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이 말하고자 한 바는 초현실주의가 단순한 근대주의가 아니라 근대를 비판하는 사상, 철학으로서 마르크시즘이나 정신분석학, 아나키즘과 불교사상, 근대적 패션과 언어적 급진주의의 격전장으로서의 성격을 띤 예술사조였다는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Ⅰ. 한국 초현실주의 시사 기술의 방법과 기본 개념
Ⅱ. 1920년대 다다이즘의 수용과 전개
1. 해학과 체관의 인생관으로서의 다다: 고한용의 경우
2. 패션으로서의 다다: 박팔양, 김화산의 경우
(1) 1920년대 중반 다다이즘의 침체 원일
(2) 다다 - 보헤미안풍의 유행과 다다 스타일의 확립
(3) 사회주의 사상의 유행과 다다 - 아나키즘
3. 1920년대 다다이즘의 시사적 의의와 그 한계
Ⅲ. 1930년대 초현실주의 시의 성립과 분기
1. 식민지 조선에서의 초현실주의 이론의 수용 양상
2. 근대에 대한 양가적 감정과 죽음 충동: 이상의 경우
(1) 자본주의 근대의 충격과 과학적 세계관의 도입: 일본어 연작의 경우
(2) 자가 진단의 실패와 강박증적 구조: '거울' 장치의 의미
(3) 마조히즘과 죽음 충동, 언캐니한 여성들
(4) 시사적 의의와 그 한계
3. 현실과 초현실의 이원론: 『삼사문학』의 경우
(1)『삼사문학』의 형성과 그 분위기
(2) 산문으로 쓰기와 미니멀한 현실: 이시우의 경우
(3) 초현실주의 백일몽, 언캐니의 결여태: 한천의 경우
(4) 초현실주의의 '새로운' 패션: 신인들의 경우
(5) 시사적 의의와 그 한계
4. 초현실주의 위생학: 재만 초현실주의에 대한 시론
Ⅳ. 전후 초현실주의 시의 분기와 발전
1. 하이브리드적 초현실주의: 조향의 경우
(1) 국제주의 언어 감각의 언밸런스: 1940년대의 시
(2) 콜라주의 실험과 문명 비판의 전언: 1950년대의 시
(3) 반미학적 실험들의 버라이어티: 1970년대의 시
(4) 시사적 의의와 그 한계
2. 불교적 초현실주의와 사회성: 김구용의 경우
(1) 몽환적 형식과 현실 회복의 모색: 1950년대 김구용 시의 초현실성
(2) 시민적 현실인식과 구도적 실천의 일치:『구곡』의 시사적 성과
(3) 자아의 드라마와 '불이' 사상의 전유:『송백팔』의 불교적 초현실주의
(4) '나'의 초월과 분단극복의 과제:『구거』의 종교적 정진과 사회적 과제
(5) 시사적 의의와 남은 문제
Ⅴ. 결론
부록A. 근대 보편과 식민지 현실의 간극: 김기림 모더니즘론의 문학사적 의의와 그 한계
부록B. 전후 모더니스트들의 언어적 정체성: 박인환, 조향, 김수영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