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조선의 친족용어와 혈연의식

친족관계의 정형과 변동
$19.44
SKU
978897668162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10/2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7668162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 책은 고려·조선전기의 친족용어를 분석하여 조선후기와 대비되는 친족관계를 비교한다. 저자의 분석에 의하면, 우리가 현재 '전통적'이라고 인식하는 것과 고려·조선전기의 친족지칭은 많이 달랐다. 16세기부터 한문사용층에서 변화가 시작되고 17세기 이후 전 사회에 퍼져 현재로 이어지는 지칭들을 우리는 '전통적'이라 인식한다. 그렇다면 고려·조선전기의 친족지칭원리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첫째, 혈연계통을 구분하지 않고 혈연거리가 같으면 동일한 지칭으로 표현했다. 둘째, 혈연관계의 유무가 기준이 되어 혈연으로 이어지면 직접지칭을 부여하고, 그들의 배우자에게는 간접지칭을 부여했다. 셋째, 할아버지 이상과 손자 이하에서는 지칭이 '촌'과 결합될 때에만 수직·수평 거리를 알 수 있어 '촌'의 기능이 컸다. 이는 할아버지 이상과 손자 이하는 항렬에 관계없이 한아비, 한어미, 손 등을 부여하고 아들 항렬과 아버지 항렬에만 아찬아달과 아지비를 기본지칭으로 부여했기 때문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
1. 가족 친족 연구의 성과와 ㄹ반성
1) 정체성론과 정체성론 비판
2) 실증적 연구와 통념의 극복
2. 문제의식과 연구방법

제2장. 친족지칭과 친족관계
1. '전통적' 친족지칭과 문자체계
1) '전통적' 친족지칭의 종류와 기능
2) 문자체계별 친족지칭
2. 고려 조선전기와 조선후기의 친족지칭
1) 분석대상 자료
2) 법률서의 친족지칭
3) 이두문서의 친족지칭
4) 사서(史書)와 양반층 일기의 친족지칭
5) 한글 대역(對譯) 외국어 회화서의 친족지칭
3. 고려 조선전기의 친족지칭원리와 친족관계
1) 친족지칭원리
2) 지칭원리에 반영된 친족관계

제3장. 고려 조선전기의 혈연을 범주화하는 친족용어
1. '촌(寸)'을 이용한 지칭방식
2. 중국 친족지칭의 변용(變用)과 직계의식
3. '족(族)'의 의미와 구조
1) '족장(族長)'과 '족하(族下)'
2) '본족(本族)'의 구조
4. '동성(同姓)', '이성(異姓)'의 기능과 그 한계

제4장. 조선후기 혈연의식 변동의 동인과 과정
1. '동기(同氣)' 이론의 확산과 이해
1) 중국의 '동기' 이론과 부계질서의 강조
2) 고려 조선전기 '동기' 이론의 수용과 한계
3) 조선후기 '동기' 이론의 이해와 부계의식 강화
2. 조선전기의 장지(葬地)와 조선후기의 '족장지(族葬地)'
1) 장지 연구의 의의
2) 조선전기 양반가의 장지
3) 조선후기 '족장(族葬)'의 강조와 '족장지'의 형성
3. '전통적' 계모관(繼母觀)의 형성 과정
1) 조선후기의 '어머니'와 '계모'
2) 고려 조선전기의 재혼관행과 계모의 위상
3) 조선전기 전처 자녀와 계모의 갈등
4) 『장화홍련전』반영된 '전통적' 계모관의 형성 과정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