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의 상장례

$32.40
SKU
97889766822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1/2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7668226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조선 왕실의 상장례』는 그간 발표했던 조선 왕실의 상장례에 대해 쓴 글들을 대폭 수정하고 보완하여 묶은 것이다. 18세기에 죽음을 맞이한 영조, 문효세자, 의소세손을 다루었다. 왕실의 구성원 중 남자를 중심으로 하되 국왕, 국왕의 뒤를 이을 국본세자, 그리고 그들의 손자이자 아들인 세손을 차례로 정리했다.
Contents
머리말 005

서론 017

제1장 왕실 흉례 절차의 정비 031
제1절 조선 초 국왕과 왕후의 흉례 절차 033
제2절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흉례 절차 041
제3절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흉례 절차 047

제2장 국왕의 국장(國葬) - 영조(英祖) 057
제1절 『국조상례보편』의 국장 규정 059
제2절 국장 절차 062
1. 승하(昇遐) - 대렴(大?) 062
2. 성빈(成殯) - 발인(發靷) 072
3. 발인(發靷) - 입주전(立主奠) 087
4. 반우(返虞) - 부묘(?廟) 100
제3절 영조 국장의 특징 121

제3장 세자의 예장(禮葬) - 문효세자(文孝世子) 141
제1절 법전과 국가전례서의 예장 규정 143
제2절 예장 절차 149
1. 훙서(薨逝) - 대렴 149
2. 성빈 - 발인 154
3. 발인 - 입주전 181
4. 반우 - 입묘(入廟) 206
제3절 문효세자 예장의 특징 219

제4장 세손의 예장(禮葬) - 의소세손(懿昭世孫) 239
제1절 세손 예장에 대한 수교(受敎) 규정 241
제2절 예장 절차 246
1. 훙서 - 대렴 246
2. 성빈 - 발인 256
3. 발인 - 입주전 273
4. 반우 - 입묘 293
제3절 의소세손 예장의 특징 303

결론 왕실 상장례의 특징과 연구 과제 321

주 337
참고문헌 391
찾아보기 398
Author
이현진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림대 부설 태동고전연구소 과정을 이수했다. 서울대, 동덕여대, 건국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공저로 『종묘와 사직』, 『왕의 행차: 조선후기 국왕의 융릉·건릉 행행行幸과 의례』, 『궁방양안宮房量案』, 『영·정조대 문예 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조선의 국가 제사』, 『조선 국왕의 일생』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奉常寺의 설치와 기능, 그 위상」, 「고종대 경복궁 중건에 참여한 別看役의 성격」, 「영조대 의소세손懿昭世孫의 예장禮葬과 그 성격」,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등이 있다.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림대 부설 태동고전연구소 과정을 이수했다. 서울대, 동덕여대, 건국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공저로 『종묘와 사직』, 『왕의 행차: 조선후기 국왕의 융릉·건릉 행행行幸과 의례』, 『궁방양안宮房量案』, 『영·정조대 문예 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조선의 국가 제사』, 『조선 국왕의 일생』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奉常寺의 설치와 기능, 그 위상」, 「고종대 경복궁 중건에 참여한 別看役의 성격」, 「영조대 의소세손懿昭世孫의 예장禮葬과 그 성격」,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