운영 기조와 위상의 설정
3. 제2차 교육령 시기(1922~1937) ‘일선공학(日鮮共學)’ 방침의 전면화와
관립전문학교 위상의 강화
4. 맺음말
왕위안주(王元周)|베이징 대학의 학술사적 위치와 ‘교사(校史)’ 박물관의 역할
1. 베이징 대학의 건립과 발전
2. 베이징 대학의 학과발전과 학술 공헌
3. 베이징 대학의 학교사(學校史) 형성, 기념과 학술연구
4. 맺음말
오가와라 히로유키(小川原宏幸)|일본에서의 대학사 편찬사업의 과제-도시샤 대학(同志社大學)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변해가는 대학사 편찬사업의 위상
3. 도시샤 대학의 대학사 편찬사업과 교육
4. 맺음말을 대신하여:도시샤 대학의 대학사 편찬사업의 전개를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