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사상과 민족종교

〈옥추경〉을 통해 본
$25.30
SKU
978898222747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5/0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82227479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신화에서 철학, 민속사상에서 민족종교로 가는 여정의 추적
민속서 〈옥추경〉과 ‘불법연구회’의 상호관계성 탐구


한국에도 ‘한국철학사’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여타의 민속사상에 관한 내용이 없다. 한 예로 한국의 산신사상, 수목사상 혹은 무속사상은 철학사의 대상에서 빠져 있다. 세계의 어디든 민속사상의 바탕 위에 철학이나 종교가 성립했다. 그것은 시간의 조만과 무관하다. 우리는 서구의 민속사상으로 자신의 민속사상을 밀어내는 우를 범했으므로 이제 제자리를 찾아주어야 한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연장선상에서 민속서 〈옥추경(玉樞經)〉과 민족종교 ‘불법연구회(원불교의 전신)’의 상호관계성을 탐구한다.

〈옥추경〉은 13세기를 전후하여 송나라에서 유래한 도교 경전이다. 정작 만들어진 중화문명권에서는 홀대받았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4세기 고려 말에 전해져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도 ‘귀신을 뼈까지 녹여버리는’ 영험한 경문이라 하여 무속인들이나 주술 수행자들이 대단히 중요하게 여겼다. 조선시대 소격서 관리들을 뽑으면서 시험과목으로 삼았을 정도다. 무속인에게는 필수 경전이었고, 민중들이 늘 읽고 곁에 두는 독경문이었다. 당시는 유가의 광기에 휩쓸려 다른 것은 취급도 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그 살벌한 곤란을 뚫고 꿋꿋이 고독하게 계승을 이은 건 민중이었다. 〈옥추경〉은 반도의 민중이 그 진가를 알아보고 지켜낸 진리여서 신화로 승격될 수 있었다.

『민속사상과 민족종교』에서는 〈옥추경〉을 통해 신화에서 철학으로, 민속사상에서 민족종교로 이행하는 과정을 추적해 나간다. 〈옥추경〉은 실제로 신화적 진실, 이론과 형식과 실천을 두루 겸비한 경책이었다. 그렇기에 민족종교인 동학, 증산, 불법연구회 모두의 근간에는 〈옥추경〉이 자리하고 있다. 새판을 짜는 과정에서 미분화된 신화적 접근은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옥추경〉의 민중전승은 구전의 전통을 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불법연구회의 철학적 체계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차원에서 민속과 무속에 대한 재평가는 반드시 이루어져야겠지만, 실상 연구 상황은 자료 부족으로 열악하며, 원불교에서는 해당 내용이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저자 이정재 교수는 이 책에서 그동안 여기저기 산재했던 〈옥추경〉 기도문 자료를 통합하고, 『보경해 합부』, 『옥추해』, 『옥경해 초』, 『옥추보경』 등 이본의 발전·변화 순서까지 자세히 밝혀놓고 있다.
Contents
서언

Ⅰ 신화, 사상, 민속문화

1. 영웅의 일화: 민속과 사상
2. 신화에서 사상과 종교로
3. 전통사상의 응용과 재편
〈옥추경〉의 위상과 활용 │ 미분적 신화의 거시적 재편

Ⅱ 전통적 독경문화와 불법연구회 구인기도

1. 불법연구회 구인기도 기도문 연구
박용덕의 구인기도 기도문과 단조직 │ 이공주의 구인기도 기도문 │ 구인기도 주문과 〈옥추경〉 │ 맺음말
2. 전통적 독경방식에 따른 불법연구회의 ‘「옥추경」 기도’ 연구
이경순 〈옥추경〉 기도문 자료와 그 특징 │ ‘갑자전문’의 의미와 ‘심고와 기도’의 감응 │ ‘십오송’과 ‘찬사라’의 의미 │ 〈옥추경〉 단원별 기도문 및 정전의 염불과 불공법 │ 맺음말

Ⅲ 한반도의 〈옥추경〉과 불법연구회 소장 〈옥추경〉

1. 불법연구회 소장본 「옥추경」 연구
국내 〈옥추경〉 이본 현황 │ ‘불법연구회’ 소장본 〈옥추경〉 │ ‘불법연구회’본 〈옥추경〉의 특징과 단조직 기도문 │ 맺음말
2. 『상밀주해 옥추보경』과 『옥추보경』 비교연구
불법연구회 소장 『보경해 합부』, 『옥경해 초』, 『옥추보경』의 관계와 팔괘 │ 『상밀주해 옥추보경』과 장?절 구분 │ 『옥추보경』과 장?절 구분 │ 두 ‘보경’의 상관성과 ‘집단단기도’ │ 맺음말

Ⅳ 〈옥추경〉 사상과 단조직 형성

1. 불법연구회 단기도의 〈옥추경〉 기도문 자료와 그 분석
이공주의 ‘중앙교주 기도문’ │ 김영신의 기도문 │ 이경순의 ‘중앙교주 중앙단원 기도문’ │ 김대거의 ‘중앙단원 기도문’ │ 단원별 기도문과 불법연구회 자료 『옥추보경』 및 단기도의 시기 │ 맺음말
2. 일원상과 〈옥추경〉 상관성 연구
『옥경해 초』의 특징 │ 『옥경해 초』의 첨부표식 │ 『옥경해 초』와 단조직의 변화 과정 │ 『옥경해 초』 원상 표시의 의미 │ 맺음말

Ⅴ 불법연구회와 〈옥추경〉의 상관성

1. 『옥추보경』 말소 부분과 구인 산상기도문 전문 복원
불법연구회 〈옥추경〉 연구와 복원의 필요성 │ 『옥추보경』 말소 부분 복원 │ 구인 산상기도 기도문 전문 │ 맺음말
2. 원불교의 〈교리도〉와 〈옥추령부〉
교리도의 변천사 │ 교리도의 도상적 변화와 특징 │ 교리도와 옥추령부의 비교와 상관성 │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영인 『옥추보경』
Author
이정재
현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소장이다. 독일 뮌헨대학교 민족학 철학박사, 한국민속학회 및 구비문학회 이사 및 회장, 종교사학회, 무속학회, 국제어문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소태산 일화와 민속문화』, 『구비문학과 민속』, 『고전문학 다시 읽기』, 『남한강과 문학』, 『민속문학과 전통문학』, 『전설과 지역문화』, 『동북아시아 곰문화와 곰신화』, 『시베리아 부족신화』, 『한국 민속학 개론』, 『경기도 작은축제』, 『지역민속연구』 등이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소장이다. 독일 뮌헨대학교 민족학 철학박사, 한국민속학회 및 구비문학회 이사 및 회장, 종교사학회, 무속학회, 국제어문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소태산 일화와 민속문화』, 『구비문학과 민속』, 『고전문학 다시 읽기』, 『남한강과 문학』, 『민속문학과 전통문학』, 『전설과 지역문화』, 『동북아시아 곰문화와 곰신화』, 『시베리아 부족신화』, 『한국 민속학 개론』, 『경기도 작은축제』, 『지역민속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