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하)

$44.85
SKU
978898411452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1/25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84114524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유학의 본원을 탐구하는 책이다. 이 책은 상·하 두 권으로 나뉜다. 상권은 「원학통原學統」과 「원외왕原外王」이고, 하권은 「원내성原內聖」이다.

「원학통原學統」은 ‘유학 학통의 본원을 탐구’하고, 「원외왕原外王」은 ‘밖으로 왕도의 본원을 탐구’하며, 「원내성原內聖」은 ‘안으로 성인됨의 본원을 탐구’하는 것이다.

「원학통」은 공자孔子가 태고太古 이래로 전해온 훌륭한 왕들의 덕을 이어 받아 집대성하고, ‘내성內聖’과 ‘외왕外王’이 하나로 관통하는 큰 학통을 열었음을 설명한다.

「원외왕」은 『대역大易』·『춘추春秋』·『예기禮記』「예운禮運」·『주관周官』이라는 네 개의 경전을 융회·관통하여, 이로부터 성인이 지나간 것을 헤아리고 앞으로 올 것을 알아서 영원히 태평성세를 여는 큰 도리를 드러냈음을 밝힌다.

「원내성」은 공자의 인생관과 우주론을 총괄적으로 설명하면서 『대역大易』에 대해 특별히 자세하게 설명한 것이다.
Contents
역자 서문_5
일러두기_7

제4장 원내성(原內聖: 내성의 본원을 탐구함)

4-1 『역』 「계사전?으로 본 내성학(內聖學) 15

4-2 중국철학의 두 가지 특징 20
4-2-1 천인불이(天人不二: 하늘과 사람이 둘이 아님)의 본체론_20
4-2-2 심물불이(心物不二: 마음과 사물이 둘이 아님)의 우주론_66

4-3 공자와 그 이전의 『역』: 술수와 철리(哲理: 철학적 이치) 110
4-3-1 한대(漢代) 『역』에 남아 있는 『역』의 옛 의미_112
4-3-2 공자가 창작한 『주역』: 복희 『역』을 근본으로 함_127

4-4 정신과 물질 및 본체와 작용에 대한 제가(諸家)의 이론 138
4-4-1 노자의 태허(太虛: 정신과 물질의 근원)와 혼천설_138
4-4-2 장자의 정신과 물질의 통일_148
4-4-3 혜시의 정신과 물질의 통일과 구분: 닭의 발이 세 개_151
4-4-4 장횡거와 왕선산의 본체와 작용_157
4-4-5 왕양명의 양지설과 격물_159
4-4-6 본체와 작용에 대한 철학과 과학의 입장_169

4-5 공자의 인생론 176
4-5-1 『논어』 「위정(爲政)? 「지학장(志學章)? 해석_176
4-5-2 『논어』 「위정(爲政)? 「지학장(志學章)?의 특징_184
4-5-3 50세 이전 시(詩)·서(書)·예(藝)·예(禮) 연구_193

4-6 공자의 우주론 241
4-6-1 『역』의 본체와 작용_243
4-6-2 천(天)의 작용을 본받은 복희의 『역』_248
4-6-3 건·곤괘 「단전(彖傳)?을 통해 본 공자의 본체와 작용_256
4-6-4 『주역건착도(周易乾鑿度)』의 기(氣)·형(形)·질(質) 삼시설(三始說)_270
4-6-5 건(乾)의 신령함_279
4-6-6 곤(坤)의 물질됨과 리(理)_292
4-6-7 유물주의 비판_300
4-6-8 정신과 찰나의 변화_323
4-6-9 미래를 예측하는 건(乾)의 정신과 과거를 간직하는 곤(坤)의 사물_339

4-7 결론: 『주역』의 체용관계? - 체용불이(體用不二: 체와 용은 둘이 아님)와 즉용식체(卽用識體: 용을 통해 체를 앎) 346

부록_361
『원유』 해제_453
『원유』 인명사전_465
색인_504
Author
웅십력,임헌규
웅십력(熊十力, 1885-1968)은 중국 호북성(湖北省) 황강현(黃岡縣) 사람으로 원래 이름은 계지(繼智)·승항(升恒)이고, 호는 자진(子眞)이며, 만년에는 자칭 칠원노인(漆園老人)이라고 하였다. 40세에 스스로 십력(十力)으로 개명했다.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남의 집 소를 키우는 일을 하며 부친의 서당에서 사서오경을 배웠다. 11세 때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큰형을 좇아 농사일을 하며 공부했고, 16세 이후에는 홀로 학문을 연마하며 진백사(陳白沙)·왕부지(王夫之)·고염무(顧炎武) 등의 책을 읽고, 혁명의 길로 나가겠다고 결심하고는 과거시험 공부를 포기했다. 18세 때(1902년) 무창(武昌)에서 군대에 입대하여 1911년에 신해혁명에 참가했고, 이후에 손중산(孫中山)을 좇아서 원세개의 북양군벌(北洋軍閥)에 반대하는 호국(護國)·호법(護法) 전쟁에 참가했다. 그 후 34세(1918년)에 웅십력은 “당인들이 당권과 이익만을 다투니, 혁명은 결국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고 탄식하며, “진정한 혁명은 정치적 혁명이 아니라, 마음의 혁명에 있다.”는 점을 깨닫고 마침내 학문의 길로 나섰다. 1920년 가을 절친한 친구인 양수명(梁漱溟)의 소개로 구양경무(歐陽竟無)의 남경 지나내학원(支那內學院)에서 2년 동안 불교를 연구했으며, 1922년 겨울 북경대 총장인 채원배의 초빙으로 북경대 교수가 되었다.
1923년에 『신유식론(新唯識論)』 초고를 쓰기 시작해서 1932년 문언본 『신유식론』을 출판했고, 이어서 『파?파신유식론?(破?破新唯識論?)』·『불학명상통석(佛學名相通釋)』을 발표했다. 항일전쟁기간에는 사천으로 피난 가서 마일부(馬一浮)·양수명이 주관하는 복성서원(復性書院)과 면인서원(勉仁書院)에서 강의하다가 1947년 북경대로 돌아왔다. 1940년대에 웅십력은 어체본 『신유식론』·『십력어요(十力語要)』·『독경시요(讀經示要)』·『십력어요초독(十力語要初讀)』 등을 펴냈고, 1950년 이후에는 『논육경(論六經)』·『원유(原儒)』·『체용론(體用論)』·『명심편(明心篇)』·『건곤연(乾坤衍)』 등을 출판했다. 특히 1956년에 완성한 『원유』는 “육경이 나를 주석한다.[六經注我]”는 방식으로 웅십력 자신의 독특한 관점으로 유학 경전과 유학사를 새롭게 해석한 중요한 저술이다.

문화대혁명 시기에 말년의 웅십력은 반동복고주의자라고 낙인찍혀 많은 비판과 고초를 당했다. 그는 문화대혁명이 중국문화와 인간본성을 훼손한다고 항거하여 단식투쟁하는 도중에 결국 지병이 악화되어 향년 84세로 쓸쓸하게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체용불이(體用不二)’·‘심물불이(心物不二)’·‘흡벽성변(翕闢成變)’을 핵심으로 하는 그의 철학은 현대신유학의 형이상학적 이론의 기틀을 세웠으며, 그것은 이후 당군의·서복관·모종삼 등의 제자들에 의해 계승·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웅십력(熊十力, 1885-1968)은 중국 호북성(湖北省) 황강현(黃岡縣) 사람으로 원래 이름은 계지(繼智)·승항(升恒)이고, 호는 자진(子眞)이며, 만년에는 자칭 칠원노인(漆園老人)이라고 하였다. 40세에 스스로 십력(十力)으로 개명했다.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남의 집 소를 키우는 일을 하며 부친의 서당에서 사서오경을 배웠다. 11세 때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큰형을 좇아 농사일을 하며 공부했고, 16세 이후에는 홀로 학문을 연마하며 진백사(陳白沙)·왕부지(王夫之)·고염무(顧炎武) 등의 책을 읽고, 혁명의 길로 나가겠다고 결심하고는 과거시험 공부를 포기했다. 18세 때(1902년) 무창(武昌)에서 군대에 입대하여 1911년에 신해혁명에 참가했고, 이후에 손중산(孫中山)을 좇아서 원세개의 북양군벌(北洋軍閥)에 반대하는 호국(護國)·호법(護法) 전쟁에 참가했다. 그 후 34세(1918년)에 웅십력은 “당인들이 당권과 이익만을 다투니, 혁명은 결국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고 탄식하며, “진정한 혁명은 정치적 혁명이 아니라, 마음의 혁명에 있다.”는 점을 깨닫고 마침내 학문의 길로 나섰다. 1920년 가을 절친한 친구인 양수명(梁漱溟)의 소개로 구양경무(歐陽竟無)의 남경 지나내학원(支那內學院)에서 2년 동안 불교를 연구했으며, 1922년 겨울 북경대 총장인 채원배의 초빙으로 북경대 교수가 되었다.
1923년에 『신유식론(新唯識論)』 초고를 쓰기 시작해서 1932년 문언본 『신유식론』을 출판했고, 이어서 『파?파신유식론?(破?破新唯識論?)』·『불학명상통석(佛學名相通釋)』을 발표했다. 항일전쟁기간에는 사천으로 피난 가서 마일부(馬一浮)·양수명이 주관하는 복성서원(復性書院)과 면인서원(勉仁書院)에서 강의하다가 1947년 북경대로 돌아왔다. 1940년대에 웅십력은 어체본 『신유식론』·『십력어요(十力語要)』·『독경시요(讀經示要)』·『십력어요초독(十力語要初讀)』 등을 펴냈고, 1950년 이후에는 『논육경(論六經)』·『원유(原儒)』·『체용론(體用論)』·『명심편(明心篇)』·『건곤연(乾坤衍)』 등을 출판했다. 특히 1956년에 완성한 『원유』는 “육경이 나를 주석한다.[六經注我]”는 방식으로 웅십력 자신의 독특한 관점으로 유학 경전과 유학사를 새롭게 해석한 중요한 저술이다.

문화대혁명 시기에 말년의 웅십력은 반동복고주의자라고 낙인찍혀 많은 비판과 고초를 당했다. 그는 문화대혁명이 중국문화와 인간본성을 훼손한다고 항거하여 단식투쟁하는 도중에 결국 지병이 악화되어 향년 84세로 쓸쓸하게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체용불이(體用不二)’·‘심물불이(心物不二)’·‘흡벽성변(翕闢成變)’을 핵심으로 하는 그의 철학은 현대신유학의 형이상학적 이론의 기틀을 세웠으며, 그것은 이후 당군의·서복관·모종삼 등의 제자들에 의해 계승·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