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교육사 탐구

$21.55
SKU
978897599615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31 - Thu 02/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8 - Thu 01/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1/25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75996153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이 책은 한국교육사에서 조선 후기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모든 시기가 나름대로 중요성을 가지겠지만, 이 시기는 전통교육이 근현대교육으로 이행하는 전환기이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의 교육은 비단 특정 시기에 대해 느끼는 호기심의 대상으로서만이 아니라, 근현대 한국의 교육을 이해하려 할 때 관건이 되는 대상으로서도 중요성을 갖는다는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 비하여 이 시대 교육에 관한 우리의 이해는 어이없이 부족하다. 아니 오히려 조선 후기의 교육에 대해서 이미 사망선고를 내리고 더 이상 탐구대상으로 삼지 않고 있는지도 모른다.
Contents
서 장 19
|제1부|학 교
조선 후기 성균관의
학사운영

Ⅰ. 서론 33
Ⅱ. 『태학성전』의 구성과 학사운영규정 36
1. 『태학성전』의 구성 36
2. 학사운영 관련규정 37
Ⅲ. 교관과 유생 39
1. 교관 39
2. 유생 44
Ⅳ. 학사운영 47
1. 일상적 강학 47
2. 과시 52
3. 이수방식과 공정성 64
Ⅴ. 결론 68

|제2장|
『태학성전』의 작성 경위와 가치
Ⅰ. 서론 73
Ⅱ. 18세기 전반 관변기록에 비추어 본 『태학성전』 76
1. 『태학성전』에 관한 관변기록 76
2. 관변기록과 현존 『태학성전』의 비교 78
Ⅲ. 『태학성전』의 작성 경위 85
1. 작성자 및 작성 시기 85
2. 『태학성전』 작성의 직접적인 계기 86
3. 『태학성전』 작성의 또 다른 이유: 과시 중심의 교육정책 95
Ⅳ. 결론 102

|제3장|
조선 후기 향교의 기능
Ⅰ. 서론 107
Ⅱ. 『학교등록』의 체제 110
1. 대상기간 110
2. 작성방식 112
Ⅲ. 『학교등록』의 통계분석 113
1. 통계분석방식 113
2. 기본정보 115
3. 통계분석결과 121
Ⅳ. 결론 157


|제4장|
유수원의 교육개혁론
Ⅰ. 서론 163
Ⅱ. 교육개혁론의 내용 166
1. 문제의식 166
2. 교육개혁 방안 170
Ⅲ. 교육개혁론의 성격 179
1. 국가교육체제의 강화 179
2. 명제도의 벤치마킹 183
3. 과거제도의 중시 189
4. 불완전한 개혁안 191
Ⅳ. 결론 194

|제5장|
조선 후기 과시의 강화와 의미
Ⅰ. 서론 199
Ⅱ. 과시의 재구조화 201
1. 조선 후기 교육의 몇 가지 조짐 201
2. 과시의 재구조화 과정 209
Ⅲ. 과시의 법제화 216
1. 『태학성전』과 과시규정의 명문화 216
2. 『속대전』과 과시의 법제화 223
Ⅳ. 결론 232

|제6장|
조선 후기 방외유생
Ⅰ. 서론 237
Ⅱ. 방외유생과 외방유생 240
1. 조선 전기의 사례 240
2. 조선 후기의 사례 246
Ⅲ. 방외유생과 성균관 248
1. 『태학성전』의 방외유생 규정 248
2. 방외유생의 성균관에서의 또 다른 활동 사례 250
Ⅳ. 방외유생과 재경유생 256
1. 재경유생 256
2. 방외유생 상소 262
Ⅴ. 결론 267

|제2부|학 습

|제7장|
창계 임영의 학습생애사
Ⅰ. 서론 273
Ⅱ. 유소년기(출생-17세) 276
1. 학습의 진행과정 276
2. 유소년기 학습의 성격: 위기지학의 기반 마련 281
Ⅲ. 청년기(18-31세) 286
1. 학습의 진행과정 286
2. 청년기 학습의 성격: 본격적인 위기지학 294
Ⅳ. 중장년기(32-48세) 302
1. 학습의 진행과정 302
2. 중장년기 학습의 성격: 위기지학의 확대 305
Ⅴ. 결론 309

|제8장|
종사강학: 황후간의 금양종사
Ⅰ. 서론 313
Ⅱ. 금양종사강학의 배경 316
1. 갈암학파의 등장 316
2. 위기지학과 과업공부의 분리 318
3. 지방문화 순화의 의지 323
Ⅲ. 금양종사강학의 강학과정 325
1. 강학일정 개요 325
2. 강학과정분석 328
Ⅳ. 금양종사강학의 성격 335
1. 위기지학의 입문과정 335
2. 학습자 위주의 전인격적 강학 337
3. 퇴계학의 계승 340
Ⅴ. 결론 341

|제9장|
서신강학: 윤기의「소학문목」

Ⅰ. 서론 345
Ⅱ.「소학문목」의 배경 348
1. 이익 문하 입문 348
2. 소과응시 351
3. 성호학당의 『소학』 연구 353
Ⅲ.「소학문목」의 분석 356
1. 성호학당의 문목사례 356
2. 질문 분석 359
3. 답변 분석 367
Ⅵ.「소학문목」 사례의 의미 374
1. 개인사적 의미 374
2. 강학방식으로서의 의미 377
Ⅴ. 결론 381

|제10장|

강회1: 유치명의 호계강회

Ⅰ. 서론 385
Ⅱ. 호계강회의 개황 388
1. 호계강회의 개설 배경 388
2. 강회 진행 과정 391
Ⅲ. 호계강회의 강학유형 395
1. 『호계강록』의 담론 분포 395
2. 담론 분석 398
3. 강학유형 410
Ⅳ. 호계강회의 강학정신 413
1. 대산학 계승의 사명감 413
2. 절제와 소통의 토론정신 415
3. 치열한 논변의식 420
Ⅴ. 결론 424

|제11장|
강회2: 이한응의 계재강회
Ⅰ. 서론 429
Ⅱ. 계재강회의 개황 431
1. 강회의 개설 배경 431
2. 강회의 진행 과정 433
3. 강회의 참여인원 438
Ⅲ.「계재강의」의 담론분석 441
1. 담론분석 방법 441
2. 담론분석 442
3. 강학정신 457
Ⅳ. 결론 461

|제12장|
호계강회 사례와 서원연구
Ⅰ. 서론 465
Ⅱ. 호계강회(1856년)의 특징 468
1. 호계강회의 개요 468
2. 개설과정의 특징: 특별개설 469
3. 진행방식의 특징: 전형적인 학술토론 471
4. 개설목적의 특징: 위기지학 중심 477
Ⅲ. 호계강회의 시사점 481
1. 서원강회의 개념 재고와 유형화의 필요성 481
2. 사례 연구와 강회기록의 중요성 485
3. 강학방식에 대한 재해석 가능성 488
Ⅳ. 결론 491

참고문헌 497
색인 505


Author
최광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