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수 선생은 1976년 2월에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중세국어의 명사화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으면서 학문 활동을 시작하였고 1988년 2월 같은 대학원에서 「현대국어 심리동사 구문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봉직하신 것을 포함하여 1992년 3월에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부임하여 2017년 2월 정년을 맞이할 때까지 30여 년간 김흥수 교수는 학위논문 두 편을 비롯하여 74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하고 11권의 단행본을 발표하는 등 국어학계에서 뛰어난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다. 이 책은 정년을 맞아 교단을 떠나는 김흥수 교수를 존경하는 마음으로 제자들과 학과의 동료 교수들이 뜻을 모아 만든 정년기념논총이다.
김흥수 교수의 연구는 주로 인간의 내면이 언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가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의 과정이었으며 그래서 심리동사 구문 연구에서 비롯된 연구 영역이 점차 통사론, 어휘론으로 확대되고, 의미론, 담화, 화용론으로 확장되고, 연구의 대상이 국어학과 언어학의 경계를 넘어 국문학의 시, 소설, 산문 텍스트에 이르면서도, 인간 내면의 사고와 그를 통한 행위들이 언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며 그러한 언어적 표현이 어떠한 무늬를 만들어내는가 하는 고민을 놓지 않는 삶을 살아왔다. 그 고민의 결과가 『글의 무늬를 찾아서』에 학문적 성취로서 나타나 있다.
제1부에는 ‘문체’와 관련한 김흥수 교수의 논문 8편과, 김흥수 교수의 논문들을 분석한(장소원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논문 [김흥수 교수의 문체]를 실었다. 제2부에서는 국민대 국어국문학과의 김주필 교수가 [제1장 국한문체], 임근석 교수가 [제2장 계량적 문체 연구], 이동은 교수가 [제3장 구어 담화], 정선태 교수가 [제4장 문학 속의 언어] 등으로 주제를 정하여 짤막한 논평과 함께 각 분야의 학자들의 논문으로 선정하여 실었다.
Contents
발간사
1부
김흥수 선생의 문체 연구_장소원
언어학적 문체론의 위상과 과제_김흥수
詩의 言語 分析 試論 -金洙暎의 詩에 대한 語學的 接近-_김흥수
국어의 통사현상과 문체_김흥수
문체 의미론 -어휘·형태와 통사 층위를 중심으로-_김흥수
문학 텍스트와 문체론_김흥수
국어문체론 연구의 현 단계와 어학적 문체론_김흥수
이른바 개화기의 표기체 유형과 양상_김흥수
소설의 방언에 대하여_김흥수
2부
국한문체
국한문체_김주필
현대국어와 역사성: 문체_장소원
近代啓蒙期 國漢混用文의 類型·文體 特性·使用 樣相_한영균
대한제국 시기 國漢文의 형성과 기원 -諺解와 관련하여-_김주필
조선 전기 이두 번역문의 문체와 어휘_박성종
계량적 문체 연구
계량적 문체 연구_임근석
한국 현대소설의 기계적 문체 분석 가능성을 위한 계량적 방법론-1930년대 작가를 중심으로-_문한별
저자 판별을 위한 전산 문체론-초기 현대소설을 대상으로-_김일환·이도길
계량적 문체 분석 시론_박진호
광고 언어에 대한 코퍼스 언어학적 분석 시고_임근석
구어 담화
구어 담화_이동은
구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_장경희
구술발화의 전사와 분석_이기갑
말뭉치와 언어연구 -외국의 사례와 경향-_최재웅
한국어 구어 담화 연구를 위한 전사와 주석에 대한 논의_이동은
문학 속의 언어
문학 속의 언어_정선태
유길준의 국한문체 기획과 문화의 전환-신채호, 최남선과의 비교연구-_임상석
서구시 번역을 통한 근대 한국어 문장 형성 연구-김억의 베를렌느와 보들레르 번역을 중심으로-_배수찬
백석 시의 방언과 그 미학적 의미_전봉관
표준어의 점령, 지역어의 내부식민지화-현기영의 『순이삼촌』을 시점으로-_정선태