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의 예술

포스트 세월호 시대, 고통과 구원은 충분히 말해졌는가?
$16.20
SKU
978897682862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4/09
Pages/Weight/Size 152*224*0mm
ISBN 9788976828620
Categories 예술
Description
이 책에 실린 다섯 편의 글들은 이른바 ‘포스트 세월호 시대’라고 불리는 지난 10년 동안 우리 문화가 세월호 참사의 뼈아픈 교훈을 얼마나 깊이 반성하고 변화의 계기로 삼아왔는지, 세월호를 잊지 않겠다던 다짐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지, 세월호의 아픈 이미지들이 전하려 했던, 그러나 아직 한 번도 제대로 말해지지 못한 고통과 구원의 이야기는 과연 무엇인지, 예술은 그 고통과 구원의 이야기를 어떻게 재현할 수 있는지 묻는다.

세월호 참사는 수백 명의 사상자를 낸 물리적 재난인 동시에 이미지에 의해 그 충격과 고통의 외연이 확장된 매우 특수한 시각적 사태였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의 이러한 시각적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세월호를 재현하는 일, 혹은 그것을 이미지화하는 일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우리는 세월호 이미지들이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약속에 필연적인 조건임을 알면서도 동시에 그러한 이미지들이 야기할 사회적 혼란과 해악을 염려한다. 세월호 이후, 그것에 대해 시를 쓰고, 노래하고, 연극을 만들고, 그림을 그리는 것의 불가능성과 그로 인한 자괴감을 토로하는 것은 그리하여 세월호 시대를 사는 모든 예술가들에게 일종의 윤리적 의례가 되었다.

이 책 『재난의 예술』은 세월호 참사 이후 침묵과 절제라는 시대적 표현에 담긴 예술의 위기를 살피고, 이 위기로부터 선연히 드러나는 주체의 타자에 대한 상호의존성과 책임감을 다시금 되새기며, 이를 통해 ‘표현 불가능성’이라는 위기의 수사 너머로 예술이 어떻게 재난의 시대를 위로할 수 있을지 가늠해 본다.
Contents
들어가며 ○ 8

I. 사월, 세월 그리고 ‘보고 싶다’는 것에 관하여

1. 가만히 있으라 ○ 15
2. 살아서 보자 ○ 16
3. 잊지 않겠습니다 ○ 19
4. 눈이 멀어 있었다 ○ 21
5. 본다는 것 ○ 22
6. 촛불, 눈을 밝히다 ○ 25
7. 이미지, 구원의 지표 ○ 27
8. 가만히 있지 말라 ○ 30

II. 만년의 양식, 포스트 세월호 시대의 예술 작품

1. 재난의 예술 ○ 36
2. 만년의 양식 ○ 39
3. 말할 수 없음??「보이스리스」 ○ 43
4. 볼 수 없음??「아이들의 방」 ○ 47
5. 들을 수 없음??「우리 아이들을 위한 읽기」 ○ 53
6. ‘손상된 삶’에 깃든 구원의 광휘 ○ 58

III. 홍성담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그 불편함의 미학적 정당성


1. 세월오월 ○ 68
2. 불편한 그림들 ○ 77
3. 카니발과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 91
4. 그림이 벨 수 있는 것과 벨 수 없는 것 ○ 107
후기 ○ 110

IV. 세월호의 귀환, 그 ‘이미지가 원하는 것’
1. 이미지는 무엇을 원하는가? ○ 119
2. 살아 있는 이미지 ○ 121
3. 이미지의 힘 ○ 124
4. 메두사 효과 ○ 127
5. 세월호 이미지에 대한 애호와 공포 ○ 132
6. 이미지의 복제와 구원의 영적 전례들 ○ 137
7. 이미지의 승리 ○ 142
8. 질문의 끝과 시작 ○ 144

V. ‘예술의 종말’ 그리고 ‘종말의 예술’

1. 예술이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할 수 있을까? ○ 151
2. 예술의 종말 ○ 160
3. 칸트적 전회 ○ 163
4. 종말의 예술 ○ 166
5. ‘변용’의 밤 ○ 174

도판 목록 ○ 181
Author
최종철
미술이론가.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대학에서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에서 다양한 강의 및 연구 경력을 쌓았다. 전문 연구 분야는 현대미술과 매체이론으로, 최근 미디어 아트(디지털 사진, 포스트미디어 예술, 포스트미디엄 이론 등)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매체의 미학적, 정치적, 기술적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미술이론가.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대학에서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에서 다양한 강의 및 연구 경력을 쌓았다. 전문 연구 분야는 현대미술과 매체이론으로, 최근 미디어 아트(디지털 사진, 포스트미디어 예술, 포스트미디엄 이론 등)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매체의 미학적, 정치적, 기술적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