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교육사에서 조선 후기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모든 시기가 나름대로 중요성을 가지겠지만, 이 시기는 전통교육이 근현대교육으로 이행하는 전환기이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의 교육은 비단 특정 시기에 대해 느끼는 호기심의 대상으로서만이 아니라, 근현대 한국의 교육을 이해하려 할 때 관건이 되는 대상으로서도 중요성을 갖는다는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 비하여 이 시대 교육에 관한 우리의 이해는 어이없이 부족하다. 아니 오히려 조선 후기의 교육에 대해서 이미 사망선고를 내리고 더 이상 탐구대상으로 삼지 않고 있는지도 모른다.
|제2장|
『태학성전』의 작성 경위와 가치
Ⅰ. 서론 73
Ⅱ. 18세기 전반 관변기록에 비추어 본 『태학성전』 76
1. 『태학성전』에 관한 관변기록 76
2. 관변기록과 현존 『태학성전』의 비교 78
Ⅲ. 『태학성전』의 작성 경위 85
1. 작성자 및 작성 시기 85
2. 『태학성전』 작성의 직접적인 계기 86
3. 『태학성전』 작성의 또 다른 이유: 과시 중심의 교육정책 95
Ⅳ. 결론 102
|제3장|
조선 후기 향교의 기능
Ⅰ. 서론 107
Ⅱ. 『학교등록』의 체제 110
1. 대상기간 110
2. 작성방식 112
Ⅲ. 『학교등록』의 통계분석 113
1. 통계분석방식 113
2. 기본정보 115
3. 통계분석결과 121
Ⅳ. 결론 157
|제5장|
조선 후기 과시의 강화와 의미
Ⅰ. 서론 199
Ⅱ. 과시의 재구조화 201
1. 조선 후기 교육의 몇 가지 조짐 201
2. 과시의 재구조화 과정 209
Ⅲ. 과시의 법제화 216
1. 『태학성전』과 과시규정의 명문화 216
2. 『속대전』과 과시의 법제화 223
Ⅳ. 결론 232
|제6장|
조선 후기 방외유생
Ⅰ. 서론 237
Ⅱ. 방외유생과 외방유생 240
1. 조선 전기의 사례 240
2. 조선 후기의 사례 246
Ⅲ. 방외유생과 성균관 248
1. 『태학성전』의 방외유생 규정 248
2. 방외유생의 성균관에서의 또 다른 활동 사례 250
Ⅳ. 방외유생과 재경유생 256
1. 재경유생 256
2. 방외유생 상소 262
Ⅴ. 결론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