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해선사시집

$26.45
SKU
978897801980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6/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78019804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범해선사시집梵海禪師詩集』은 범해 각안梵海覺岸(1820~1896)의 시집이다. 선사의 제자인 금명 보정錦溟寶鼎(1861~1930)이 쓴 발문에 보면 범해 선사 가 입적한 지 20년 후인 1916년(병진)에 선사의 법손에 해당하는 인월印月과 완월玩月 두 스님이 이 시집을 가지고 와서 인쇄할 뜻을 알려 다음 해 봄에 시에 식견이 많은 송태회宋泰會에게 보이고 서문을 부탁하였으며, 송태회의 서문을 얹어 1917년 신문관新文館에서 활자로 간행하였다고 한다.


시집에 대한 보정의 발문이 『범해선사문집梵海禪師文集』 말미에 있는 것 을 보면 시집은 『범해선사문집』과 동시에 편집, 출간되었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이 시집은 19세기 말 불교계의 문사라 이를 만한 작가로서 남겨 놓은 시집이기에 당시 승려들의 문학 생활을 엿보기에 좋은 자료이다.
Contents
범해선사시집梵海禪師詩集 해제 / 5

일러두기 / 27

범해시고 서문 梵海詩稿? / 29

주 / 32



범해선사시집 제1권 梵海禪師詩集 第一



시詩 1-102편

석옥 화상 산거시를 차운하다 次石屋和尙山居詩【十二首】 ......... 35

김도암을 보내며 送金道巖 ......... 40

조신암의 시에 차운하다 次趙信庵 ......... 41

김호은의 시에 차운하다 次金湖隱 ......... 42

초의 선사를 애도하다 挽草衣禪師 ......... 43

열한 곳 암자의 이름 十一庵號 ......... 44

김금사에게 화답하다 和金錦史 ......... 45

흥운 선백을 보내다 送興雲禪伯 ......... 46

손 좌수를 애도하다 挽孫座首【二】 ......... 47

준원에게 주다 贈俊圓 ......... 48

관 선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寬禪 ......... 49

부흔에게 화답하다 和富昕 ......... 50

재연의 시에 차운하다 次在演 ......... 51

필훤에게 주다 贈弼暄 ......... 52

인학을 훈계하다 戒仁學 ......... 53

재환을 보내며 送在煥 ......... 54

태연의 시에 차운하다 次泰演 ......... 55

전의를 보내며 送典毅 ......... 56

해언의 시에 차운하다 次海? ......... 57

선유에게 답하다 答善裕 ......... 58

처운을 축하하다 賀處耘 ......... 59

응현을 이별하다 別應玄 ......... 60

영순에게 주다 贈永淳 ......... 61

영준에게 주다 贈英俊 ......... 62

진학에게 답하다 答進學 ......... 63

경화에게 주다 贈璟華 ......... 64

영찬에게 주다 贈永贊 ......... 65

정치은에게 화답하다 和鄭痴隱 ......... 66

최매은, 임취정, 강제호와 함께 화답하다 與崔林姜共和 ......... 67

최매은, 임취정, 강제호와 함께 나운의 청담 운에~ 與崔林姜共次羅云淸潭韻 ......... 68

쌍계사에 도착하여 到雙溪 ......... 70

개울가 절에서 감흥이 일어 溪寺興感 ......... 71

수옥계에 놀다 遊漱玉溪 ......... 72

용악 스님 시축에 쓰다 題龍岳師詩軸 ......... 73

관음굴에 쓰다 題觀音窟 ......... 74

원호에서 세선을 보다 院湖觀稅船 ......... 75

파초화芭蕉花 ......... 76

채제암을 보내며 送蔡霽巖 ......... 77

처음 학질에 걸리다 超? ......... 78

강매오 운에 차하다 次姜梅塢韻 ......... 79

서율의 어머니 조씨를 애도하다 挽瑞律母趙氏 ......... 80

안 산림을 애도하다 挽安山林【二】 ......... 81

정기를 훈계하다 訓正己 ......... 82

이학봉을 애도하다 挽李鶴峯 ......... 83

김 호군을 애도하다 挽金護軍 ......... 84

칠성암의 시운을 차하다 次七星庵韻 ......... 85

영해를 건너며 越瀛海 ......... 86

강용운이 시를 요구하다 姜龍雲求詩 ......... 87

삼성혈三姓穴 ......... 88

연신각의 시운을 차하다 次戀宸閣韻 ......... 89

대정읍 회고 大靜懷古 ......... 90

정의현 동헌의 시운을 차하다 次旌義東軒韻 ......... 91

연북정의 김청음 선생 시운을 차하다 次戀北亭金淸陰先生韻 ......... 92

계정 개사에게 주다 與戒定開士 ......... 93

궁예성을 지나며 過弓裔城 ......... 94

천보루의 시운을 차하다 次天保樓韻 ......... 95

화암사 운을 차하다 次花巖寺韻 ......... 96

일로향실一爐香室 ......... 97

자미화紫微花 ......... 98

삼가 신백파 선생이 주신 시에 차운하다 謹次申白坡先生贈韻 ......... 99

백파, 송파 두 노인과 함께 북암에 올라 운을 띄워 白坡松坡兩老共上北庵拈韻 ......... 100

인호 김 사인을 애도하다 挽仁湖金斯人 ......... 102

은적암 나그넷길 客隱跡【二】 ......... 103

스스로를 탄식한 연구 自嘆聯句 ......... 104

황반계에 화답하다 和黃磻溪 ......... 105

김옥산 진사의 시운을 차하다 次金玉山進士 ......... 106

결제일에 홀로 앉아 結制獨坐 ......... 107

종이배에 쓰다 題紙船 ......... 108

저녁에 벽파를 건너다 夜渡碧波 ......... 109

김구암을 보내며 送金?庵 ......... 110

쌍계사에 쓰다 題雙溪 ......... 111

탄보묘 현판의 시운을 차하다 次誕報廟板上韻 ......... 112

조계암 현판의 시운을 차하다 次曹溪庵板上韻 ......... 113

모연을 다니며 募緣行 ......... 114

부사 백겸산, 책실 백다천, 허소치와~ 府使白兼山?室白茶泉許小痴共~ ......... 115

기연 상인에게 주다 贈奇衍上人 ......... 117

이송파에게 화답하다 和李松坡 ......... 118

강선대降仙臺 ......... 119

동야를 그리며 憶東野 ......... 120

광신에게 부치다 寄廣信 ......... 121

미선尾扇 ......... 122

선우에게 주다 與善愚 ......... 123

은적사에 쓰다 題隱跡寺 ......... 124

영산 선백을 늦게 추모하다 追挽影山禪伯 ......... 125

나무 염주 송 木念珠頌 ......... 126

암행어사 심난소를 모시고 陪繡衣沈蘭沼 ......... 127

대월루의 시운을 차하다 次對月樓韻 ......... 128

양백오와 함께 화답하다 與梁栢塢共和 ......... 129

관호재의 시운을 차하다 次觀湖齋韻 ......... 130

응화 강주를 애도하다 挽應化講主 ......... 131

백오재의 운을 차하다 次栢塢齋韻 ......... 132

기운 상인에게 주다 贈奇雲上人 ......... 133

원해 강백에게 주다 贈圓海講伯 ......... 134

보정 상인에게 주다 贈寶鼎上人 ......... 135

단양端陽 ......... 136

승주로 돌아가는 법해 장로를 보내며 送法海長老歸昇州 ......... 137

청봉 장로에게 주다 贈淸峰長老 ......... 138

무위 형을 애도하다 挽無爲兄 ......... 139

구곡九曲 ......... 140

구대九臺 ......... 141

기정 상인에게 주다 贈奇正上人 ......... 142

견성암에 올라 삼가 이 어사 돈상의 시운을~ 上見性庵謹次李御使敦相韻【二】 ......... 143



주 / 144



범해선사시집 제2권 梵海禪師詩集 第二



시詩 2-68편

목환자 천념불木?子千念佛 ......... 157

한양 안기선에게 화답하다 和漢陽安期仙 ......... 158

무설천無說泉 ......... 159

봉화에게 주다 贈奉和 ......... 160

재현에게 주다 贈在玄 ......... 161

근학에게 주다 贈謹學 ......... 162

찬민 소사에게 주다 與?敏小師 ......... 163

동일 상인에게 주다 贈東一上人 ......... 164

익운 상인에게 주다 贈翼雲上人 ......... 165

운포 이 사백의 시운을 차하다 次雲圃李詞伯韻 ......... 166

적련암에 거처하며 居赤蓮庵 ......... 167

이송파를 애도하다 挽李松坡 ......... 168

영산화映山花 ......... 169

조 사백의 운에 화하다 和曹詞伯韻 ......... 170

쾌년각에 쓰다 題快年閣 ......... 171

윤송하에게 화답하다 和尹松下 ......... 172

영주 십경瀛洲十景 ......... 173

두륜산 십경 頭輪十景 ......... 177

조인조에게 주다 贈曹仁祚 ......... 180

처감 상인에게 주다 贈處鑑上人 ......... 181

유위계와 이별하며 奉別劉韋溪 ......... 182

재윤 상인에게 주다 贈在允上人 ......... 183

응하를 이별하며 別應河 ......... 184

범해당에 쓰다 題梵海堂 ......... 185

염객 장 비장, 김 학관과 함께 화답하다 廉客張裨將金學官共和 ......... 186

법한 상인法翰上人 ......... 187

찬의 상인讚儀上人 ......... 188

『법화경』을 설하다 說法華經 ......... 189

『유마경』을 읽고 讀維摩經 ......... 190

북암을 방문하다 訪北庵 ......... 191

천우에게 주다 贈天祐 ......... 192

근환의 시축 운을 차하다 次謹煥軸韻 ......... 193

근호의 시축 운을 차하다 次謹浩軸韻 ......... 194

윤해고의 운을 차하다 次尹海皐韻 ......... 195

최석치의 운을 차하다 次崔石痴韻 ......... 196

수상 이 공 용관의 시운에 화답하다 和水相李公容觀韻 ......... 197

수상 규태가 남암에서 든 운을 창화하다 唱和水相圭泰南庵拈韻【五】 ......... 199

삼가 수상의 시운에 화답하다 奉和水相韻 ......... 202

운담 장로의 담 자 운을 차하여 쓰다 次題雲潭長老潭韻 ......... 203

홍파 상인에게 주다 贈洪波上人 ......... 204

최석치의 시운을 차하다 次崔石痴 ......... 205

석행 상인에게 주다 贈錫幸上人 ......... 206

민 공과 창화하다 唱和閔公 ......... 207

경원에게 주다 遺敬元 ......... 208

인화에게 주다 遺仁和 ......... 209

구오사미 인정을 보내며 送仁正驅烏沙彌 ......... 210

행각하는 순화에게 주다 與順和行脚 ......... 211

김만취가 준 시운을 차하다 次金晩翠贈韻 ......... 212

박노하가 준 시운을 삼가 차하다 謹次朴蘆河贈韻 ......... 213

천 아사에게 부치다 寄千雅士 ......... 214

조 만호를 애도하다 挽曹萬戶 ......... 215

회광 장로에게 주다 贈晦光長老 ......... 216

월여 선백을 애도하다 挽月如禪伯 ......... 217

청하 장로를 애도하다 挽靑霞長老 ......... 218

임남고와 전송촌을 이별하며 別林南皐田松村 ......... 219

쾌년각 뜰의 영산홍 快年閣庭映山紅 ......... 220

삼가 조 시찰사의 유산시 운을 차하다 謹次曹視察使遊山韻 ......... 221

박매계에게 주다 贈朴梅溪 ......... 222

조행탄과 윤백은의 월야 시운을 차하다 和趙杏綻尹白隱月夜韻 ......... 223

최유재, 김소운, 김미방에게 화답하다 和崔裕齋金小雲金米舫 ......... 224

행영을 그리며 思行英 ......... 225

차운하여 연순의 시축에 적다 次題延淳軸 ......... 226

태우 상인의 시운을 차하다 次泰愚上人韻 ......... 227

지운 상인에게 주다 贈志運上人 ......... 228

김송남의 임우 시운에 화답하다 和金松南霖雨韻 ......... 229

기문 스님을 보내며 送綺紋師 ......... 230

다시 옛 암자에 거처하며 再居古庵 ......... 231

박 처사를 만나 逢朴處士 ......... 232



고풍장편古風長篇-6편

삼의가三衣歌 ......... 233

참외를 얻고 느낌이 일어 得瓜興感 ......... 235

관비부도貫碑浮屠 ......... 237

인물가人物歌 ......... 238

산수가山水歌 ......... 243

다가茶歌 ......... 248



주 / 250



범해유집 보유梵海遺集補遺



오언절구五言絶句-19편

완호 조사의 비를 세우다 立玩虎祖師碑 ......... 261

느낌이 일어 興感 ......... 262

강석에서 講席 ......... 263

원호에 큰 바람이 일다 院湖大風 ......... 264

병인년의 원망 丙寅怨 ......... 265

제주 대정군 도원리로 가는 도중에 濟州大靜郡桃源里途中 ......... 266

남원 관왕묘南原關王廟 ......... 267

광한루廣寒樓 ......... 268

가을날 홀로 앉아 秋日獨坐 ......... 269

은해사 백흥암 무흡 상인을 생각하며 憶銀海寺白興庵武洽上人 ......... 270

완도 원동에서 묵다 宿莞島院洞 ......... 271

진도군 조도珍島郡鳥島 ......... 272

옥도玉島 ......... 273

석남도石南島 ......... 274

가을 목단 秋牧丹 ......... 275

장미 풀 ?草 ......... 276

황귤黃橘 ......... 277

선암사 『대각국사집』을 보고 나서 閱仙巖寺大覺國師集 ......... 278

술회 회문述懷回文 ......... 279



오언율시 五言律-19편

허만택에게 주다 贈許萬澤 ......... 280

침계루枕溪樓 ......... 281

송광사 임경당松廣寺臨鏡堂 ......... 282

초의의 차 草衣茶 ......... 283

학잠 십운學箴十韻 ......... 284

남대의 가을 풍경 南臺秋觀 ......... 285

하태도의 윤성문을 보내며 送下台島尹成文 ......... 286

석왕사로 돌아가는 순성 상인을 보내며 贈順成上人歸釋王寺 ......... 287

저녁에 돌아오다 暮歸 ......... 288

건제체建除? ......... 289

팔음체八音? ......... 290

영산홍映山紅 ......... 291

목단화牧丹花 ......... 292

옥매화玉梅花 ......... 293

저녁 새가 울다 夜鳥鳴 ......... 294

만일암挽日庵 ......... 295

다시 보운각에 들어와 再入寶運閣 ......... 296

고운 체 題眞? ......... 297

보길도의 서암 甫吉島書巖 ......... 298



칠언절구七言絶句-56편

『사기』를 읽고 讀史紀 ......... 299

수로왕릉을 지나며 過首露王陵 ......... 300

통도사 자장굴의 금개구리 通度寺慈藏窟金蛙 ......... 301

칠석七夕 ......... 302

어부漁父 ......... 303

두륜봉頭輪峰 ......... 304

바람을 쓰다 題風 ......... 305

우물의 물고기 井魚 ......... 306

김여종을 조롱하다 嘲金汝鍾 ......... 307

태평화太平花 ......... 308

봉선화鳳仙花 ......... 309

금낭화錦囊花 ......... 310

청허집淸虛集 ......... 311

간신론諫臣論 ......... 312

『가어』에서 실궁 이야기를 보고 見家語失弓 ......... 313

집닭 家鷄 ......... 314

산 꿩 山雉 ......... 315

주장자?杖子 ......... 316

동리사 필연 상인을 이별하며 別桐裏寺弼演上人 ......... 317

만일암 잡영挽日庵雜?【四首】 ......... 318

김내열에게 화답하다 和金乃烈【六首】 ......... 319

추분秋分 ......... 321

김운옹 선생께 화답하다 和金雲翁先生 ......... 322

눈길을 가다 雪中行 ......... 323

남미륵암 잡영 南彌勒雜詠【三首】 ......... 324

강동의 사정 江東沙亭 ......... 325

꽃 언덕의 잡영 花塢雜?【六首】 ......... 326

박우곡에게 화답하다 和朴愚谷 ......... 328

홍해의 객점에서 묵다 宿洪海店 ......... 329

상주의 침산 이 처사에게 주다 贈尙州枕山李處士 ......... 330

제주에 들어가다 入濟州 ......... 331

애월진의 명천에서 목욕하다 浴涯月鎭明泉 ......... 332

대정 산방굴사大靜山房窟寺 ......... 333

금강산 마하연金剛山摩訶衍 ......... 334

경기도 덕사의 용암 화상 京畿德寺庸庵和尙 ......... 335

백련사 만경루白蓮社萬景樓 ......... 336

신백파 선생과 함께 북대에 오르다 共申白坡先生登北臺 ......... 337

금도에서 묵다 宿金島 ......... 338

처서날 가뭄 끝에 비가 오다 處暑旱雨 ......... 339

김용에게 보이다 示金龍 ......... 40

초의 장로가 그린 <십팔나한도>에 쓰다 題草衣長老畵十八羅漢圖 ......... 341

『사십이장경』과 『유교경』 2경의 합부에 쓰다 題章敎二經合部 ......... 342

「사십이장경 과평」에 쓰다 題四十二經科評 ......... 343

「유교경 과평」에 쓰다 題遺敎經科評 ......... 344

「경책문 과평」에 쓰다 題警策文科評 ......... 345

『삼경 합부 과기』 회향 三經合部科記回向 ......... 346

허소치 <괴석도>에 쓰다 題許小痴?石圖 ......... 347

금월 화상을 애도하다 挽錦月和尙 ......... 348

남파 화상을 애도하다 挽南坡和尙 ......... 349

장남사에게 화답하다 和張藍史 ......... 350

재윤 사미에게 사위의의 송을 주다 贈在允沙彌四威儀頌 ......... 351

영산홍과 생지황의 빠진 구절을 채우다 足映山紅生地黃落句 ......... 352

경상도 진해를 지나며 過慶尙鎭海 ......... 353

하동 칠불암河東七佛菴 ......... 354

은진 관촉사 恩津觀燭 ......... 355

능주 운주동綾州運舟洞 ......... 356



칠언율시 七言律-22편

두륜산월가頭輪山月歌 ......... 357

진도의 봉화대 島峯火 ......... 358

훤초萱草 ......... 359

도갑사 대운 상인을 보내며 送道岬寺大雲上人 ......... 360

장흥 보림사長興寶林寺 ......... 361

두륜산의 비전 頭輪山碑殿 ......... 362

진도 김용은을 보내다 送島金龍殷 ......... 363

삼가 만일암 초의 선사 운을 차하다 謹次挽日庵艸衣師韻 ......... 364

공북대拱北臺 ......... 365

진남대鎭南臺 ......... 366

해남 군수 이동루, 책실 정유상과 북암에~ 海南?李東樓?室丁維桑登北庵共和 ......... 367

철선 화상을 애도하다 挽鐵船和尙 ......... 369

미황사 상수암美黃寺上岫菴 ......... 370

성도암成道菴 ......... 371

진주 촉석루晋州矗石樓 ......... 372

제주를 건너려고 배를 띄우다 渡濟州放船 ......... 373

제주 관덕정濟州觀德亭 ......... 374

직산 홍경사稷山弘慶寺 ......... 375

전주 견훤성全州甄萱城 ......... 376

동복 물염정同福勿染亭 ......... 377

남고사 만경대南固寺萬景臺 ......... 378

강진 백련사康津白蓮社 ......... 379



범해선사시집 후발梵海禪師詩集後跋 / 380



주 / 382



찾아보기 / 392

Author
범해 각안,김재희
호는 범해梵海, 자는 환여幻如, 법명은 각안覺岸이다. 속성은 최씨이며 전라남도 완도 출신이다. 14세에 두륜산 대둔사의 호의縞衣 선사에게 출가하고, 16세에 하의荷衣 선사에게 수계하였으며 또 초의艸衣 율사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27세에 호의 선사의 인가를 받은 후 진불암眞佛庵과 상원암上院庵에서 6년간 강설을 펴 대둔사 12종사宗師의 법손으로 인정받았다. 저술에는 『경훈기警訓記』·『유교경기遺敎經記』·『사십이장경기四十二章經記』 등 다수가 있는데, 현재 전하는 것으로는 『동사열전東師列傳』·『범해선사시집梵海禪師詩集』·『범해선사문집梵海禪師文集』이 있다.
호는 범해梵海, 자는 환여幻如, 법명은 각안覺岸이다. 속성은 최씨이며 전라남도 완도 출신이다. 14세에 두륜산 대둔사의 호의縞衣 선사에게 출가하고, 16세에 하의荷衣 선사에게 수계하였으며 또 초의艸衣 율사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27세에 호의 선사의 인가를 받은 후 진불암眞佛庵과 상원암上院庵에서 6년간 강설을 펴 대둔사 12종사宗師의 법손으로 인정받았다. 저술에는 『경훈기警訓記』·『유교경기遺敎經記』·『사십이장경기四十二章經記』 등 다수가 있는데, 현재 전하는 것으로는 『동사열전東師列傳』·『범해선사시집梵海禪師詩集』·『범해선사문집梵海禪師文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