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가 낳은 세계적인 역사사회학자 레이몽 아롱(Raymond Aron)은 클라우제비츠(Carl von Clausewitz)의 『전쟁론(On war)』에 충실한 해설자로서의 위치를 넘어서 그의 현인(賢人)적 시각으로 전쟁과 전략을 연구했던 석학이자 종합사상가이다. 서구사회가 클라우제비츠의 절대전쟁 사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혼란을 겪고 있을 때, 아롱은 클라우제비츠를 역사사회적 시각, 국제정치, 지정학, 경제학, 인간행동학 등 제반 지식적 기반을 통해 가장 훌륭하게 해석한 인물이다.
자유주의의 승리 전략을 제시하고, 그것이 옳다는 것을 증명해 보인 아롱의 업적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지난 20년간 레이몽 아롱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 단 한 편도 없다. 반면, 최근 영미계와 유럽 대륙의 학자들은 학회를 구성하여 아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그들이 연구한 이유는 냉전이 종식되고 영구평화를 기대했던 세계 속에서 테러와의 전쟁과 같은 끊이지 않는 분쟁과 갈등이 지속되는 현상은 아롱이 말한 역사사회적 철학을 그대로 나타낸다는 것에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아롱의 사상과 전략의 연구가 오늘날 더 요구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가 전쟁론을 바라본 시각이 지금과 앞으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오늘날 국내적으로는 북한의 핵 위협, 세계적으로는 군사 및 경제적, 종교적 및 인종적 갈등, 그리고 무자비한 테러가 상존하는 이 시기에 외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종합적 사상가인 아롱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이 책은 아롱의 사상과 전략을 토대로 미래에 요구된다고 판단되는 전쟁, 전략의 방향을 논하면서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Contents
제1장 소 개
제2장 클라우제비츠 전쟁론의 주요 쟁점 분석
제1절 단기결전과 장기전, 정치적 목적의 변증법
제2절 정치적 목적과 중심(重心) 간의 안티노미
제3절 공격과 방어 변증법 속의 집중과 분산
제4절 국민무장과 “절대전 수준으로 끌어올려 놓은” 전쟁
제3장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쟁점에 대한 아롱의 해석
제1절 에코 채임버(Echo Chamber) 속의 전쟁, 정치적 목적
제2절 산업사회의 과학과 중심
제3절 국제시스템의 공격 및 방어적 태세
제4절 핵전쟁과 전복전 그리고 국민무장
제4장 현대전쟁의 현상에 대한 비판
제1절 기동전 교리와 단기결전 추구
제2절 정보화를 통한 과학기술에 의존
제3절 공격 우위 사상의 지배
제4절 비(非) 국가와의 전쟁과 혼돈
제5장 아롱의 전략, 전쟁 사상과 미래전쟁의 방향
제1절 정치의 목표 그리고 전략
제2절 분별지에 기초한 정치적 중심
제3절 동맹체제
제4절 이성적 국민의지
제6장 결 론
후기 - 아롱 시각의 관계적 역사에 대한 소고
Author
B. A. 프리드먼,김현승,이상석
저자는 서울에서 출생하여 경복고등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미국에서 세계 전략을 공부한 국제정치 학자이다. 군 복무 기간 중 육군의 유무인체계, 스마트폰 군사적 사용, 민군 과학기술 협력 관련 정책에 기여하여 2019년 대한민국 지속가능 혁신리더 국방상임위원장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는 육군 교육사령부 전투발전부 차장 겸 AI 연구발전처장으로 육군 전투발전 분야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국방부 현대 군사명저 번역 출간 위원 및 경기대학교 한반도전략문제연구소 안보전략연구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기계화전, The Gando Dispute and the Future of Northeast Asia’s Stability 등이 있다.
저자는 서울에서 출생하여 경복고등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미국에서 세계 전략을 공부한 국제정치 학자이다. 군 복무 기간 중 육군의 유무인체계, 스마트폰 군사적 사용, 민군 과학기술 협력 관련 정책에 기여하여 2019년 대한민국 지속가능 혁신리더 국방상임위원장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는 육군 교육사령부 전투발전부 차장 겸 AI 연구발전처장으로 육군 전투발전 분야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국방부 현대 군사명저 번역 출간 위원 및 경기대학교 한반도전략문제연구소 안보전략연구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기계화전, The Gando Dispute and the Future of Northeast Asia’s Stability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