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 대한제국 의례의 경계

$37.80
SKU
978897668262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3/04
Pages/Weight/Size 162*230*30mm
ISBN 978897668262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어떻게 구상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학문 분야가 역사학이다. 3·1 운동 100주년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지 100주년이 되는 2019년에 일본에 의한 경제적 보복조치로 한국과 일본 두 나라가 1965년 수교 이후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 명성왕후/황후의 국장을 중심으로 조선-대한제국 국가 의례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본서의 주요 목적이지만 그 당시 시대상을 살펴 현재의 양국 관계를 다시 들여다보는 것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과거와는 면면이 달라진 현 시점에서 과거사의 해결을 선제로 관계 개선이 하루 속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Contents
머리말 005

서 론 021

제1장 조선의 왕후 칭호 031

제1절 고려말 조선초 왕후의 칭호 정비 033
제2절 조선의 왕후를 가리키는 여러 칭호 042

제2장 조선의 왕후 국장 절차와 변화의 계기 051

제1절 국가전례서에 규정된 왕후 국장 절차 053
1. 국가전례서의 국장 규정: 『국조상례보편』 053
2. 국왕·왕후 국장 절차의 차이 060
제2절 명성왕후 시해 직전 조선의 위상과 의례의 변화 070
1. 청일전쟁과 조선의 자주독립: 제후국인가 천자국인가 070
2. 개국기년(開國紀年)과 의례 변화의 예고 075

제3장 김홍집 내각기 명성왕후 국장 085

제1절 명성왕후 시해와 왕후의 죽음 공표 087
1. 명성왕후 시해와 폐서인(廢庶人) 087
2. 왕후 위호(位號) 회복과 죽음의 공식 선언 098
제2절 국장의 시작과 건양(建陽) 선포 101
1. 국장의 시작과 전개 101
2. 연호 건양의 선포와 국장 138

제4장 아관파천과 명성왕후 국장 155

제1절 아관파천과 고종 주도의 국장 157
1. 아관파천 단행과 김홍집 내각의 몰락 157
2. 국장 담당자의 교체와 국장 중지 165
제2절 빈전의 경운궁 이봉(移奉)과 국장 재개 179
1. 경복궁에서 경운궁으로의 빈전 이봉 179
2. 산릉 재확정과 국장 재개 194

제5장 경운궁 환어(還御)와 대한제국 선포 223

제1절 경운궁 환어와 국장 지연 225
1. 아관에서 경운궁으로의 환어 225
2. 시호 개정과 산릉 개봉표(改封標) 232
제2절 대한제국 선포와 황후 책봉 243
1. 국장 지연과 연호 광무(光武)의 선포 243
2. 황제 즉위와 황후 책봉 257

제6장 명성황후 국장과 의례 변화 289

제1절 발인(發引)부터 부향(?享)까지 291
1. 국장 재개와 황후 국장 절차 논의 291
2. 발인부터 부향까지 국장 전개 330
제2절 연제(練祭)부터 부묘(?廟)까지 366
1. 연제와 상제(祥祭) 366
2. 담제(?祭)와 부묘 392

제7장 명성황후 국장의 특징 415

제1절 의식 절차 417
1. 왕후 국장 의절과 주요 의절 거행 시점 417
2. 황후 국장 의절과 주요 의절 거행 시점 427
제2절 용어와 도설 448
1. 용어의 변화와 용례 448
2. 왕후·황후 국장 도설의 비교 453

결 론 575

참고문헌 590
찾아보기 601
Author
이현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부교수 및 인문사회과학부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 연수 과정을 이수했다.

저서로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조선 왕실의 상장례』가 있고, 공저로 『종묘와 사직』, 『한양의 탄생』, 『조선의 국가 제사』,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 『한국의 수도성 연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장생전(長生殿)의 설치와 운영」, 「고종대 경복궁 중건에 참여한 別看役의 성격」 등이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부교수 및 인문사회과학부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 연수 과정을 이수했다.

저서로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조선 왕실의 상장례』가 있고, 공저로 『종묘와 사직』, 『한양의 탄생』, 『조선의 국가 제사』,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 『한국의 수도성 연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장생전(長生殿)의 설치와 운영」, 「고종대 경복궁 중건에 참여한 別看役의 성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