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는 민족국가의 시대였다. 미국인,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일본인에 관한 담론이 넘쳐났다. 조선인에 대한 담론 역시 존재했다. 차이가 있다면 조선인론은 당시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였기에 일제의 시선으로 바라본 조선인론이 우세했다는 점이다. 즉, 타자화된 시선에서 조선에 관한 담론이 형성되었다. 그 핵심에 다카하시 도루가 있다.
다카하시 도루는 대표적인 식민지 지식인으로, 경성제대 창립위원회 간사, 경성제대 법문학부 교수, 혜화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하였고, 해방 후 일본에서 조선학회를 창립한 학자이다. 그의 조선인 이해는 일본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다카하시 도루는 조선의 대표적 속성으로 사상의 고착성과 사상의 종속성을 꼽았다. 이러한 제국주의적 시선은 이후에 이광수, 해방 후의 이어령에도 이어지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한다.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는 양장본과 보급판, 2종으로 출간되는데 이 책은 양장본이다. 양장본에는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인』 원본(도쿄대 도서관 소장본)영인을 수록했다. 아울러 학술적인 주석, 해제 논문을 함께 실었다.
Contents
이 책을 펼친 독자들에게
제1부 조선인
제1장 _ 조선, 조선인
1. 지리적 고찰
2. 지질적 고찰
3. 인종적 고찰
4. 언어적 고찰
5. 사회적 고찰
6. 역사적 고찰
7. 정치적 고찰
8. 문학·예술의 고찰
9. 철학적 고찰
10. 종교적 고찰
11. 풍속·습속의 고찰
제2장 _ 조선인의 열 가지 특성
1. 사상의 고착固着
2. 사상의 종속
3. 형식주의
4. 당파심黨派心
5. 문약文弱
6. 심미관념審美觀念의 결핍
7. 공사公私의 혼동
8. 관용(寬擁)과 위엄(鷹揚)
9. 순종從順
10. 낙천성
제3장 _ 조선인의 특성에 대한 보론
제4장 _ 조선인의 특성에 대한 종합론
제2부 『조선인』 전후의민족성개조론
제1장 _ 조선 개조의 근본 문제
1. 진정한 조선 개조의 근본 문제
2. 학문과 종교의 전통적인 정치적 구속에서 해방
3. 조선 교육제도의 개정과 종교대학의 설립
4. 정실 사회에서 실력 경쟁의 사회로
제2장 _ 조선의 문화정치와 사상문제
1. 문화정치의 의의
2. 문화정치의 요건
3. 문화정치와 교화정책, 그리고 개척사업
4. 문화정치의 반응
5. 문화정치에 반항하는 사상과 운동
6. 문화정치에 반항하는 사상과 운동의 장래
7. 문화정치의 폐해
해제 : 『조선인』과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연구 ? 구인모
1. 『조선인』이라는 물음
2. 조선에 대한 결정론과 정태론
3. 자기동일성을 위한 타자로서 조선, 조선인
4. 조선인 민족성론의 근거와 배경
5. 조선인 민족성 연구의 발산과 수렴
6.『 조선인』이후 조선 연구 혹은 한국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