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안에서 대안적인 교육 실험을 하며 학교교육의 희망으로 떠오른 일곱 학교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들 학교가 가지는 의미는 기존의 ‘작은 학교 지키기’를 넘어 ‘새로운 학교 만들기’ 운동으로 진화했다는 데 있다. 공교육 안에서 새로운 학교 개혁의 운동, 이들 학교의 이야기를 통해 그 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작은 학교'들은 새로운 학교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개혁을 다방면에서 시도한다. 이들이 가장 먼저 시도한 것은 관료주의의 관행에 찌든 학교 제도를 바꾸는 것이었다. 실적을 쌓기 위한 각종 대회와 행사 참여, 공문서, 전시적인 행사를 없애고 배움을 중시하는 풍토를 만들어 갔으며, 입간판, 조회대 등 권위적인 시설물들을 걷어 내거나 주번 제도, 운동장 조회, 선발 위주의 시상 제도 등 낡은 틀과 관행을 바꿨다.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에서 체험 활동중심으로 재조직하고 중간놀이 시간을 30분으로 만들어 아이들이 충분히 뛰어놀 수 있게 하는 등 ‘앎’과 ‘삶’이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 교사와 학생 모두 능동적인 학습 주체로 바로 서게 하는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이들 학교의 작지만, 의미있는 변화는 위기에 빠진 공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되고 있다. 이들 학교의 모습이 최적의 대안이 되지 않을지는 모르지만, 이 책은 한국의 학교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이 무엇인지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이들 학교의 모습은 이러한 공교육의 위기 속에서 새로운 교육철학과 교훈을 제시할 것이다.
Contents
아이를 꽃처럼 나무처럼 자라게 하라
- 경기 광주 남한산초등학교 안순억
생태교육으로 마음 밭을 가꾸고 문학교육으로 삶을 표현한다
- 충남 아산 거산초등학교 이갑순, 조경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