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정치에서 아고니즘 정치로

$27.77
SKU
978897585818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4/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75858185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그동안 한국을 포함한 동서양의 여러 여성학자들이 후기 근대에 적합한 여성운동에 대한 분석과 대안을 제시했지만 후기 근대적 현상의 근원으로까지 천착해서 그에 근거해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제시되지는 않았다. 이 책은 지난 수십 년간 여성운동을 효율적으로 작동시켰던 정체성 정치가 근본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음을 주장하고, 그 해결책으로 근대적 기획의 정치적 구현인 정체성 정치에서 벗어나 실천이론과 그 정치적 구현인 아고니즘 정치로 확장할 것을 촉구한다.

구체적으로 실천이론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한 하딩, 해러웨이, 바라드의 여성학 방법론을 중심으로 실천이론의 관점에서 이들의 이론을 분석한 후, 필자가 제시하는 실천이론이 어떻게 이 이론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여성학 방법론의 실천적 전환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보여준다. 또한 실천이론의 정치적 구현인 아고니즘 정치를 아렌트, 푸코, 라투르, 제를리의 정치이론 분석을 통해 제시한 후, 필자가 제시하는 아고니즘 정치이론이 이들의 통찰을 정합적으로 재구성하여 성찰적 평형을 이룬 결과물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Contents
감사의 말_6

서문_9

제1부 여성학 방법론의 실천적 전환

제1장 실천이론에서 본 여성학 방법론: 여성학 지식생산의 재검토_22
제2장 실천이론에서 본 샌드라 하딩의 포스트모던 입장론: 변화와 한계_47
제3장 실천이론에서 본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
물적-기호적 실천 개념을 중심으로_68
제4장 실천이론에서 본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
과학적 실천이론과 페미니즘 과학기술학의 접점_91
제5장 상징적 복잡적응계로서의 사회적 실천:
여성학 방법론과 페미니즘 정치에의 함의_124

제2부 페미니즘 정치의 실천적 전환

제6장 ‘사회적인 것’의 위기와 페미니즘 정체성 정치: 린다 제를리의 대안_160
제7장 실천이론으로 본 비판사회학과 페미니즘 정체성 정치의 문제:
푸코, 라투르, 제를리의 통찰_186
제8장 후기 근대와 ‘사회적인 것’의 위기: 아고니즘 정치의 가능성_215
제9장 신자유주의적 지구화와 여성주체성의 변화: 실천이론의 관점_243
제10장 보편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 페미니즘 정치의 실천적 전환_271


참고문헌_302

찾아보기_319
Author
조주현
이화여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사회심리학과 성계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여성학과 교수로 있으며, 같은 대학 여성학연구소장과 『한국여성학』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성 해방과 성 정치』(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공역), 『여성해방의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페미니즘과 기술』,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가 있으며,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던 이론의 전통 안에서 젠더와 섹슈얼리티, 여성운동,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지구화와 성폭력에 대한 글을 많이 썼다.
이화여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사회심리학과 성계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여성학과 교수로 있으며, 같은 대학 여성학연구소장과 『한국여성학』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성 해방과 성 정치』(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공역), 『여성해방의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페미니즘과 기술』,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가 있으며,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던 이론의 전통 안에서 젠더와 섹슈얼리티, 여성운동,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지구화와 성폭력에 대한 글을 많이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